Thursday, December 18, 2008

Cloud Computing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
- 복수의 PC, 서버, 데이터센터등을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사용자에게 각종 소프트웨어와 보안솔루션, 컴퓨팅 능력까지 온디맨드 방식으로 제공하는 기술



Gartner Top 10 Strategic Technologies 2009

가트너(Gartner)는 ‘가트너 심포지엄/IT엑스포(ITxpo)’에서 2009년 10대 기술 전략을 발표(Orlando, 2008.10.16)


◆ 2009년 10대 전략 기술

① 가상화(Virtualization)
▷ 현재 서버 가상화를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으나, 향후에는 스토리지와 고객
장치 가상화, 호스티드 가상 이미지(hosted virtual image) 등으로 발달할 것

②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용으로 기업들은 시장 진입시 비용절감, 탄력적 운영등이
가능해질 것

③ 서버(Servers-Beyond Blades)
▷ 서버는 현재 블레이드 서버(blade server) 단계에서 더 진화할 것

④ 웹기반 아키텍처(Web-Oriented Architectures)
▷ 웹 중심 방식이 지속적으로 진화함에 따라 전사(轉寫) 솔루션에 활용할 수
있을 것

⑤ 엔터프라이즈 매쉬업(Enterprise Mashups)
▷ 기업들은 현재 웹상에서의 취미부터 전사(轉寫) 시스템에 이르기까지
매쉬업을 이용한 애플리케이션을 전달 및 관리하기 위한 모델을 연구

⑥ 특화시스템(Specialized Systems)
▷ 혼합형 시스템(heterogeneous systems)은 가장 어려운 작업의 요구사항을
처리하기 위해 새롭게 떠오르는 고성능 컴퓨팅 트렌드로서, 향후 컴퓨팅
시장에 확산될 것

⑦ 소셜 소프트웨어 및 소셜 네트워킹(Social Software and Social
Networking)
▷ 소셜 소프트웨어는 사회적 네트워킹, 사회적 협력, 사회적 매체 및 사회적 증명
등 다양한 종류의 기술을 포함함에 따라, 기업은 사회적 플랫폼을 채택해야
할 것

⑧ 통합통신(Unified Communications)
▷ 애플리케이션 서버의 용량이 증가하고 통신 애플리케이션이 공통 상용 서버
(common off-the-shelf servers)와 운영체계로 변화함에 따라 시장들이 통합
될 것

⑨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usiness Intelligence)
▷ 비즈니스 인텔리전스(BI)는 기업 전략부터 운영 과정에 이르는 모든 비즈니스
단계에 영향력을 미치며, 임무 달성 능력을 향상시킬 것

⑩ 그린IT(Green IT)
▷ 사용 증가로 인한 탄소 배출, 기타 환경적 영향에 대한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기업들은 데이터 센터의 능력 향상 및 그린IT를 위한 대응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

<원문>
Gartner, Inc. analysts today highlighted the top 10 technologies and trends that will be strategic for most organizations. The analysts presented their findings during Gartner Symposium/ITxpo, being held in Orlando through October 16.
Gartner defines a strategic technology as one with the potential for significant impact on the enterprise in the next three years. Factors that denote significant impact include a high potential for disruption to IT or the business, the need for a major dollar investment, or the risk of being late to adopt.
These technologies impact the organization's long-term plans, programs and initiatives. They may be strategic because they have matured to broad market use or because they enable strategic advantage from early adoption.
"Strategic technologies affect, run, grow and transform the business initiatives of an organization," said David Cearley, vice president and distinguished analyst at Gartner. "Companies should look at these 10 opportunities and eval!uate where these technologies can add value to their business services and solutions, as well as develop a process for detecting and eval!uating the business value of new technologies as they enter the market."
Top 10 Strategic Technologies for 2009:
Virtualization. Much of the current buzz is focused on server virtualization, but virtualization in storage and client devices is also moving rapidly. Virtualization to eliminate duplicate copies of data on the real storage devices while maintaining the illusion to the accessing systems that the files are as originally stored (data deduplication) can significantly decrease the cost of storage devices and media to hold information. Hosted virtual images deliver a near-identical result to blade-based PCs. But, instead of the motherboard function being located in the data center as hardware, it is located there as a virtual machine bubble. However, despite ambitious deployment plans from many organizations, deployments of hosted virtual desktop capabilities will be adopted by fewer than 40 percent of target users by 2010.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is a style of computing that characterizes a model in which providers deliver a variety of IT-enabled capabilities to consumers. They key characteristics of cloud computing are 1) delivery of capabilities "as a service," 2) delivery of services in a highly scalable and elastic fashion, 3) using Internet technologies and techniques to develop and deliver the services, and 4) designing for delivery to external customers. Although cost is a potential benefit for small companies, the biggest benefits are the built-in elasticity and scalability, which not only reduce barriers to entry, but also enable these companies to grow quickly. As certain IT functions are industrializing and becoming less customized, there are more possibilities for larger organizations to benefit from cloud computing.
Servers-Beyond Blades. Servers are evolving beyond the blade server stage that exists today. This evolution will simplify the provisioning of capacity to meet growing needs. The organization tracks the various resource types, for example, memory, separately and replenishes only the type that is in short supply. This eliminates the need to pay for all three resource types to upgrade capacity. It also simplifies the inventory of systems, eliminating the need to track and purchase various sizes and configurations. The result will be higher utilization because of lessened "waste" of resources that are in the wrong configuration or that come along with the needed processors and memory in a fixed bundle.
Web-Oriented Architectures. The Internet is arguably the best example of an agile, interoperable and scalable service-oriented environment in existence. This level of flexibility is achieved because of key design principles inherent in the Internet/Web approach, as well as the emergence of Web-centric technologies and standards that promote these principles. The use of Web-centric models to build global-class solutions cannot address the full breadth of enterprise computing needs. However, Gartner expects that continued evolution of the Web-centric approach will enable its use in an ever-broadening set of enterprise solutions during the next five years.
· Enterprise Mashups. Enterprises are now investigating taking mashups from cool Web hobby to enterprise-class systems to augment their models for delivering and managing applications. Through 2010, the enterprise mashup product environment will experience significant flux and consolidation, and application architects and IT leaders should investigate this growing space for the significant and transformational potential it may offer their enterprises.
· Specialized Systems. Appliances have been used to accomplish IT purposes, but only with a few classes of function have appliances prevailed. Heterogeneous systems are an emerging trend in high-performance computing to address the requirements of the most demanding workloads, and this approach will eventually reach the general-purpose computing market. Heterogeneous systems are also specialized systems with the same single-purpose imitations of appliances, but the heterogeneous system is a server system into which the owner installs software to accomplish its function.
· Social Software and Social Networking. Social software includes a broad range of technologies, such as social networking, social collaboration, social media and social validation. Organizations should consider adding a social dimension to a conventional Web site or application and should adopt a social platform sooner, rather than later, because the greatest risk lies in failure to engage and thereby, being left mute in a dialogue where your voice must be heard.
· Unified Communications. During the next five years, the number of different communications vendors with which a typical organization works with will be reduced by at least 50 percent. This change is driven by increases in the capability of application servers and the general shift of communications applications to common off-the-shelf server and operating systems. As this occurs, formerly distinct markets, each with distinct vendors, converge, resulting in massive consolidation in the communications industry. Organizations must build careful, detailed plans for when each category of communications function is replaced or converged, coupling this step with the prior completion of appropriate administrative team convergence.
· Business Intelligence. Business Intelligence (BI), the top technology priority in Gartner's 2008 CIO survey, can have a direct positive impact on a company's business performance, dramatically improving its ability to accomplish its mission by making smarter decisions at every level of the business from corporate strategy to operational processes. BI is particularly strategic because it is directed toward business managers and knowledge workers who make up the pool of thinkers and decision makers that are tasked with running, growing and transforming the business. Tools that let these users make faster, better and more-informed decisions are particularly valuable in a difficult business environment.
· Green IT. Shifting to more efficient products and approaches can allow for more equipment to fit within an energy footprint, or to fit into a previously filled center. Regulations are multiplying and have the potential to seriously constrain companies in building data centers, as the effect of power grids, carbon emissions from increased use and other environmental impacts are under scrutiny. Organizations should consider regulations and have alternative plans for data center and capacity growth.
"A strategic technology may be an existing technology that has matured and/or become suitable for a wider range of uses," said Carl Claunch, vice president and distinguished analyst at Gartner. "It may also be an emerging technology that offers an opportunity for strategic business advantage for early adopters or with potential for significant market disruption in the next five years. Companies should eval!uate these technologies and adjust based on their industry need, unique business needs, technology adoption model and other factors."

Saturday, December 13, 2008

‘차세대 먹거리’로 클라우드컴퓨팅 키운다

한국클라우드컴퓨팅협의회 추진위원회 출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 국내 IT시장의 새로운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가운데‘한국클라우드컴퓨팅협의회(CCKI)' 추진위원회가 10일 서울에서 발족식을 가졌다.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을 육성시키기 위해 출범한 추진위원회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을 중심으로 썬마이크로시스템즈, 마이크로소프트, HP, 삼성SDS, 클루넷 등 국내외 업체들이 참여했다.

협의회는 빠르면 내년 1월말~2월 중순, 정식설립돼 출범된다. 협의회는 관련 정부와 학계, 산업체 간 정보공유를 비롯, 기술방향 제시와 연구 및 실용사업도 주도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날 KISTI 슈퍼컴퓨팅사업팀장인 이상동 박사는 “협의회가 출범되면 추진할 가장 중요한 일은 정부 측의 강한 지원을 이끌어 내 비즈니스로 연결시키는 것”이라며 “대정부 및 공공부문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통해, 먹거리로 어떻게 연결시킬지에 대한 고민을 함께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내년 초부터 미들웨어 관련 사업이 진행될 예정이고, ETRI 등도 업계와 연계해 클라우드컴퓨팅기술의 보안에 대한 과제 등을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협의회 추진위원장인 심명종 한국썬마이크로시스템즈 전무도 “본격적으로 비즈니스가 시작되기 전에 각 업체가 갖고 있는 기술들에 대해 공유할 수 있는 자리의 필요성이 대두됐다”며 “누군가가 붐(boom)을 조성하지 않으면 비즈니스로 연결되기 힘든데, 협의회가 이를 위한 연계, 조정, 지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심 전무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등과 같은 새로운 기회는 향후 IT산업 및 인력 차원에서도 긍정적으로 작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CCKI는 향후 ▲산학연 전문가 중심의 정책, 기술 위원회 구성 및 운영 ▲정부의 정책수요 발굴 및 인프라 조성을 위한 추진 지원 ▲관련분야의 법, 제도 개선안 도출 및 정책건의 ▲기술교육지원을 위한 인력 전문성 제고 및 역량 강화 등의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한편 CCKI는 이날 클라우드 컴퓨팅의 기술 및 현황을 제고시키는 'The Clouds 2008 컨퍼런스‘를 개최했다.

Tuesday, November 11, 2008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적기는

손쉬운 관리와 기획ㆍ그린 IT 구현 등 이점 불구 서비스 장애 등 해결과제 남아

본지와 독점기사제휴를 맺고 있는 美 인포메이션위크가 기업 기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65%는 아직 클라우드를 최우선 순위에 올려놓고 있지 않다. 하지만 조만간 상황이 바뀔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SaaSㆍ그리드 컴퓨팅ㆍ가상화 바람 타고 상승 조짐 = 재택근무자와 노트북, 스마트폰을 비롯해 인터넷에 연결된 기기들이 일반화 추세에 접어들면서 기업 사용자들은 두 대 이상의 단말기를 보유하게 되었으며 언제 어디에서나 기업의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에 접근하길 원하게 되었다.

클라우드 컴퓨팅 벤더들은 이러한 기업 사용자들의 요구에 편승해 SaaS와 그리드 컴퓨팅, 가상화, 아웃소싱 웹 호스팅, 3G 무선 인터넷의 바람을 타고 ‘상승 기류’에 접어들기를 희망하고 있다.

설문 응답자의 23%는 현재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다소 과장되어 있는 것으로 느끼고 있다고 답했지만 변화와 혁신은 과거 사례에서도 보듯이 언제나 거부감을 동반하고 있으며 현재의 모바일과 상호 접속된 환경은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새로운 접근 방식을 요구하고 있음은 틀림이 없는 사실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시장의 초입 단계이지만 IT 조직은 이를 무시해서는 결코 안 된다.

설문 조사 결과, 향후 2년 이내에 인터넷을 통해 가장 빨리 액세스가 허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클라우드 리소스로는 CRM, ERP 등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이 꼽혔다. 두 번째는 CPU와 스토리지 리소스 등 애플리케이션 구동에 필요한 사항이었다. 기존의 인프라 설치에 필요한 비용과 시간에 부담을 주지 않을 경우 비즈니스와 관련된 분야에 더욱 주력할 수 있으며 클라우드 환경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을 맞춤화할 수 있다.

서비스 장애와 높은 WAN 비용이 확산 걸림돌 = 클라우드로 서비스를 전환할 경우, 스토리지와 아카이빙, 재난 복구 기능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대부분의 기업들에게, 이러한 기능은 최우선적인 고려 사항이 아니기 때문에 충분히 가능성이 높다.

응답자의 65%는 비즈니스의 요구 사항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장 중요한 촉진 요인이라고 밝혔으며 이 점이 플랫폼의 강점으로 연결된다고 지적했다. IT 환경을 관리하는데 있어 가장 어렵고 값비싼 부분의 하나는 관리와 기획 분야이다.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컴퓨팅과 네트워크 리소스를 예상했던 것보다 더 많이 책정해 시스템을 설계한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을 도입할 경우 그럴 필요가 없어진다. 사용량이 줄어들면 리소스를 줄여 비용을 낮출 수 있다.

77%의 응답자는 ‘그린’ 정책이 아웃소싱의 중요한 촉진제라고 밝혔다. 그린 정책이 비용 절감과 연계된다면 클라우드 컴퓨팅도 그러한 분야 중의 하나에 해당된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이 단기간에 대세로 자리를 잡을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2008년의 경우 클라우드 컴퓨팅에게는 ‘길고도 뜨거운’ 여름으로 기록될 것이다. 구글의 지메일(Gmail)과 앱스(Apps) 서비스에 장애가 발생했으며 7월20일에는 아마존의 S3를 8시간 동안 이용할 수 없었다.
이와 같은 장애로 인해 IT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신뢰를 의심하게 되었으며 신뢰 회복을 위해서는 상당 기간이 소요될 수밖에 없으며 기업들로서는 백업 계획을 세워둘 수밖에 없게 되었다.

클라우드 도입시 SLA 잘 따져야 = 또한 WAN 비용 문제도 있다. SaaS에 필요한 추가적인 쓰루풋을 커버하기 위해 설정해둬야 하는 추가 대역폭은 애플리케이션의 유형에 달려있지만 네트워크 장애복구와 연결이 관건이다. 또한 기존의 IT 환경에 대한 투자 비중이 높은 기업들이라면 클라우드 컴퓨팅으로의 전환이 더욱 늦춰지게 될 것이다.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 도입을 고려할 때에는 제공 업체에게 몇 가지 중요한 질문을 해보아야 한다. 가장 중요한 것은 서비스 수준에 대한 것이다. 서비스 수준 협약(SLA)에는 서비스의 품질을 정확히 규정해야 하며 서비스 제공 업체가 SLA를 준수하지 못할 경우 어떤 책임을 질 것인지 확실하게 문서로 언급되어야 한다.

Monday, November 10, 2008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인가

비용절감, 탄력적 운영 등이 도입 효과

최근 IT업계에서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가트너가 선정한 2009년 10대 전략기술에 두 번째로 선정되기도 했으며, IBM과 마이크로소프트 등 최대 IT업체들도 클라우드 컴퓨팅에 막대한 투자를 시작했다.

국내에서도 1~2년 전부터 이에 대한 업계와 학계의 다양한 세미나가 열렸으면 조만간에는 한국클라우드컴퓨팅협의회도 생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무엇일까. 가트너는 2009년 10대 전략기술로 클라우드 컴퓨팅을 꼽는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활용으로 기업들의 시장 진입시 비용절감 탄력적 운영 등이 가능해진다는 것이다.

온라인 백과사전 위키피디아에 따르면 클라우드 컴퓨팅에서 클라우드(Cloud, 구름)는 인터넷 기반이라는 의미다. 쿨라우드는 컴퓨터 네트워크 구성도에서 인터넷을 구름으로 표현하는데서 나온 것이다. 숨겨진 복잡한 인프라 구조를 의미한다는 것이다. 또 컴퓨팅은 컴퓨터 기술을 사용한다는 의미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지난 2006년 9월 구글의 한 직원이 에릭 슈미츠 CEO와의 회의에서 처음 제안한 개념으로 알려져 있다. 이 개념은 서로 다른 물리적 위치에 있는 컴퓨터들의 리소스(CPU, 네트워크 밴드위스, 스토리지)를 가상화 기술로 통합해 제공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기업 IT인프라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구축 혹은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한 응용 프로그램에 이용돼 왔다.

웹2.0, SaaS와 같은 개념과 연관된 것으로 사용자들의 컴퓨팅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인터넷을 이용한다는 사실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시작된다. 가장 좋은 예로 구글 앱스(Apps)가 있다. 웹 브라우저를 이용할 수 있는 일반 기업 응용프로그램들을 온라인으로 제공하며, 소프트웨어와 데이터는 서버에서 저장되는 것이다.

유비쿼터스 시대에 적합

유비쿼터스 시대가 다가오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이 주목받고 있다. 모든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가정용 전자기기에 이르기까지 인터넷을 통해 연결되는 세상에서 지금까지의 관리 방식으로는 벅차기 때문이다.

지금처럼 한 서버에 모든 데이터와 리소스를 집중하는 방식으로는 유비쿼터스 시대에 따른 트래픽 증가를 당해낼 수 없기 때문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가능하지게 된 것에는 다행스럽게도 수십년간 거론돼왔던 가상화 기술의 안정성과도 연관돼 있다.

업계에서는 우리나라가 IT기반 기술에 있어서는 약점을 갖고 있지만 인터넷 활용 측면이나 인터넷 인프라 측면에서는 가장 앞선 만큼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 기대를 걸고 있다.

Saturday, November 8, 2008

IT자원 활용 `그리드`에서 `클라우드`컴퓨팅으로 진화


`그리드 컴퓨팅` 개념이 나온 지 수년이 지났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가운데, 인터넷이라는 웹 공간을 통해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이 급부상하고 있다. 국내 IT 기업들은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에 기반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찾기에 분주한 모습이다. 그리드 컴퓨팅 그리고 그의 `진화`한 모습인 클라우드 컴퓨팅을 살펴본다.

클라우드컴퓨팅…국내서도 시장선점 경쟁

애플리케이션ㆍ스토리지 등 사용량따라 대가 지불
국내서도 시장선점 경쟁… "기존개념 조합"비판도



국내에서도 `클라우드(Cloud) 컴퓨팅' 개념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한편에서는 기존의 SaaS(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 그리드 컴퓨팅 등의 개념 조합에 지나지 않는다는 혹독한 비판을 내놓고, 다른 한편에서는 차세대 비즈니스 모델을 낳을 새로운 컴퓨팅 영역이라는 찬사를 내놓으며 팽팽히 맞서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을 통해 IT자원을 온디맨드(주문형)로 빌려쓰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특정 소프트웨어를 인터넷 상(서버)에 올려놓고 쓰기 때문에 자신의 PC에 관련 SW를 설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없다. 이 때문에 SaaS와 유사한 개념이란 말을 듣는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이 최근 발표한 보고서(클라우드 컴퓨팅의 현재와 미래, 그리고 시장전략)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은 애플리케이션ㆍ스토리지ㆍ운영체제ㆍ보안 등 필요한 IT자원을 원하는 시점에 필요한 만큼 골라 쓰고, 사용량에 따라 대가를 지불하는 온디맨드 아웃소싱 서비스로 정의되고 있다.

보고서는 IT인프라에 대한 높은 유연성과 재무적인 장점으로 수요자층이 빠르게 늘 것으로 일단 긍정적인 전망을 내놓고 있다.

실제 메릴린치는 2011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1600억달러에 달하고, 이 중 950억달러는 비즈니스와 생산성 애플리케이션에서, 650억달러는 광고시장에서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이에 따라 벌써부터 한국시장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선점 경쟁이 시작되는 분위기이다. 삼성SDS 김인 사장은 임직원에게 보내는 사내 메일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비할 것을 당부했으며 이어 한국IBM도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를 개소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도 기민하게 움직이고 있다.

한국IBM은 우선 국내 금융기관과 통신사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둘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센터는 우선 금융, 통신사의 기존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관련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힘을 쏟게 된다. 이휘성 한국IBM 사장은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과 같이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직접 돈을 받는 비즈니스가 아니다"라며 "센터 개소는 고객에게 보다 나은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처럼 새로운 컴퓨팅 패러다임의 변화는 국내 포털ㆍ통신사업자ㆍSI기업에게 클라우드 인프라 제공을 통한 시장기회를 주고, 중소 SW기업은 저렴하게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하고, 솔루션을 글로벌 시장에 유통시킬 채널을 얻게 될것으로 전망된다.

SW진흥원 정제호 책임연구원은 "이같은 시장기회를 SW산업 도약의 기회로 삼기 위해 기업의 플랫폼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한국은 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중심을 둔 비즈니스 모델을 구축해온 반면, 위험도가 높은 플랫폼 기술 개발은 등한시 해 아직 이렇다 할 플랫폼 기업이 등장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비판론도 만만치 않다. 래리 앨리슨 오라클 회장은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미 다 있는 것을 다시 한 군데 몰아넣고 재정의한 것"에 불과하다며 "(클라우드 컴퓨팅은) 완벽한 횡설수설이고 정신나간 소리다. 이 바보 같은 얘기들이 언제쯤 끝날 지 궁금하다"고 혹평했다.

또 자유소프트웨어 운동의 대부 리처드 스톨만도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람들에게 폐쇄적이고 독점적인 시스템을 팔기 위해 만들어놓은 덫"이라며 "그 덫은 시간이 갈수록 사람들에게 점점 더 많은 비용을 지불하도록 요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활용분야로는 SaaS(Software as a Service), 유틸리티 컴퓨팅(Utility Computing),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웹 서비스 인 더 클라우드(Web Service in the Cloud) 등을 들 수 있다.

Monday, November 3, 2008

References

[1] Steve Bjorg, Differences between SaaS and Cloud Software, http://www.mindtouch.com/blog/2008/05/28/differences-between-saas-and-cloud-software
[2] Posted by Praising Gaw, VP Marketing,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Cloud Computing and SaaS? http://blog.fortiva.com/fortivablog/2008/05/what-is-the-dif.html

[3] http://agiletext.tistory.com/1

SaaS: Cloud Computing의 새벽
SaaS는 매력적이었다. 왜냐하면 설치, 배치, 유지보수의 복잡도를 모두 제거하였으며 아울러 Global Access가 용이하도록 하고 비용도 적절하였기 때문이다. 그 본질에 따르면 SaaS는 "Cloud"의 내부에 있으면서 효과적인 협업을 위한 고전적인 VPN과 같은 두통거리를 극복하였다. 보너스로 Transparent Backup 효과까지 가져왔다.

SaaS는 Cloud Computing에 다가서기 위한 위대한 첫걸음이다. 하지만 거기에는 중요한 결점이 있는데 그것은 바로 Control이다. 모든 실례를 보면 여러분의 데이터는 여러분의 것이 아니다. SaaS 벤더는 모든 Control을 할 수 있고 데이터를 소유할 수 있으며 여러분을 벤더에 종속시킬 수 있다. 일반 고객에게는 그것이 일반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나 기업 고객에게는 그것은 관심사가 된다.

짧게 정리하면, 벤더는 Control을 할 수 있으나 고객은 아니다. Cloud Computing의 초기에는 받아들일 수 있는 타협점이었으나 시대가 바뀌었고 Cloud는 진화하였다.

Cloud Software: Cloud Computing의 진화
Cloud Software는 Cloud Intrastructure 상에서 구축된다. SaaS와 비슷하게, Cloud Software는 즉각적인 만족감을 제공하고 단지 몇 분이면 그것을 사용할 수 있다. 벤더에 의존적이면서 Cloud Software는 SaaS처럼 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고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물론 Global Access가 가능하다.

그러면 큰 차이점은 무엇인가? 여러분의 데이터와 애플리케이션은 여러분이 Control 할 수 있는 서버 상에 위치하게 된다. 여러분의 Cloud Intrastructure 내부나 밖으로 데이터를 옮겨가는데도 제약이 없다. 이러한 서버는 여러분의 모든 실용적인 용도, 목적을 위해서 여러분의 실제 물리적인 데이터 센터의 서버들과 다르게 구성된다.

백업은 어떠한가? Cloud Software는 Cloud 내에서 구동되도록 설계되었다. 그 의미는 Data Repository를 Cloud Storage Fabric으로 Replicate 해야 할 필요성을 충족시킨다는 의미이다. 다시 말하면, 여러분은 Cloud Storage를 Control 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분은 필요하다면 여러분의 데이터를 Offline으로 Copy 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Scaling은 어떠한가? Cloud Software는 One to Many Machine 상에서 구동되도록 설계되었다. 이 의미는 여러분의 요구가 늘어남에 따라서 쉽게 Virual Infrastructure를 추가할 수 있고 Mix할 수 있다는 것이다.

Vendor Lock-In(벤더 종속적인)은 어떠한가? Cloud Software는 구동되는 것이 무엇인지 신경쓰지 않는다. Cloud Intrastructure에서는 모든 Machine은 동일한 것을 보고 있는데 그것은 여러분이 한 Provider에서 또 다른 Provider에게로 약간의 제약을 가지고 여러분의 Application을 옮길 수 있다는 뜻이다. 만약 필요하다면 여러분은 여러분의 물리적인 데이터 센터 쪽으로 그것을 옮길 수도 있다.

짤게 말하면, Cloud Software에서는 고객이 제어권을 가지게 된다.

Cloud Software는 SaaS를 대체하는가?
짧게 대답하면 "노"이다. 단순한 이유인데, 그것은 SaaS가 사용자 설정으로 하나의 서버에서 1,000 ~ 100,000명 까지의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잘 제공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기업 고객에서는 Cloud Software가 큰 이점을 가진다. 여러분의 데이터에 대한 Full Control의 이점과 Cloud Software의 Cloud Intrastructure에서의 이점은 SaaS Vendor가 지금까지 제공해 왔던 것보다 그 값어치가 낮다 . 고 부가가치의 Application은 Cloud Software로 옮겨갈 것이다. 왜냐하면 고객들은 제어를 하기를 원하기 때문이다. 반면에 SaaS는 무료 또는 저비용으로 Application과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해서 계속될 것이다.

Thursday, October 30, 2008

워드·엑셀 … PC에 안 깔고도 쓴다

MS, 인터넷 기반 소프트웨어 ‘윈도 애저’ 공개
인터넷 접속해 프로그램 실행
휴대전화·PDA로도 이용 가능

워드나 엑셀 같은 오피스 프로그램 없이도 언제 어디서나 문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바짝 다가왔다. 미국 마이크로소프트(MS)는 인터넷상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자료를 저장할 수 있게끔 하는 ‘윈도 애저(Windows Azure)’라는 소프트웨어(SW)를 27일(미국 현지시간) 공개했다.

◆모든 PC 작업을 웹에서=MS에는 ‘최고 소프트웨어 설계책임자(CSA)’라는 직함이 있다. 창업자인 빌 게이츠 전 회장이 오래 맡아 온 자리다. 2006년 이 자리를 물려받은 레이 오지는 이날 열린 ‘전문개발자 콘퍼런스(PDC)’에서 애저를 선보였다. 그는 “전 세계에 구축된 MS의 방대한 데이터센터를 활용해 웹 기반 컴퓨팅 분야에서 구글·아마존·IBM 등과 경쟁하겠다”고 말했다. 인텔과 함께 PC 시대를 연 MS가 차세대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에도 적극 참여하겠다는 선전 포고다.

구글과 IBM·선마이크로시스템스 같은 정보기술(IT) 강자들은 차세대 성장동력을 키우기 위해, 또 MS 윈도를 견제하기 위해 이 분야에 집중 투자해 왔다. 구글은 ▶개인 일정을 관리해 주는 캘린더 ▶웹 기반 e-메일 서비스인 지메일 ▶무료 오피스 프로그램인 오픈 오피스 등을 제공한다. IBM은 지난해 11월 ‘블루 클라우드’라는 이름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차기 주력 사업으로 키우겠다고 발표했다. 2010년 상용화를 목표로 200명의 연구원을 기용하기도 했다. 델도 지난해 하반기에 브래드 앤더슨 부사장을 팀장으로 하는 사업팀을 만들었다.

◆SW도 임대해 쓴다=PC는 본체에 강력한 프로세서를 넣고 수십~수백 기가바이트(GB) 용량의 하드디스크드라이브(HDD) 등 대규모 저장장치를 갖춘 제품이다. 여기에 윈도XP·비스타 같은 운영체제(OS), 그리고 그 위에서 돌아가는 오피스·인터넷 브라우저 같은 SW를 깐다. 이용자는 자기 PC에서 원하는 작업을 한 다음 결과를 저장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런 PC보다 1970년대 이전의 대형컴퓨터(메인프레임)와 닮았다. 인터넷으로 서버에 접속해 컴퓨터 작업을 하고 결과를 저장하면 된다. 강력한 서버가 연산과 저장을 모두 맡기 때문에 접속 단말기는 꼭 PC여야 할 이유가 없다. 성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휴대전화·PDA로 충분하다.





또 OS나 오피스 같은 값비싼 SW를 사서 PC마다 깔 필요가 없다. 한국MS 관계자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널리 보급되면 오피스 같은 프로그램을 직접 사는 기존 방식뿐 아니라 사용 시간에 따라 이용 요금을 내거나, 광고를 보는 대신 SW를 무료로 이용하는 것 같은 다양한 선택이 가능해질 것”으로 전망했다. 윈도와 오피스를 돈줄로 삼았던 MS까지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에 적극 나서면서 ‘PC 시대의 종언’이 앞당겨지는 게 아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가톨릭대 서효중(컴퓨터정보공학부) 교수는 “서버에서 원하는 SW를 불러와 작업하는 게 PC에서 직접 해당 프로그램을 돌리는 것과 차이가 없을 정도로 통신기술이 발달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이 부각됐다”고 말했다.

김창우 기자

◆클라우드 컴퓨팅=인터넷을 의미하는 클라우드(구름)에 접속해 원하는 서비스를 이용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정보는 인터넷상의 서버에 영구 저장되고 PC나 휴대용 기기 등 ‘클라이언트’에는 일시 보관된다. SW와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고 필요할 때마다 불러 쓴다.

소형 서버의 클러스터로 대규모 DW 구동

MS와 오라클, '확장성' 강화한 DW 신제품 출시

오라클과 마이크로소프트가 최근 소형의 저렴한 서버 클러스터로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스를 구동할 수 있도록 ‘확장성’이 강화된 신제품을 출시했다.

지난달 오라클은 HP 오라클 엑사데이터 스토리지 서버와 HP 오라클 데이터베이스 머신을 발표했다. 두 제품 모두 데이터 웨어하우스 쿼리에 대한 성능을 높이도록 개발되었다. 오라클 제품은 데이터베이스 프로세스의 부하를 덜어주고 디스크 I/O 대역폭을 증가시키기 위해 저렴한 HP의 하드웨어와 지능적인 오라클의 소프트웨어를 채택했으며 빌딩 블록으로 엑사데이터 스토리지 셀을 사용한다. 엑사데이터 스토리지 셀 버전의 성능은 1TB에 이르는 사용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1GBps의 I/O 대역폭을 전송할 수 있다.

최근 개최된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즈니스 인텔리전스 컨퍼런스에서, 마이크로소프트는 인수한 데이터 웨어하우스 어플라이언스 벤더인 DATAllegro의 기술을 마이크로소프트의 SQL 서버와 통합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그 첫번째 제품은 2010년에 선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움직임이 있기 전, 마이크로소프트는 고객들이 더 큰 규모의 웨어하우스가 필요할 경우 더 큰 SMP 서버를 구매하도록 유도하는 접근 방법을 취했었다. 이러한 방식은 운영이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용량을 감당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수직적인 확장(scale-up)에 비해 DATAllegro 기술은 수평적인 확장(scale-out)이 가능하다는 게 MS 측의 주장이다.

수평적인 확장 방식은 대규모 데이터 웨어하우징에 새로운 개념이 아니다. 테라데이타는 1984년부터, IBM은 90년대 중반부터, 오라클은 RAC로 10년 전부터 채택해왔으며 현재 그리드 컴퓨팅으로 이어지고 있다. HP 네오뷰(Neoview)를 비롯해 상당수 데이터 웨어하우스 어플라이언스 업체들은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Wednesday, October 29, 2008

클라우드 컴퓨팅, 미래의 그린IT 기술로 다가온다

최근 들어 IT 업계는 물론 향후 디지털 전반에 걸쳐 포커스가 클라우드 컴퓨팅에 맞추어져 그 중심에 설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지난 2006년 9월 세계적 검색 업체 구글의 크리스토프 비시글리아가 에릭 슈미츠 최고경영자(CEO)와의 회의에서 처음 제안한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이 화제를 불러 모았고 이어 전 세계 내로라하는 IT 업체가 관심을 표명하며 차세대 전략으로 삼겠다고 앞 다투어 발표하고 있다.

최근 보도에 따르면 대표적인 글로벌 IT 기업 야후, 인텔, HP가 공조체제를 구축하고 기존 패키지 소프트웨어에 대한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개발에 집착하고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여기서 슈미츠 구글 CEO도 "정보기술 패러다임을 바꿀 수 있는 엄청난 구상"이라고 말한 클라우드 컴퓨팅이 무엇인지 간략하게 그 개념을 이해하고 넘어가야 되지 않을까?

■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과 사례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PC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대신 인터넷에서 프로그램을 이용하게 하는 기술이다. 좀 더 이해를 돕자면 인터넷 공간에 분산되어 있는 서버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단말기로 인터넷에 접속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 예로는 구글, 야후, MS의 웹기반 이메일 서비스와 워드, 엑셀 등 온라인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구글 독스(Google Docs)서비스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사례를 정리하면 아래 도표와 같다.



■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해야 하는 이유?
디지털 시대인 오늘날 인프라 구축, 비즈니스 협업, 디지털 기기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실시간 데이터 스트리밍, 웹2.0 애플리케이션, 소셜 네트워킹, 모바일 거래 등의 급성장으로 현재 기반으로는 가속화되는 IT 환경을 유지하기에는 힘들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러한 다변화와 다중 환경 변화를 충분히 감당할 수 있는 컴퓨팅 환경진화에 답안으로 급부상하고 있는 것이 바로 클라우드 컴퓨팅이라고 IT 업계는 내다보고 있는 것이다.




한마디로 고객과 소비자가 요구하는 컴퓨팅 자원을 언제 어디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의 데이터센터에 데이터와 서비스를 집약시키고 인터넷이 가능한 컴퓨터를 포함한 모바일기기로 이 자원을 이용하도록 하는 것. 즉 클라우드 컴퓨팅은 웹2.0 시대를 맞아 웹2.0과 가장 잘 맞아 떨어지는 컴퓨팅 방식이다.
■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로 주목받는 기업, 클루넷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이용해 CDN서비스 대중화의 길을 열어 주목받는 기업이 있다. 지난 6월 24일 클라우드 컴퓨팅을 이용한 차세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서비스인 CCN(Cloud Computing Network)의 상용서비스를 시작한다고 발표한 클루넷이다.

이 CCN 서비스는 최신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인터넷상의 분산된 리소스를 하나로 통합해 가상의 슈퍼컴퓨터와 대형 네트워크 대역폭을 만든 뒤 이를 고속 콘텐츠 전송에 활용하는 서비스로 기존 CDN 서비스 대비 네트워크 효율성이 높아서 절반의 비용으로 최소 3배 이상의 전송속도 향상을 기대할 수 있는 서비스라는 점이다.

기존의 유저 PC자원을 사용하는 그리드(Grid) 방식에 비해 직접 계약을 통해 확보한 전국의 클라우드(Cloud)멤버를 활용해 유저자원을 전혀 사용하지 않아 기존 그리드(Grid)방식의 단점을 개선했고 대용량 콘텐츠를 여러 개로 분할해 동시에 전송하기 때문에 기존 전송방식보다 네트워크 효율성이 높아 고속 전송이 가능하다.

특히 인터넷을 통해 게임, UCC, VOD 등 콘텐츠 서비스 업체의 경우 콘텐츠를 고속 전송할 수 있는 CDN서비스가 필수적인 상황이지만 고비용과 과다한 트래픽으로 네트워크 회신 비용이 큰 부담인 것이 현실로 화질 저하 또는 해외전송 차단 등 고육지책을 동원하고 있기도 하고 VOD와 인터넷 강의 콘텐츠를 서비스 하는 업체도 이용자 상승과 비례해 네트워크 비용 또한 증가하는 관계로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회선을 공급하는 ISP 입장도 늘어나는 회선증설비용에 고민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 클루넷, CCN 서비스로 CDN서비스 대중화를 열어
그러나 CDN 서비스에 비해 절반의 비용을 강점으로 내세운 CCN 서비스의 등장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좋은 답안이 되고 있다. 클루넷 CDN사업본부장 황승익 이사는 “지금까지 고가의 CDN서비스로 인해 어려움을 겪어왔던 온라인게임,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 업체에게 절반 이하의 가격으로 고품질의 서비스를 공급할 것”이라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응용한 CCN 서비스를 통해 콘텐츠 산업발전에 일조하고 싶다”고 이번 CCN 출시의 의미를 설명해 주목받고 있다.

또한 SBS 올림픽 특집 사이트(olympic.sbs.co.kr)는 클루넷과 제휴하여 CCN(Cloud Computing Network)을 이용한 서비스로 국내의 높은 네트워크 기술을 과시함은 물론, 씨디네트웍스와 제휴하여 기존에는 불가능했던 2Mpbs급(초당 2Mbps 콘텐츠 전송) 초고화질 인터넷 생중계 서비스를 끊김 없이 구현해 TV와 같은 선명한 생중계를 가능하게 했다. 이것은 국내에 처음으로 선보이는 라이브 스트리밍 서비스 기술이었다.
■ 클라우드 컴퓨팅을 위해 풀어야 할 과제들
기업관계자들은 클라우드 컴퓨팅이 가져올 새로운 확장성과 유연성 그리고 비용 절감 측면에서는 상당히 호의적이지만 보안, 지연, 서비스 수준, 가용성에 대해 적지 않은 우려들을 갖고 있는데 그것은 통제권 상실에 대한 두려움이라고 한다.

물론 클라우드 컴퓨팅이 초기 단계인 지금의 시점에서는 그런 부분이 전무하다고 단언할 순 없다. 하지만 점차적으로 안정화되면 클라우드 컴퓨팅이 가져다 줄 상대적인 이익은 가늠하기조차 힘든 것이기에 애써 불안해하거나 조급할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다.

또한 모든 정보가 중앙에 집중됨으로써 클라우드 컴퓨팅이 보편화된다면 보안에 문제가 발생할 경우 정보의 유출을 어떻게 막을 것이냐 하는 보안 방법론이 그 하나다. 그러나 이러한 점을 배제하고 클라우드 컴퓨팅은 진화하지 않을 것으로 보는 것이 더 바람직할 것이다.

지금도 많은 서비스가 제공되며 발전하고 있는데 이는 보안에 가장 큰 비중을 두고 있기 때문이다. 메인 센터와 연동된 수많은 시스템과 사이트의 다양한 장애요인을 사전에 감지하고 통제할 수 있는 시스템 기반 확충이 전제되어야 한다는 논리에 부응하기 때문이다.
■ 클라우드 컴퓨팅은 미래의 그린IT 기술로 중심이 될 터
결론으로 클라우드 컴퓨팅은 그림 속의 떡은 분명 아니라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미국 경제주간지 포춘은 최신호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발달로 PC는 사망 선고를 당하게 되지만 결국 디지털라이프는 더욱 풍부해질 것”이라고 전망했으며 또한 “제2의 디지털시대가 다가오고 있다. MS 플랫폼이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혁명의 중심이 될 것이다”라고 빌게이츠 MS 전 회장이 미국 라스베이거스 국제가전전시회(CES) 기조연설에서 또 다른 디지털 혁명을 예고하고 나선 것도 클라우드 컴퓨팅이 거스를 수 없는 대세라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는 것이다.

미래의 우리 생활에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이 중심이 되어 모든 정보유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보다 많은 정보를 빠르고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될 것으로 전망되는 것이다. 어쩌면 지금 우리는 웹하드, 웹메일 등 초기 클라우딩 서비스를 사용하면서도 그 유용성과 가능성을 크게 체감하지 못하고 있는 지도 모른다.

비록 보안이나 통제력 등 몇 가지 예견할 수 있는 우려가 있다고 보지만 이것 또한 충분히 분석해 발전시켜 나간다면 머지않아 클라우드 컴퓨팅은 그린IT 기술로 우리 모두의 컴퓨팅 환경으로 깊숙이 자리 잡을 것으로 전망된다.

[차세대 스토리지]주요기업

◆한국EMC
 한국EMC(대표 김경진 korea.emc.com)는 차세대 신기술을 대거 채택한 ‘EMC CX4’ 시리즈와 ‘EMC 시메트릭스 DMX-4’를 중심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중대형 스토리지 시장에서는 SSD 기반의 플래시 드라이브와 그린IT 등 차세대 스토리지 기술을 적용한 EMC CX4 제품군을, 하이엔드 엔터프라이즈 시장에서는 혁신적인 아키텍처와 보안 기능, 에너지 효율성 등을 갖춘 EMC 시메트릭스 DMX-4 제품군을 앞세웠다.

 EMC CX4는 한국EMC가 중소기업도 대용량 저장공간을 활용할 수 있도록 미드레인지 스토리지 장비 가격으로 엔터프라이즈급 성능을 제공하는 제품이다. CX4 시리즈에는 파이버채널(FC)이나 iSCSI와 같은 유연한 접속과 확장성을 지원하는 울트라플렉스 신기술을 비롯해 플래시 기반의 SSD를 지원하는 등의 혁신 기술이 대거 채택됐다. 스핀다운 드라이브, 최적 냉각기술, 저전력 1TB SATA 드라이브와 같은 차세대 그린 스토리지 기술 등도 적용됐다.


현재 CX4는 국내 대형 포털사이트와 제조기업 등에 공급됐으며, 이를 기반으로 더욱 고른 사업군으로 레퍼런스 사이트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올해 초 선보인 EMC 시메트릭스 DMX-4는 세계 최초로 빠른 응답시간과 뛰어난 에너지 절감 효과를 제공하는 플래시 기반의 SSD를 통합한 제품이다. 또 스토리지 용량을 원하는 적시에 맞게 할당해주는 가상 프로비저닝(virtual provisioning), 세계 최초 1테라바이트(TB) SATA II 디스크 드라이브 탑재, 보안 로그 분석 및 리포팅 솔루션인 RSA 인비전 플랫폼 통합 등 혁신기술을 대거 적용했다. 대량의 정보를 빠르게 처리해야 하는 금융권과 서비스 업종 고객에게 최적의 스토리지 시스템이 될 수 있다.

 스토리지 하드웨어 교체주기는 대략 2∼3년으로, 이는 차세대 아키텍처를 반영한 새로운 기술을 선보인 스토리지 플랫폼을 발표하는 주기와 대략 일치한다. EMC도 이를 겨냥해 차세대 신기술을 채택한 제품들을 내놓은 것으로, 고객이 정보 인프라스트럭처 전략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주력할 계획이다.

◆한국IBM

 한국IBM(대표 이휘성 www.ibm.com/kr)은 지난 9월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포트폴리오 구축에 기반이 되는 스토리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품군 등 총 30여종의 신제품을 공개했다.

 IBM은 고객들의 데이터 센터 재설계에서 인터넷 규모의 가용성, 정보 통합·보유, 정보 보안의 세 가지 분야에 중점을 두고 새롭게 업그레이드했다. IBM은 우선 인터넷 규모의 가용성의 측면에서 소비자가 어디에서나 원격으로 데이터·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비할 수 있는 제품 컨셉트를 강조한다. ‘IBM XIV 스토리지 시스템’은 그리드 아키텍처 기반 하이엔드 스토리지다. RAID 6 보호 기능을 추가하고 새로운 대용량·고성능 최적화 드라이브를 사용했다. ‘IBM 시스템 스토리지 DS5000 시리즈’는 중형 데이터 센터 요구 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인터넷 규모 요구에 따른 인터페이스 추가, 성능 및 용량 확장, ‘on the fly’ 방식으로 재구성이 가능하다.

 IBM은 정보 유지(Retention)를 위해 데이터 센터 통합과 정보보유를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제품과 서비스를 발표했다. ‘시스템 스토리지 TS7650G ProtecTIER De-duplication Gateway’는 고객의 중복 데이터량을 최고 25분의 1까지 줄였다. 선택 가능한 두 개의 노드 클러스터링 및 시스템당 최대 1PB의 물리적 스토리지 용량을 제공한다. 또 ‘IBM 시스템 스토리지 DS8000’는 메인프레임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보유 고객을 위해 IBM 메인프레임 스토리지 기능을 추가한 제품이다.

마지막으로 정보 보안을 위한 제품도 있다. ‘IBM 시스템 스토리지 TS1130’은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의 1TB 스토리지 테이프 드라이브다. 고객들이 낮은 비용과 적은 에너지 사용으로 더 많은 정보를 보호하고 아카이빙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한석제 한국IBM 시스템테크놀로지 전무는 “전 세계의 IT 인프라가 효율적인 인터넷형 아키텍처로 빠르게 전환돼 가면서 리툴링(re-tooling)이 진행되고 있다”며 “IBM은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투자를 기반으로 리툴링에 요구되는 새로운 성능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HP

 한국HP(대표 최준근 www.hp.co.kr)는 가상화, 데이터 중복 제거, SSD, iSCSI 등을 중심으로 스토리지 시장을 공략한다.

 이들 토털 스토리지 솔루션으로 대기업 고객의 IT 자원 효율성을 높이고 더불어 최근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중소기업 시장 대상 영업도 강화한다는 구상이다.

 한국HP는 가상화와 관련해서는 ‘HP EVA(Enterprise Virtual Array)’ 시리즈를 통해 구현하고 있다. 데이터 중복 제거는 각각 중소기업과 대기업 IT환경에 최적화된 ‘HP 스토리지웍스 D2D 백업 시스템’ ‘HP 스토리지웍스 버추얼 라이브러리 시스템’ 등으로 고객 요구에 대응하고 있다.

 한국HP는 다양한 고객 IT환경을 수용할 수 있는 용량 효율성이 뛰어난 디스크 기반 백업 시스템을 제공하면서 고객별로 가격과 성능 간의 이상적인 균형을 제공하는 기술을 개발 중이다. 특히 최근에는 미국 본사가 가상화 및 iSCSI SAN 솔루션 전문업체 레프트핸드네트웍스를 인수함에 따라 가상화 전 영역을 실현할 수 있는 기술력을 확보, 경쟁력을 더했다.

 한국HP는 다음달 중순께 SSD가 탑재된 새로운 스토리지도 선보일 예정이다. SSD는 엔터프라이즈 고객을 위한 XP 제품군에 먼저 제공되며, 미드레인지급 제품군인 EVA에는 내년 상반기 중 적용된다. 한국HP는 SSD 스토리지 출시로 또 하나의 제품군을 구성, 고객의 선택권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 회사 음상진 스토리지사업부 총괄이사는 “급변하는 비즈니스 요구와 기하 급수적인 데이터 양 증가에 따라 고객들은 간소화된 관리와 편리한 사용, 비용 절감에 확장성까지 결합한 스토리지 인프라가 필요하다”며 “한국HP는 광범위한 스토리지 포트폴리오로 이 같은 추세에 대응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음 이사는 “한국HP는 효율성 개선을 통한 직접 구매비용 및 관리비용 절감에 초점을 맞춰 다양한 스토리지 신기술에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고 덧붙였다.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대표 류필구 www.his21.co.kr)은 최근 출시한 신제품 ‘히타치 AMS2000’ 시리즈로 차세대 스토리지 시장 경쟁에 뛰어든다.

 AMS2000은 성능·접속성·확장성·편의성 등을 개선한 차세대 미드레인지급 스토리지로 AMS2100/2300/2500의 세 모델로 구성됐다. 이 제품은 멀티패스 방식의 3Gb SAS(Serial Attached SCSI) 백플레인(backplane) 아키텍처를 채택, 가장 빠르고 비용 효율적인 정보처리 및 데이터 전송을 구현한다.

 또 SAS와 SATA II 방식 하드디스크드라이브의 완벽한 혼용으로 유연한 스토리지 계층화를 지원하기 때문에 단일 트레이에서 다양한 스토리지 계층을 복합적으로 처리할 수 있다.

 다이내믹로드밸런싱 컨트롤러를 적용한 것도 AMS2000 시리즈만의 강점이다. AMS2000은 이를 통해 기존 미드레인지 스토리지 시스템에서 흔히 발생하는 데이터 병목현상과 핫스폿(hot spot)현상을 제거했다. 이에 따라 데이터 입출력(I/O) 반응 시간이 감소됐으며, 스토리지 내에서 워크로드를 자동으로 분산시키는 것도 가능해졌다.

 이 밖에도 AMS2000 시리즈는 iSCSI, NAS, FC(Fibre Channel) SAN 등 다양한 스토리지 네트워크 환경에 사용할 수 있는 제품으로 99.999%의 완벽한 가용성을 보장한다. 사용자 편의 향상을 위해 개선된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지원하는 한편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에 접속하지 않을 때는 전원이 차단되는 파워 세이빙 기능도 내장했다.

 김성업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 마케팅팀장은 “AMS2000 시리즈 출시로 중소기업 고객의 효율적인 비즈니스 및 데이터센터 환경을 구현할 수 있는 솔루션 포트폴리오가 한층 강화됐다”며 “앞으로 중소기업에서 대기업에 이르는 다양한 기업의 요구를 충족시키는 폭넓은 스토리지 솔루션을 제공하겠다”고 말했다.

○ [전자신문] 2008/10/28 19:40

Wednesday, October 15, 2008

[차세대패러다임 클라우드 컴퓨팅-상]SaaS에서 꽃피다

고객 자원 통제로 웹 주도권 확보…IT 거대기업 '각축'

IT업계에 컴퓨팅 자원을 네트워크에 통합해 빌려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 화두가 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개념의 단계를 벗어나 이미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로 꽃피우고, 플랫폼으로서의 소프트웨어(PaaS Platform as a Service)로 진화하고 있다.

인터넷 기업을 비롯해 시스템, 통신, 단말기 업계까지 나서 각기 다른 개념으로 접근하면서 서비스에 대한 이용자들의 혼란도 적잖다.

그러나 이용자는 IT 비용 절감 및 업무 효율성 제고 차원에서, 기업들은 고객의 컴퓨팅 자원을 통제함으로써 웹 시장의 주도권을 가져갈 수 있다는 점에서 클라우드 컴퓨팅을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보고 있다.

이에 아이뉴스24는 시리즈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어떻게 흘러가고, 어떠한 점을 유의해야 할지 긴급 진단해본다. <편집자 주>



차세대 패러다임으로 급부상 중인 '클라우드 컴퓨팅'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IT 업계의 화두로 주목을 받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컴퓨팅 자원을 네트워크상에 통합해 놓고 어디서든 해당 자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한 것. 인터넷에 접속만 되면 단말장치나 장소에 관계없이 원하는 작업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을 지닌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구현하기 쉽고, 이용할 때만 요금을 지불하며, 자체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보다 관리 인원이나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는 점에서 현업 고객들로부터 관심을 불러 모으고 있다.

사업자 측면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은 매력적이다. 개인의 데스크탑 환경과 기업의 정보처리, 인터넷 서비스 등 모든 컴퓨팅 자원이 클라우드 컴퓨팅에 연계되기 때문에 사업자가 고객의 자원 통제권을 갖게 된다.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자가 차세대 서비스 시장을 주도할 수 있는 막강한 힘을 확보하게 되는 셈이다. 이러한 잠재력 때문에 IT 거대 기업들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 앞다퉈 진출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SaaS에서 꽃피다

사실 클라우드 컴퓨팅은 생소한 개념은 아니다. 이미 10년전 세일즈포스닷컴이 소프트웨어 유통 방법의 하나로 시작한 SaaS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초기 모델이라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오히려 오픈 플랫폼 환경에서 다양한 영역의 소프트웨어를 통합해 제공되는 진화된 SaaS 모델이 출현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이 SaaS 분야에서 꽃 을 피우는 상황이다.

SaaS 분야 간판 주자인 세일즈포스닷컴은 SaaS CRM 솔루션 업체로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 진출했으나 현재는 구글, MS와 손잡고 웹 기반 기업용 애플리케이션 통합 서비스를 광범위하게 제공함으로써 플랫폼 서비스 업체로 거듭나고 있다.

특히 SaaS는 현 단계에서 현업 고객들이 손쉽게 이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초기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조성에도 일조를 하고 있다는 평가다.






또 SaaS 서비스는 웹 호스팅이나 스토리지 임대 형태의 아마존 방식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보다 비용 절감 및 인력 관리의 효과를 가시적으로 더잘 보여준다.

이같은 장점 때문에 구글과 오라클, MS 등이 플랫폼 기반보다 SaaS 시장에 먼저 진출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업체도 결국 플랫폼 기반 서비스인 PaaS로 전환할 것으로 예상된다. 플랫폼을 장악한 사업자가 SaaS 사업자보다 더 많은 고객자원의 통제권을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SaaS 시장이 본격화 되면서 회사 내부에 구축된 소프트웨어와 SaaS를 통합시켜주는 문제도 관심사다.

SaaS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부미와 카보, 스냅로직, 캐스트아이언시스템즈 등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있다. 이들 업체는 SaaS 통합 개발 툴을 통해 한 소스에서 다른 소스로 데이터를 손쉽게 매핑하고, 새로운 형태의 웹 애플리케이션과 매시업을 구현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거대 IT 기업들의 또 다른 격전지

거대 IT 기업들도 속속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고객의 자원 통제권을 확보하면, 차기 웹 시장의 주도권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지난 2006년 스토리지 임대 서비스(S3)를 제공하면서 진출을 본격화 한 아마존을 비롯해 구글, 야후, 마이크로소프트(MS), 애플, 썬(SUN), IBM, 델, 시스코, AT&T, BT, NTT 등이 잇달아 서비스를 개시했거나 준비중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거대 인터넷 기업과 시스템 기업, 통신업체들의 또 다른 격전지가 되고 있는 것.

이들 기업들은 각 분야에서 선두 주자로 자리매김한 상황이지만 신규 수익 창출 차원에서 차세대 서비스 시장으로 부상 중인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을 넘보고 있다.

그러나 접근 방법에서는 차별화 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인터넷 기업의 경우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한 웹호스팅이나 스토리지 임대 서비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와 달리 시스템 업계는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네트워크나 장비 기반으로 기업 고객 내부에서 구현할 수 있도록 기반 설비 구축에 치중하고 있다.

또 통신 사업자는 자체 보유한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고도화된 네트워크 서비스에, 단말기 업계는 개인을 대상으로 한 유무선 연동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집중하고 있는 식이다.

◆주도권은 플랫폼 업계로

시장 주도권은 SaaS보다 PaaS 업계가 더 유리할 전망이다. 애플리케이션보다 플랫폼을 통제하는 게 지배력 측면에서 더욱 강력하기 때문이다.

아마존은 가장 먼저 시장에 진출, 중소기업과 개발자를 대상으로 스토리지 임대 서비스와 웹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이같은 클라우드 컴퓨팅 경쟁의 선두 업체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구글은 아마존을 맹 추격 중이다. 구글은 올 4월부터 웹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서비스에 구글 앱 엔진(Google App Engine)을 탑재, 플랫폼 사업자로 거듭나고 있다.

구글의 기업용 서비스뿐만 아니라 개발자들이 개발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할 수 있게 된 것.

여기에 모바일 공개 플랫폼인 안드로이드가 휴대폰 제조업체와 통신사의 지원을 받게 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의 접근성이 개인 영역까지 확대되고 있다. 구글은 이러한 장점을 무기로 아마존과의 격차를 좁혀가는 중이다.

MS는 소프트웨어와 호스티드 서비스를 결합한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에 승부를 걸고 있다. 그동안 PC 패키지 시장을 장악해왔던 업무용 소프트웨어를 온라인 호스티드 서비스로 새롭게 출시하고 메쉬업 기능을 강화하면서 플랫폼 서비스로의 진화를 모색하고 있다.

특히 MS는 야후 인수를 통해 분산 컴퓨팅 플랫폼으로 주목을 받고 있는 하두프를 활용하고자 했으나 최근 야후 인수가 불발로 끝나면서 전략 수정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고객 시장 겨냥한 클라우드 컴퓨팅 본격화

IBM과 시스코 등 시스템 업계는 기업을 겨냥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 구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을 유틸리티 컴퓨팅의 진화 모델로 보고, 시장 접근을 꾀하고 있는 것.

기업 고객은 회사 기밀 유출이나 안정성 문제로 컴퓨팅 자원을 전적으로 외부에 의존하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부정적일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업 고객 내부에 데이터센터를 기반으로 한 전사적인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구현함으로써 이같은 문제를 예방하는 동시에 클라우드 컴퓨팅의 장점을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AT&T와 BT, NTT 등의 통신사업자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에 적극적이다.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는 웹 호스팅 관점에서 데이터센터를 중심으로 구현되기 때문에 네트워크 기술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대역폭 관리 능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통신사업자는 네트워크 관리 능력뿐만 아니라 위치정보, 유저ID, 빌링 등과 같은 네트워크 서비스 API를 공개해 서비스 영역을 확대할 수 있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서 핵심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휴대폰 제조업체인 애플과 노키아도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통해 하드웨어 업체의 이미지를 벗고 서비스 업체로 도약을 추진 중이다.

애플의 모바일미는 유무선 연동 서비스를 지원하며 실시간 데이터 공유를 통해 모바일 이용자가 PC의 데이터와 서비스를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애플은 조만간 3세대 아이폰의 인기에 힘입어 1천만명의 모바일 고객 접점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들 사용자를 대상으로 모바일미 기반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구현할 경우 단기간내 시장 지배력이 크게 확대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클라우드 컴퓨팅은 이같은 IT 대기업의 대거 진출에도 불구하고 보안과 서비스 안정성이라는 문제로 대중화에는 시간이 필요할 전망이다.

회사 기밀이 유출되거나 서비스가 중단될 경우 천문학적인 피해를 입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클라우드 컴퓨팅 선두업체인 아마존과 구글이 올들어 각각 서비스 장애를 보이면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불신도 적지않다.

아마존은 이러한 서비스 불신을 제거하고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모니터링해주는 클라우드 스테이터스(CloudStatus) 서비스를 도입했다. 구글도 서비스 안정화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이다.

Saturday, October 11, 2008

Cloud Computing

Cloud computing refers to the Internet based development and use of computer technology.

Cloud computing refers to the Internet based development and use of computer technology where the "cloud" represents the Internet. This is because on network diagrams, the Internet is often depicted as a cloud. The cloud hides a substanital technical infrastructure that the user doesn't need to understand in any level of detail, he just needs to connect to it to access its resources.

Essentially, cloud computing enables computer software and hardware resources to be accessed over the Internet without the need to have any detailed or specific knowledge of the infrastructure used to deliver the resources, much like a utility model. You really don't need to know what the phone company or electric company does on there end to enable calls and allow the lights to go on when you flip the swith; and, you really don't want to know as long as when you plug into it, it works.

Cloud computing is very similar to a utility and includes numerous models such as Software as a Service (SaaS), Web 2.0, and other technology models that rely on the Internet or a Web browser to access the services.

Cloud computing infrastructure consists of reliable services delivered through next-generation data centers that are built on computer and storage virtualization technologies. The services are accessible anywhere in the world, with the cloud serving as a single point of access for all the user's computing requirements.

There are numerous benefits to cloud computing, especially for small businesses as it eleviates numerous infrastructure costs and technology burdens. In August 2008 Gartner Group noted that "organizations are switching from company-owned hardware and software assets to per-use service-based models" and that the "projected shift to cloud computing will result in dramatic growth in IT products in some areas and in significant reductions in other areas".

BENEFITS OF CLOUD COMPUTING

In a cloud computing environment, customers typically do not own the infrastructure, they are simply accessing or renting the use of it. By sharing the environment across multiple tennants, the customer can easily scale during peak loads while only paying for resources they actually use. This enables computing capacity to increase dramatically while minimizing expenses.

A significant benefit to cloud computing is that it is highly scalable. It has a very low cost of entry since much of the initial costs of hardware, data center facilities, and technical staff are eliminated and it becomes much easier to meet rapidly evolving user requirements without needing to build for peak loads.

Cloud computing also enables platform and device independence since the applications are browser based they can be accessed from virtually anywhere and from virtually any device.

The partners at CyberOptic Group have been invovled in cloud computing since long before cloud computing was even in use as a term.

CyberOptic Group leverages cloud computing to provide enterprise-class commerce solutions to small to mid-sized businesses featuring: NO Capital Expenses, NO Licensing Fees, NO Technical Administrator Needed, NO Proprietary Vendor "Lock-In', Multi-Platform Web-Based Architecture, Highly Secure & Fault Tolerant Infrastructure & Rapid Deployment. Via cyop

[from: http://thisissurya.blogspot.com/]

Thursday, October 9, 2008

클라우드 컴퓨팅 업계에 뜬 샛별들

저비용 고성능 내세우며 혁신적 IT리소스 구축 및 운영방법 제시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세간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비교적 알려지지 않은 벤더들이 이 시장에 속속 진입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Appirio, Coghead, Kaavo, Mosso, ParaScale을 비롯한 수많은 신생 업체들이 아마존닷컴과 구글, HP, IBM, 마이크로소프트, 썬 마이크로시스템즈 등 거대 업체들의 틈바구니 속에서 패키지 제품이 아닌 서비스 형태로, IT 리소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시장에 뛰어들고 있다.

이름만 들어도 ‘주눅’이 들만한 대형 업체들 속에 이러한 신생 업체들이 시장에 진입하는 배경은 무엇일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은 소프트웨어와 서버, 스토리지, 미들웨어, 가상화, 보안, 관리 툴 등을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것으로, 어떠한 대형 벤더들도 모든 것을 다 제공하기란 쉽지 않다는 데에 그 이유가 있다. 신생 업체들은 혁신과 틈새 시장을 무기로, 낮은 가격에 높은 성능을 제공한다는 점을 내세워 시장을 공략하고 있다.

2004년에 설립된 ParaScale는 리눅스 서버를 기반으로 클러스터 스토리지를 개발할 수 있는 ParaScale Cloud Server의 베타 소프트웨어를 테스트 중이다. 이 회사의 소프트웨어는 아마존의 S3(Simple Storage Service)처럼 다른 벤더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정 기업의 IT 부서에서 자사 데이터 센터 내부에 S3와 같은 클라우드를 개발하는 데도 사용이 가능하다.

ParaScale은 구조화되어 있거나 트랜잭션 용도의 데이터보다는 영상이나 가상기기의 이미지, 의료 이미지 등과 같이 요청이 있을 때에만 제공되는 체계화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를 전문으로 다룬다. 일반적으로 컨피규레이션이 진행될 경우 100Mbps급 쓰루풋을 제공하는데, 이는 아마존의 S3 서비스보다 약 10배 빠르다는 것이 ParaScale측의 주장이다.

소프트웨어에 대한 정확한 가격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하드웨어를 포함해 기가비트당 1~1.5달러 수준이 될 것으로 알려졌다.

설립된 지 1년 된 Elastra는 아마존의 EC2(Elastic Compute Cloud)를 토대로 소프트웨어와 서비스를 제공한다. 사용자들은 EC2에 직접 가입할 수 있지만 Elastra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고 구축하는 마크업 언어 등 아마존이 제공하지 못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Elastra 및 여러 신생 업체들은 다른 벤더들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확장되도록 툴과 소프트웨어 계층을 제공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Kaavo는 아마존이나 FlexiScale, GoGrid 등을 포함해 여러 클라우드 서비스에 필요한 관리 인터페이스를 개발하기 위해 지난 해에 설립되었다.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한 데이터를 관리하고 배포하는 것은 리던던시에 중요하다.

또한 3Tera, Elastra, ParaScale 등 신생 업체들은 데이터 보호와 거버넌스, 신뢰성에 대한 우려 없이, 신속하고 유연한 프로비저닝을 구현함으로써 공공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IT 기업들에게 ‘사설 클라우드(private clouds)'를 제공하는 토대가 될 수 있다.

여기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도입하고 운영하는데 필요한 클라우드 기반의 IT 인프라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는 20개의 클라우드 신생 업체를 살펴보고 대표적인 기업 8개를 선정해 기업 현황을 소개한다.

Elastra
이중 목적의 서버
Elastra는 공공 및 사설 클라우드 모두를 목표로 하고 있다. Elastra Cloud Server는 클라우드 애플리케이션의 설계와 도입, 관리를 위한 소프트웨어 번들로, 아마존의 EC2의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며 Cloud Server는 VM웨어의 엔터프라이즈 버전이 공개되면 데이터 센터 내부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Elastra의 고객은 웹 업체와 SasS 벤더, Palo Alto Software 등과 같은 전통적인 소프트웨어 업체가 해당된다. Palo Alto Software는 Cloud Server를 아마존 EC2와 함께 사용해 이메일 관리 애플리케이션과 이메일 프로 센터(Email Pro Center)를 소기업들에게 서비스 형태로 제공한다.

모든 신생 업체들이 안고 있는 문제는 신뢰성 확보이며, Elastra는 이 문제에서 어느 정도 벗어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현재까지 60여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아마존을 포함해 우량 투자사도 보유하고 있다.
Elastra의 경영진도 기업용 소프트웨어 시장에서 ‘잔뼈'가 굵은 인물들이다. 설립자인 키릴 셰인크만은 플럼트리 소프트웨어(Plumtree Software)의 공동 설립자이자 CEO였으며 그 이전에는 스탠포드 테크놀로지 그룹(Stanford Technology Group)의 CEO로 재직했다.

올해 41세인 셰인크만은 플럼트리에서 2002년에 기업을 공개한 후 이른 나이에 은퇴한 뒤 샌프란시스코에서 뉴욕으로 이주해 주식 거래를 하면서 도시 생활을 즐기고 있었다. 그 뒤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선봉에 서게 되었다. 그는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기타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가상 IT 시스템에 쉽게 결합할 수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대변혁을 일으킬 것으로 판단, 지난해 실리콘 밸리로 돌아와 Elastra를 설립하게 되었다.

Elastra는 EC2에서 Cloud Server를 제공하는 것으로 비즈니스를 시작했으며 현재는 오픈 소스 LAMP 스택에서도 소프트웨어 레이어를 구현하는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Kaavo
벤더에 독립적인 클라우드 제어
Kaavo에 대해 가장 먼저 알아야 할 사항은 과거 IT 전문가였던 인물에 의해 설립되었다는 점이다. 두 번째는 이 회사의 소프트웨어로, 이는 인프라스트럭처 앤 미들웨어 온 디맨드(Infrastructure and Middleware On Demand)라고 불리며, 공중 클라우드에서의 IT 리소스를 설정하고 관리하는데 사용된다.

Kaavo의 설립자 겸 CEO인 자말 마자르는 썬의 인증을 받은 J2EE 설계자로, 금융 회사인 ING 미국 사업부의 서비스 부문장 출신이다. 최근 그는 ING의 IT 부문장 출신인 샤자드 퍼베즈를 CTO로 영입했다.

지난해 11월에 설립된 Kaavo는 처음에는 아마존의 EC2 서비스용 J2EE 기반의 클라우드 관리 툴을 개발했다. 현재는 FlexiScale과 GoGrid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용 기능도 개발 중이다.

Kaavo의 기술은 현재 테스트가 진행되고 있으며 조만간 공개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표적인 기능들로는 JBoss, MySQL을 비롯한 여러 소프트웨어 계층 구성, 서버 모니터링 등이다. 패치 관리나 런타임 컨피규레이션 관리 등도 개발되고 있다. 또한 클라우드 서버에서 스토리지에 대한 데이터 암호화 작업도 진행되고 있다.

Nirvanix
온라인 스토리지를 넘어선다
Nirvanix의 CEO인 패트릭 하르는 “클라우드에서는 스토리지 시스템을 유틸리티처럼 사용할 수 있다. 또 온 디맨드 형태로 확장이 가능하며 유지 보수 문제에서도 자유로울 수 있다"고 밝혔다.

Nirvanix는 온라인 백업 서비스와는 다르다. 이 회사의 스토리지 딜리버리 네트워크(Storage Delivery Network)는 독점적인 가상 파일 시스템을 토대로 개발되었다는 것이 하르의 설명이다. 일반적인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의 경우 고객의 애플리케이션은 물리적인 시스템과 관련된 네임스페이스에 기록한다. 시스템이 변경될 경우 새로운 타깃에 써야 한다. 하지만 SDN은 애플리케이션을 하나의 드라이브처럼 보이게 하기 때문에 여러 위치에 있는 여러 드라이브에서도 데이터가 쓰여질 수 있다.

클라우드에 보관된 데이터에 애플리케이션의 요청이 들어오면 Nirvanix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데이터 센터로부터 전송하기 때문에 반응 시간이 매우 빠르다.

Nirvanix는 아마존의 S2와 유사한 접근 방법을 채택, 기업들이 SDN을 웹 서비스 형태로 사용하도록 개발했다.

지난해 공식 출범한 이후 Nirvanix는 1,800만 달러의 벤처 펀딩을 확보했으며 450여 고객사를 보유하고 있다. 지난 6월, Nirvanix는 아카이빙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인 Atempo와 협력 관계를 체결했다. Atempo의 파일 아카이빙 소프트웨어는 Nirvanix와 통합되어 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는 기업들은 로컬 형태나 클라우드 형태에서 파일을 아카이브할 수 있다.

Engine Yard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위한 인프라
Ruby on Rails 개발자들은 기존의 소프트웨어와 시스템이 아닌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주력하고 싶어하는데, Engine Yard의 클라우드 서비스 형태의 Ruby는 이를 가능하게 해준다.

소셜 네트워킹 사이트인 WePlay.com은 Engine Yard의 초기 도입 업체이다. 투자자들에는 데릭 지터, 르브론 제임스도 포함되어 있다. WePlay는 Ruby 개발자의 내부 팀이 있지만 시스템 관리자나 IT 지원 인력은 보유하고 있지 않다. Engine Yard가 나머지 부분을 해결해주기 때문이다.

지난 7월, Engine Yard는 아마존 등이 참여한 New Enterprise Associates로부터 1,500만 달러의 자금을 유치하는데 성공했다. 펀딩에 성공함으로써 Engine Yard은 사업 확장에 박차를 가할 방침이다. 현재 Ruby on Rails을 비롯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개발 플랫폼인 Vertebra의 상용화를 앞두고 있다.

Appirio
클라우드소싱의 선두주자
설립된 지 2년이 된 Appirio는 클라우드 통합과 마이그레이션, 애플리케이션 개발,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간 데이터 동기화를 위한 웹 스토리지와 애플리케이션도 공급한다.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아마존 웹 서비스나 세일즈포스닷컴의 Force.com으로 전환할 계획이라면 Appirio가 그 해답이 될 수 있다. Appirio는 아마존과 구글, 세일즈포스 등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 업체와 협력 관계를 체결했다.

100명에 달하는 직원을 보유한 Appirio는 CEO인 크리스 바빈과 마케팅 및 기술 총괄 부사장인 나린더 싱, 최고설계자 제이슨 오울레테 등 웹메쏘드 출신 베테랑들이 경영진에 포진해 있다.

Appirio의 제품과 서비스, 클라우드 및 SaaS 제공 업체와의 제휴 관계, 그리고 클라우드에서의 애플리케이션 통합 경험은 IBM과 와이프로 테크놀로지스 등 경쟁자들과 견주기에 손색이 없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RightScale
클라우드의 조율자
비디오 애니메이션 전문 업체인 Animoto는 디지털 사진을 사용해 사람들이 뮤직 비디오를 만들 수 있게 해주는 페이스북 애플리케이션을 지난 4월에 출범했다. 단 3일만에 25만 명의 사람들이 접속해 Animoto의 아마존 EC2 클라우드 서버를 40대에서 4,000대까지 사용량을 폭증시켰다.

Animoto는 신생 업체인 RightScale의 관리 플랫폼을 사용해 문제를 해결했다. Animoto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하는 아마존 서버는 다중 업무를 수행할 수 있다. RightScale을 통해 고객들은 미리 패키지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를 사용해 아마존 클라우드에서 서버를 활용할 수 있다.

지난해 설립된 RightScale은 고객들이 아마존 웹 서비스(EC2, S3, SQS)에 MySQL 데이터베이스와 서버 소프트웨어 템플릿을 매월 500달러의 요금에 최대 15,000시간까지 이용하면서 구축할 수 있게 해준다. 도움이 필요한 기업들을 위해 RightScale은 컨설팅과 맞춤형 개발 서비스도 제공한다.

RightScale의 공동설립자인 소르스텐 폰 아이켄은 아마존의 CTO인 베르너 포겔스와 대학 친구로, 아마존의 웹 서비스에 RightScale이 참여하는데 결정적인 도움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RightScale은 FlexiScale, GoGrid, Mosso로 지원 서비스를 확대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Skytap
버추얼 소프트웨어 테스트
Skytap은 온 디맨드 서비스로 가상 IT 인프라를 제공한다. Skytap의 Virtual Lab은 데이터 센터에 있는 소프트웨어 스택 구성과 유사하게 가상 기기를 도입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사용자들은 솔라리스나 윈도우 등 운영체제를 선택할 수 있으며 MySQL과 SQL 서버 등 데이터베이스도 선택이 가능하다. 또한 VM웨어의 ESX, 시트릭스 젠소스 하이퍼바이저, 향후의 마이크로소프트 하이퍼-V를 사용한 VM도 선택할 수 있다.

최근 Skytap은 IT 담당자들이 데이터 센터의 확장을 위해 Skytap을 사용할 수 있도록 웹 서비스 API와 원클릭 VPN 접속 기능을 추가했다.

Virtual Lab은 기능과 성능, 품질 보증을 위한 소프트웨어 테스트를 지원하며 생산 이전 단계에서도 사용이 가능하다. HP의 경우 로드러너(LoadRunner)의 성능 테스트를 위해 Skytap를 사용하고 있다.

하드웨어나 데이터 센터의 공간, 비용이 부족한 IT 부서라면 리소스 확장을 위해 Virtual Lab을 사용할 수 있다. 운영체제와 스토리지에 대한 풍부한 액세스를 제공하기 때문에 품질 보증과 성능 확인을 위한 테스트를 다양하게 진행할 수 있다.

Skytap은 호스트 서비스 제공 업체인 Savvis와 VDI Works를 포함해 20여 고객사를 확보하고 있으며 주요 투자사로는 Madrona Venture Group, Ignition Partners, Washington Research Foundation Capital 등이 있다.

CohesiveFT
서비스로서의 서버(Servers As A Service)
융통성이 있는 서버란 무엇일까?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에 새로 진입한 CohesiveFT는 맞춤형 구성이 가능한 것으로 온 디맨드 형태의 가상 서버로 지칭된다.

CohesiveFT는 전체 IT 운영을 클라우드로 전환하지 않고 작은 부분에서부터 시작하려는 기업들을 대상으로 서비스 형태의 소프트웨어를 제공하고 있다.

CohesiveFT의 가상 서버는 데비안(Debian) 리눅스를 구동하며, 향후 우분투와 레드햇의 페도라 리눅스, 윈도우 서버 2008을 지원할 예정이다. 사용자들은 아파치나 톰캣, MySQL 등 다양한 오픈 소스 코드를 운영체제와 결합시킬 수 있다. 가상 기기의 옵션에는 VM웨어 ESX와 시트릭스 젠소스가 포함되어 있다.

이 회사의 가상 기기 구현 포털은 애플리케이션에 웹 서비스가 기본으로 추가되어 있어 사용자들은 애플리케이션을 원격으로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CohesiveFT의 FT는 원래 경영진들이 재직했던 금융 업종을 상징하는 Cohesive Financial Technologies를 의미했지만 클라우드에서 가상 기기의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Flexible Technologies로 바꾸었다.

그 밖의 클라우드 신생 업체들
클라우드 컴퓨팅 분야의 신생 업체들은 소프트웨어 개발 업체와 IT 부서에게 다양한 서비스와 구성 툴, 애플리케이션 관리 툴을 비롯해 방화벽을 통한 ‘사설 클라우드'를 제공한다. 위에서 언급한 8개의 클라우드 컴퓨팅 신생 업체들 외에 IT 전문가들이 주목해야 할 12개 업체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Coghead
아마존 웹 서비스에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호스팅 업체로 Paas(platform as a service)라는 플랫폼이 대표적이다. 2003년 설립되었으며 워크플로우와 데이터 통합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Enomaly
Enomalism 2.0 컴퓨팅 플랫폼은 가상기기의 이미지를 아마존 EC2 서버로 송수신할 수 있게 해주는 오픈 소스 애플리케이션 개발 및 구축 기능을 제공한다. 2004년에 설립되었다.

Heroku
아마존의 EC2를 토대로 한 Ruby on Rails 개발 및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현재 베타 테스트가 진행 중이다. 2007년에 설립.

Hyperic
CloudStatus 성능 모니터링 서비스가 베타 테스트 중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와 구글 앱 엔진의 애플리케이션 성능을 모니터링한다. 회사 설립 연도는 2004년.

Intridea
아마존의 EC2를 토대로 한 Scalr는 로드 밸런싱과 데이터베이스,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탑재된 오픈 소스 호스팅 환경이다. 2006년에 설립.

Joyent
서버와 스토리지 등 온 디맨드 가상 인프라를 Accelerators라는 이름으로 제공한다. 2004년에 설립.

Layered Technologies
리눅스와 솔라리스, 윈도우, 마이크로소프트 하이퍼-V 가상 서버를 호스트 서비스 형태로 제공하는 온 디맨드 전용 서버를 갖추고 있다. 2004년에 설립.

Mosso
Rackspace의 한 사업부인 Moss는 온 디맨드 형태로 디스크와 대역폭을 비롯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한다. 2006년에 설립.

ParaScale
ParaScale의 Cloud Storage 소프트웨어는 공중 및 사설 클라우드를 위해 리눅스 서버에서 클러스터 형태의 스토리지 환경을 구현했다. 2004년 설립.

Relationals
LongJump라는 애플리케이션 호스팅 서비스를 제공한다. 새로운 자바 기반의 개발 제품도 최근 공개했다. 2003년 설립

10Gen
리눅스 기반의 그리드 관리 소프트웨어로, 객체 데이터베이스와 애플리케이션 서버, SDK를 포함하고 있다. 2008년 설립.

3Tera
AppLogic 그리드 운영체제는 기가비트 이더넷을 통해 접속된 서버에서 구동되며 공중 및 사설 클라우드에서 사용될 수 있다. 2004년 설립.

Wednesday, October 1, 2008

"클라우드 컴퓨팅은 횡설수설에 불과"

IT업계의 새로운 트렌드로 부상한 클라우드컴퓨팅(Cloud computing)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이 쏟아지기 시작했다. 더욱이 최근엔 컴퓨팅업계의 거물들까지 신랄한 표현을 써가며 부정적인 견해를 표출해 클라우드컴퓨팅 전도사들을 당혹케 했다.

 기업용 솔루션의 대표 주자 오라클의 래리 엘리슨 CEO는 지난주 열린 애널리스트데이 행사장에서 클라우드컴퓨팅을 일시적인 ‘유행(fashion-driven)’이자 뜻을 알 수 없는 ‘완전한 횡설수설(complete gibberish)’이라고 꼬집었다. 세계 소프트웨어산업의 거물이 IT업계의 최신 화두인 클라우드컴퓨팅의 정체성을 두고 던진 매우 강한 어조의 비난이었다.

 ‘오라클은 클라우드컴퓨팅과 관련해 무엇을 하고 있는가’하는 질문을 받은 그는 “클라우드컴퓨팅과 관련해 재미난 것은 이미 우리가 하고 있는 모든 것을 포함하기 위해 재정의되고 있다는 점”이라며 “클라우드컴퓨팅이 아닌 것을 찾을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다. 또 “컴퓨팅산업은 여성 패션보다 더 유행을 좇는 산업이 됐다”며 “언제 이 바보같은 짓을 멈출 것인가”라고 반문했다.

 이와 함께 “오라클도 클라우드컴퓨팅과 관련된 발표를 하겠지만 기존 광고 문구에 변화를 주는 것 말고 무엇을 차별화할 수 있을지 모르겠다”고 덧붙였다.

래리 엘리슨의 이 같은 견해는 세계 오픈소스 진영의 대부인 리처드 스톨먼의 메아리로 이어졌다.

최근 영국 유력 일간지 가디언과 인터뷰에서 스톨먼은 클라우드컴퓨팅은 ‘함정(trap)’으로 규정하고 이를 이용하는 ‘바보같은 행동’을 그만 둬야 한다고 경고했다. 무료소프트웨어재단(FSF)의 창립자이자 공개운용체계(OS) 개발 프로젝트인 GNU의 창시자인 그는 “클라우드컴퓨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많은 비용이 요구되는 폐쇄적이고 독점화된 시스템을 사도록 강권하는 과대 마케팅 캠페인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사용자들이 로컬 서버와 자신의 개인 컴퓨터에 머물 것을 주문했다. 프라이버시 옹호론자이기도 한 그는 “웹 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이유 중 하나는 통제권을 잃고 있다는 점”이라며 “다른 사람의 웹서버나 독점화된 프로그램을 사용하면 결국 방어력을 잃고 프로그램 개발사의 손에 놀아나게 된다”고 주장했다.

 클라우드컴퓨팅은 PC와 서버·데이터센터 등 전 세계 컴퓨팅 자원을 네트워크로 연결, 저장하고 다양한 유무선 기기와 인터넷으로 접근·활용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글·마이크로소프트·아마존·HP·IBM 등 대형 IT업체들이 앞다퉈 관련 전략과 서비스를 선보이고 있다. 심지어 컴퓨터 제조업체인 델은 클라우드컴퓨팅이란 용어의 상표등록까지 추진했다가 거부된 바 있다.

 이정환기자 victolee@etnews.co.kr

“웹기반SW 쓰지마”…리처드 스톨만, 클라우드컴퓨팅에 직격탄

세계 오픈소스 운동의 대부로 불리우는 리차드 스톨만이 최근 IT업계에서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어리석은 행동'(stupidity)이라고 직격탄을 날려 주목된다.

스톨만은 웹기반 SW로 대표되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쓰게되면 특정 업체에 종속되고 비용도 늘어날 것이라고 경고했다고 씨넷이 30일(현지시간) 가디언을 인용해 보도했다.

스톨만은 클라우드 컴퓨팅으로 인해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정보에 대한 통제권을 외부 업체에 넘겨주게될 것을 지적했다.

이는 비독점 소프트웨어에 대한 그의 신념을 반영하는 것이다. 스톨만은 "웹애플리케이션을 쓰지 말아야할 한가지 이유는 통제권을 잃게된다는 것"이라며 "그것은 독점SW를 쓰는것만큼 나쁘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또 "당신이 소유한 컴퓨터에서 자유와 관련된 SW를 갖고 독자적으로 컴퓨터를 사용하라"며 "독점 SW 또는 웹기반 애플리케이션을 쓰게되면 무방비 상태에 빠지게 된다"고 우려했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란 웹사이트를 비롯한 애플리케이션, 스토리지, API 등을 유틸리티형 데이터 센터에 통합한 뒤 PC나 휴대폰으로 이같은 컴퓨팅 자원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구글 G메일과 같은 웹기반 SW서비스인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가 대표적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플랫폼으로서의 웹 시대를 맞아 '차세대 플랫폼 맹주'를 꿈꾸는 IT거인들 사이에서 확보해야할 전략적 거점으로 떠올라 있다.

그러나 스톨만은 "클라우드 컴퓨팅은 과장된 마케팅 캠페인"이라고 깍아내려 눈길을 끌었다.

Tuesday, September 30, 2008

가트너, "클라우드 둘러 싼 과열경쟁이 혼란 야기"

가트너가 클라우드 컴퓨팅의 정의를 둘러 싼 과도한 경쟁이 오히려 IT 업계에 혼란을 부추기고 있다고 자제를 요청하고 나섰다.

가트너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대용량의 IT 관련 기능들이 인터넷을 통해 여러 외부 고객들에게 서비스로 공급되는 형식의 컴퓨팅”으로 정의하고 있다. 하지만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용어가 매우 느슨하게 적용되고, 또 다르게 정의되고 있어서 시장에서 혼란이 생기고 있다는 것.

최근에는 거의 대부분의 IT 업체가 클라우드란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데, 하드웨어 제품을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고, SaaS(software-as-a-service)나 가상화 기술을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다. VM웨어의 CTO 스테판 헤로드는 최근 클라우드란 용어에 대해 “가상화 이후에 가장 남용되고 있는 용어”라고 하기도 했다.

가트너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여러 가지 정의를 두 개의 범주로 나누었다. 하나는 인터넷을 통해 원격으로 서비스와 컴퓨팅 자원에 액세스하는 “클라우드”에 중점을 둔 것이고, 다른 하나는 서비스 기반의 컴퓨팅을 생성하고 전달하는 가상화나 자동화 관련 기술의 사용에 중점을 둔 것이다.

전자의 경우에는 CRM이나 급여관리 서비스와 SaaS 애플리케이션부터 아마존의 EC2 서비스처럼 웹을 통해 스토리지나 프로세싱 성능에 액세스하는 서비스까지 포함된다.

후자의 경우에 대해서 가트너는 “전통적인 데이터센터 접근 방식의 확장으로, 외부 써드파티 업체에서 제공하는 장비나 서비스 없이도 기업 내부 시스템 전체에 적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양자 모두 클라우드에 대한 접근 방법으로는 유효하지만,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는 이 두 가지 방식을 서로 명확하게 분리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 가트너의 주장이다.

가트너는 “사용자들이 내부 시스템 생성에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관련 개념이나 기술을 사용할 때 클라우드 컴퓨팅과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구분하는 것이 좋다. 물론 서비스나 기술 모두 중요한 개념이지만, 이들 둘은 관련은 있지만 서로 다른 것이기 때문이다”라고 강조했다.

한편 가트너는 클라우드 컴퓨팅이 향후 컴퓨팅 환경을 변화시킬 핵심 개념이 될 것이라는 판단 하에 관련 보고서를 지속적으로 발표해 왔다.

가트너는 최근 “Key issues for cloud computing"이란 보고서를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은 가장 인기있는 최신 IT 용어의 하나가 되었지만,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방법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 보고서는 ”클라우드 컴퓨팅은 글로벌 규모의 아키텍처나 웹 플랫폼, 대규모 프로세싱 등의 트렌드가 융합되면서 확산되고 있다. 특히 플랫폼 관점에서 복합적인 애플리케이션과 비즈니스를 가능하게 해 IT와 기업 모두에게 근본적인 변화를 가져다 줄 잠재력을 갖고 있다. 기업들은 이런 변화를 잘 소화해 내야 하며, 어떤 과대광고를 무시해도 되는지 잘 파악하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Monday, September 29, 2008

BigTable' Tablet Representation

새로운 데이터가 들어올때.
BigTable의 DB 무결성을 유지하기 위해서 메모리기반의 버퍼를 유지하고 또한 그 버퍼의 Copy를 이용해서 계속 서비스를 유지하게 하면서 minor compaction을 수행한다. 물론 minor compaction이 완료가 되면 메모리를 지운다.

그 강의에는 나오지 않았지만, 업데이트시를 정리해본다.(나름 추측하는 부분도 써넣었다.)

1. redo log를 작성한다.
2. tablet server가 METADATA table을 읽어들여 redo log가 가르키는 해당 SSTable을 읽어 들인다.
4. 해당 SSTable을 메모리(memtable)에 로딩하여 필요한 부분을 업데이트 시킨다.
5. 로그나 SSTable 인덱스에 그 해당 레코드를 삭제 표시한다.(나의 예상이다)


write시는 좀 간단하다.
1. redo log를 작성한다.
2. memtable에 쓴다.


문제는 memtable이 full이 났을때와 검색시인데.

강의에서 memtable이 풀이 나버리면 기존의 memtable을 freeze하고 새로운 memtable을 하나 복사한 다음에 새로운 SSTable로 쓰는 작업을 백그라운드에서 한다. 쓰는 도중에 복사된 memtable로 계속적으로 서비스가 가능하다.
물론 새로운 SSTable에 할당이 완료되면 그 memtable은 지워지고 commit log또한 지워진다.

이를 minor compaction이라고 하는데 문제는 삭제되거나 update된 데이터를 어떻게 처리하느냐다.

검색시 나오지 않게 하기위해서는 SSTable index에 삭제된 데이터로 표시를 하거나, Log에 표시를 함으로써 검색이 바로 되지 않게 하는 방법도 있겠다. 물론 Lucene에서는 삭제된 파일을 표시하기 위한 파일을 하나 유지한다. 바로 그런 방법으로 삭제된 데이터나 업데이트 된 데이터에 대해서 정확도 유지를 하지 않을까 해본다. 물론 업데이트자료에는 memtable의 데이터에 우선권을 두는 방식으로 하면되겠고.

그래서 중요한게 major compaction이다.
이는 여러개의 SSTable을 하나의 SSTable로 병합하는 건데. 이렇게 병합하면서 삭제된 표시가 된 데이터에 대한 실제 삭제 작업을 하게된다.
루씬에서도 증분색인을 하면서 이와 똑같은 작업을 한다. 실제 merge작업시 삭제 표시된 문서를 지우고 메모리에다 segment를 만들면서 다 완성이 되면 파일로 쓰고 old segment 파일을 지우는 로직이다. 그래서 절대 색인이 깨지거나 데이터가 날라갈 이유가 없다.
또한 색인중에도 검색이 가능한 이유도 되겠고.
BigTable도 마찬가지로 저장중에 정확한 검색이 가능하고, 갑작스런 시스템 다운시 복구가 빠르다.

BigTable 과 루씬 인덱스 간의 비교를 간단하게 해봤다.
BigTable 대 Lucene
memtable : ramsegment
SSTable : FileSegment
compaction : incremental indexing
Log : 루씬은 없음


Log를 이용한 atomic transection이 불가능한게 Lucene과 BigTable의 File 오퍼레이션의 유일한 차이점인거 같다.(Log를 유지하지 않아도 루씬은 색인 데이터가 날라가지 않는다. 왜냐면 old segment 파일을 유지하기 때문이다.)

그러니 그런 SSTable 구조를 루씬 인덱스로 대체하고, 거기다가. BigTable에 나오는 Chubby Server, Master Server, Tablet Server만 잘 버무리면 reliable한 대용량 검색엔진도 가능할거 같기도하다.

방금 Typos님에게 이런식이면 어떠냐구 물어봤는데, 그게 nutch 구조라고 하신다. ㅋㅋㅋㅋ

역시나 잘나가는 DB들은 장점을 공유하는거 같다.
이렇게 해서 DB 무결성은 유지가 되는거구.

오랜만에 Lucene 파일구조를 다시 살펴보고 그랬다. 역시나 비교 분석은 새로운 정보를 얻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ㅎㅎㅎ

내일은 BigTable의 다른 부분에 대한 고민을 해봐야 겠다.

[출처] http://www.freesearch.pe.kr/566

MS, 그리드기술 개발 '전력투구'

마이크로소프트(MS)가 차세대 고성능 컴퓨팅 기술로 주목받고 있는 ‘그리드(grid)’ 기술개발을 강화한다.

토니 헤이 MS 테크니컬 컴퓨팅 담당 부사장은 MS가 윈도 운용체계의 클러스터 컴퓨트 버전을 개발하고 있으며, 그리드 산업 표준 단체들과 더욱 긴밀히 협력할 계획이라고 4일(이하 현지 시각) C넷과 가진 인터뷰에서 밝혔다.

여러 대의 컴퓨터가 하나의 컴퓨팅 업무를 공동으로 수행토록 하는 방법을 뜻하는 그리드 컴퓨팅은 산업계에서 아직까지 뚜렷하게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상황이지만 자원 활용의 효율성 때문에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점차 주목받고 있다.

<>데이터 그리드 분야에 주력=지난 6월 MS에 영입된 헤이 부사장은 MS가 많은 기업 및 표준 단체들이 추진하고 있는 ‘컴퓨트 그리드’보다 ‘데이터 그리드’ 개발에 노력을 집중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데이터 그리드’란 이용자들이 다른 자원에서 정보에 접속한 후 한 컴퓨팅 업무의 일부분으로 데이터를 결합하도록 설계된다.

데이터 그리드를 적용하면 병원의 경우 X레이 정보를 자체 이미징 시스템에서 보면서 동시에 다른 위치에서 관련 환자 데이터에 접속할 수 있다. 금융 서비스 업체는 네트워크를 통해 엄청난 분량의 정보를 보내지 않고도 여러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연구자들은 날씨를 예측할 때 위성 데이터를 가진 센서로부터 데이터를 발췌하게 된다.

그는 4일 보스턴에서 열린 그리드월드 콘퍼런스에서 학계가 사용하는 그리드 기술이 비즈니스 애플리케이션에도 적용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그리드를 통해 컴퓨팅 파워를 공유하는 것보다는 정보를 공유하는 데 초점을 맞추는 것은 학계 및 연구 집단들 사이에 논의되고 있는 내용을 반영하기 위해서라고 말했다.

<>제품 출시 및 협력도 활발=MS는 그리드 컴퓨팅 분야에 제품으로 ‘윈도 서버 2003 컴퓨트 클러스터 에디션’을 내놓았다. 이 제품은 리눅스보다 실용적인 대안이 되도록 하겠다는 목표 아래 개발됐다. MS는 지난 9월 열린 프로페셔널 개발자 콘퍼런스에서 64비트 프로세서에 알맞게 개발된 ‘윈도 컴퓨트 클러스터 솔루션’ 베타 버전도 공개했다. 빌 게이츠 MS 회장은 오는 11월 시애틀에서 열리는 SC/05 슈퍼컴퓨팅 콘퍼런스에서 기조연설을 할 예정이다.

MS는 컴퓨터 사이의 업무 분배 전략을 수립하는 그리드 미들웨어 업체 ‘플랫폼 컴퓨팅’과 파트너십을 맺을 예정이다.

헤이 부사장은 자사가 고성능 컴퓨팅 분야에서 영향력을 확대하려면 리눅스 및 유닉스 시스템과의 상호운용성이 요구되며, MS는 글로벌 그리드 포럼과 같은 표준 단체에 더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MS가 현재 개방형 및 상호운용성 표준 분야 단체들과 관계 맺기를 원하며, 오픈소스 제품과 공존할 수 있는 상용 그리드 SW를 만들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MS는 그리드로부터 다른 데이터 자원에 접근할 수 있는 미들웨어를 만들기 위해 ‘OGSA-DAI(Open Grid Services Architecture Data Access and Integration)’라는 데이터 접속 표준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일루미네이터의 조나단 유니스 분석가는 데이터 그리드가 컴퓨트 그리드보다 개발하기 어려우며 MS는 고성능 컴퓨팅 시장에서는 아직 국외자일 뿐이라고 단언했다.

그는 “MS는 다양한 컴퓨터에서 가동될 수 있는 그리드 애플리케이션용 표준 기반 툴인 ‘글로버스 툴킷(Globus Toolkit)’이 윈도에 잘 적용되도록 해야 할 것”이라며 “(MS가 시도하는 방법은) 그리드 산업에서 이미 폭넓게 도입된 것을 훼손하는 방법이자 글로버스 툴킷 도입을 지연시키려는 전술”이라고 비판했다.

[출처] http://www.etnews.co.kr/news/detail.html?id=200510060109

Thursday, September 25, 2008

한국IBM "스토리지 아닌 '정보관리'에 집중"

30여개 정보관리제품군 '소나기' 출시…클라우드컴퓨팅 기술 적용

한국IBM(대표 이휘성)이 30여개에 이르는 스토리지 서비스 제품군을 대거 출시하면서 단순 스토리지 영업이 아닌 정보관리 부문 강자로 올라서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이 회사는 23일 서울 힐튼호텔에서 IBM의 고객 및 업계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인포비전2008' 행사를 개최하고, 자사 스토리지 하드웨어와 티볼리 관리소프트웨어, 글로벌테크놀로지서비스(GTS)의 정보관리 서비스가 결합된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포트폴리오(정보관리제품군)'를 발표했다.

30여가지에 이르는 한국IBM의 정보관리제품군은 사용자들이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컴퓨팅' 개념을 기반으로 설계됐다는 점이 특징이다.

◆싸고 무한확장 가능한 정보관리 솔루션 필요

이번 행사를 위해 방한한 IBM 본사 정보관리제품군 총괄 크레이그 스멜서 부사장(사진)은 "현재의 스토리지 시스템과 솔루션으로는 2011년이면 20억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인터넷 접속 인구와 1조 개에 이르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단언했다.

폭증하는 데이터를 수용하기 위해서는 기업 내 정보 저장 시스템과 관리 업무 솔루션이 정보 증가와 같은 규모 및 속도로 진화해야 비로소 가능한데, 그러자면 천문학적인 비용이 투입되는 것은 물론 물리적인 공간 부족과 업무 비효성 증대 등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의 문제가 새로 발생한다는 것이다.

스멜서 부사장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IBM은 지난 3년간 20억달러를 투자해 9개국의 2천500여명의 기술자들이 연구를 거듭한 끝에 비용 효율적이면서도 사용자가 수십억명에 달하더라도 정보저장관리를 얼마든지 확장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해 냈다"면서 "이를 제품화한 30여개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포트폴리오'를 오늘 소개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IBM의 정보관리제품군을 적용하게 되면 정보 저장장치가 어떤 종류이던 관계없이 언제 어디서나 원격으로 데이터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클라우드컴퓨팅' 환경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스토리지 하드웨어는 물론 정보의 생성과 관리, 보안 및 각종 규제 대응까지 '정보'에 대한 총체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고 스멜서 부사장은 강조했다.

IBM, 정보 관리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한국 IBM(대표 이휘성, www.ibm.com/kr)은 오늘 세계 최고 성능의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포트폴리오 구축에 기반이 되는 최대 규모의 스토리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제품군을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신제품과 서비스는 기존에 기업, 정부 기관, 기타 단체들의 내부 저장소에서 관리돼 온 정적 데이터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사용자들이 장소에 구애 받지 않고 어디에서나 접근할 수 있는 다이내믹한 데이터로 전환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소비자들은 이제 자신의 정보를 ‘몸에 지니고 다니며’ 언제 어디서든 실시간으로 헬스케어, 보안, 엔터테인먼트, 사회 활동에 관련된 정보를 축적하고 활용하는 소비 패턴을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정보 관리 요구를 기존의 데이터 센터로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모바일 웹의 증식, 차량에서 파이프라인에 이르기까지 모든 것을 연결시키는 센서 네트워크, 온라인 의료 기록의 확산과 웹 2.0 데이터 및 소셜 네트워킹의 폭발적인 증가로 인해 2020년에는 일반인의 일인당 ‘정보 생산량’이 16배까지 증가할 것으로 IBM은 내다보고 있다.

IBM은 이러한 요구에 맞춘 인프라스트럭처 개선을 위해 ‘새로운 전사적 데이터 센터(New Enterprise Data Center)’ 전략의 일환으로 주요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신제품군을 선보였다. IBM은 고객들의 데이터 센터 재설계에 있어 가용성, 규제 준수, 보유, 보안에 중점을 두고 자사 포트폴리오 전반에 걸쳐 30개 이상의 신규 및 업그레이드 제품과 서비스를 발표했다.

인터넷 규모의 가용성(Availability): 현재의 인프라스트럭처를 통해서는, 2011년이면 20억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인터넷 접속 인구와 차량, 기기, 카메라, 도로, 파이프라인 등 1조 개에 이르는 ‘인터넷으로 연결된’ 개체들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기업 내 방대한 양의 온라인 정보 관리업무를 인터넷과 같은 규모와 속도로 진화시킴으로써 수십 억 명에 이르는 개인 사용자에게로 확대해주는 비용 효과적인 확장형 테크놀로지가 고객 기업의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에 있어 필수 요소로 요구되고 있다. 기업들은 소비자들이 어떠한 장치를 사용하느냐에 관계없이 어디에서나 원격으로 데이터 및 시스템에 접근 가능하게끔 관리하는 새로운 면모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비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IBM은 인터넷 확장 가용성을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제품과 서비스를 발표했다.

‘IBM XIV 스토리지 시스템’은 지난 1월 XIV 인수를 통해 개발된 신개념의 그리드 아키텍처 기반의 하이엔드 스토리지로서 매우 경제적인 TCO 효과를 제공하면서도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이 요구하는 일관된 성능과 기능, 안정성, 가용성, 확장성, 그리고 100% 가상화를 통한 혁신적인 관리의 편의성을 제공하여 정보저장의 비용과 복잡성을 줄이는 동시에 오늘날의 광범위한 작업을 위한 신속한 데이터 접속을 지속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최상의 솔루션이라고 할 수 있다.

‘IBM 시스템 스토리지 DS5000 시리즈’는 점점 까다로워지는 중형 데이터 센터 요구 사항에 부합하기 위해 인터넷 규모 요구에 따른 인터페이스 추가, 성능 및 용량 확장, ‘on-the-fly’ 방식으로 재구성이 가능한 새로운 디스크 스토리지 시스템이다.

IBM은 ‘IBM 시스템 스토리지 SAN Volume Controller(SVC)’를 통해 주요 애플리케이션의 활용률, 에너지 효율, 가용성, 확장성을 개선하는 스토리지 솔루션을 통해 고객들이 더욱 효율적으로 비즈니스 데이터 용량을 관리하고 통합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스토리지 가상화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또한 IBM은 스토리지 최적화 지원 방식으로서 고가용성의 글로벌 클러스터 NAS 시스템을 신속하게 실행하여 데이터 스토리지 문제를 완화하는 유연한 스토리지 가상화 서비스인 새로운 SOFS (scale out file services)를 발표했다

정보 유지(Retention): 오늘날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는 동일한 정보의 중복 저장과 지나친 에너지 비용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비효율성을 겪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2008년 중 전력 및 공간 부족에 이르는 데이터 센터가 전체의 50% 정도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앞으로 5년간 미국내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소비량이 미국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1.5-2.5%를 차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부합하기 위해 IBM은 데이터 센터 통합과 보유를 가능하게 하는 일련의 제품과 서비스를 발표했다.

지난 4월 딜리전트 테크놀로지스(Diligent Technologies)를 인수한 IBM은 고객들이 중복 데이터량을 최대 25분의 1까지 줄여 과부화된 정보에서 오는 혼란스러움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하는 ‘시스템 스토리지 TS7650G ProtecTIER De-duplication Gateway’ 등 새로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제품군을 선보였다.

또한 IBM은 아스널(Arsenal)인수를 통해 오프사이트에서 주요 데이터 사본을 보유/백업하고, 재해 상황의 경우에도 온사이트에서 이메일, 미션 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과 데이터의 지속적인 가용성을 보장하기 위한 ‘Onsite and Remote Data Protection’ 제품군을 선보였다.

‘IBM 시스템 스토리지 TS3500’은 10 평방 피트의 바닥 공간에서 동일한 공간에 최대 3배의 카트리지를 저장(썬 대비 약 2배), 데이터 통합에 따라 심각하게 불거지고 있는 데이터 센터의 물리적 공간 문제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고밀도 테이프 스토리지 라이브러리 프레임이다.

‘IBM 시스템 스토리지 DS8000’은 메인프레임의 대용량 데이터베이스 보유 고객들을 위해 IBM 메인프레임 스토리지 기능을 추가하는 업그레이드된 고급 디스크 제품이다.

업데이트된 디스크 제품에는 RAID 6 보호 기능도 있으며, 새로운 고용량 고성능 최적화 드라이브를 사용하여 동일한 공간에서 스토리지 용량을 50%나 높임으로써, 고객들이 데이터 센터 비용과 에너지 사용량을 줄일 수 있게 지원한다.

정보 보안(Security)과 규제 준수(Compliance): 데이터 센터 내 저장된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고 승인된 사용자만이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문제가 데이터 센터의 규모에 상관없이 가장 큰 우려 사항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데이터 센터 해킹에 따른 데이터 도난과 소비자 신용카드 정보의 무단 사용으로 인해 기업에 미치는 손실이 6,000만 달러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기업과 정부 데이터베이스에서부터 10억 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는 모바일 인터넷 인구에 이르기까지 데이터의 가용성과 인증이 올해 주요 우선 순위가 되고 있다. IBM은 또 규제 준수 솔루션을 통해 복잡한 규제 환경의 문제점을 해결해준다.

IBM은 ‘IBM 시스템 스토리지 DR550’을 통해 디스크 용량을 33% 높이는 강화 드라이브를 출시함으로써 규제 준수 디스크 스토리지 제품군을 강화하고 있다. EMC Centera와는 달리,

IBM 시스템 스토리지 DR550은 써드파티 ISV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파티셔닝이 가능하고 디스크와 테이프를 모두 사용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총소유비용과 전력 소모를 최대 50%까지 줄일 수 있다.

‘IBM 시스템 스토리지 TS1130’은 현재 썬 제품을 크게 능가하는 세계에서 가장 빠른 속도의 1TB 스토리지 테이프 드라이브로, 고객들이 보다 낮은 비용과 에너지 사용으로 더 많은 정보를 보호하고 아카이빙할 수 있도록 한다. 테이프 카트리지 당 1TB의 비압축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어, 이전 세대 IBM 드라이브에 비해 스토리지 백업을 최대 54% 빨리 완료할 수 있다.

정보에 잠금 장치를 해서 열쇠를 가진 사람들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스토리지 정보 보안 및 암호화 키 관리 분야에서는 IBM이 분실이나 도난시에도 디스크와 테이프 스토리지에 위협이 없도록 키 관리 자동화를 지원하는 새로운 ‘TKLM (Tivoli Key Lifecycle Management)’ 소프트웨어를 선보였다.

고객들이 늘어나는 작업량을 해결하면서 비용 효과적으로 IT 인프라를 모니터링, 보호,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새로운 ‘RMIS (Remote Managed Infrastructure Services)’도 발표했다. 이러한 서비스는 기존 환경에 대한 방해를 최소화하는 새로운 효율적인 IT 관리와 보안 모델을 제공하기 때문에, 고객들이 현장에서 기존 자산을 유지 관리할 수 있다.

IBM은 이번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신제품군 발표를 통해 스토리지의 활용을 고객의 비즈니스 우선순위에 맞추고 대규모 데이터 이전시 위험, 비용, 복잡성, 계획에 대한 고민을 줄여주는 동시에 고객을 위한 전략적인 설계와 실행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게 됐다.

IBM의 혁신과 개발, 인수를 통해 이루어진 오늘 발표 내용은 20억 달러의 투자, 3년간의 연구 개발, 프랑스, 독일, 이스라엘, 일본, 멕시코, 싱가포르, 스위스, 미국, 영국 등 총 9개국에서 참여한 2,500명이 넘는 글로벌 기술 전문가, 엔지니어, 연구 팀 투입에 따른 성과다.

이 밖에 IBM은 지난 2년간 XIV, 딜리전트, 코그노스, 아스널, 옵팀, 파일스X, 소프텍, 노버스CG 같은 기업들의 인수합병을 통해 오늘 발표된 가장 강력한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제품 포트폴리오에 전략적 요소를 더해 왔다.

이번에 방한한 크레이그 스멜서 (Craig Smelser) IBM 티볼리 스토리지 및 보안 개발 부사장은 "전세계의 IT 인프라가 수십 년이 넘은 클라이언트 서버 모델에서 매우 효율적인 인터넷형 아키텍처로 빠르게 전환돼 가면서 리툴링(re-tooling)이 진행되고 있다”라며, “IBM은 적극적이고 지속적인 투자를 기반으로 한 이번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출시를 통해 이러한 리툴링에 요구되는 혁신적인 사고방식과 새로운 성능을 제시하는 동시에 IBM이 고객과 비즈니스와 함께 하는 방식을 잘 보여주고 있다”라고 밝혔다.

그는 또 “고객이 데이터 센터의 가치를 극대화하고 최종 사용자인 소비자들에게 지능적이고 혁신적인 제품을 제공하는 것 이상의 비즈니스 기회란 있을 수 없다”면서, “HP나 EMC, 또는 썬이 아닌 바로 IBM이 수십 년간의 연구, 업계 지식, 시장 리더십을 바탕으로 고객들을 위해 이러한 현실을 가능하게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고객들이 데이터 센터 전환 이니셔티브를 가속화하고 새로운 IBM 인포메이션 인프라스트럭처 제품을 데이터 센터에 통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IBM은 전세계적으로 ‘새로운 전사적 데이터 센터 리더십 센터(New Enterprise Data Center Leadership Center)’를 구축할 계획이다.

미국과 유럽 등지에 위치하게 될 이들 신규 센터에는 500명이 넘는 IBM 엔지니어와 전문가들이 근무하면서 고객과 함께 하고 에너지 효율성, 통합, 가상화, 비즈니스 탄력성, 보안, 서비스 관리, 정보 인프라에 있어서 솔루션과 모범사례에 중점을 두게 된다.

클라우드컴퓨팅 사업 불지핀다

한국IBM, '클라우드컴퓨팅센터' 개소… 국내 업계도 예의주시


국내에서도 `클라우드 컴퓨팅' 이슈화를 위해 IT 기업들이 불을 지피기 시작했다. ▶8월26일자 9면 참조

클라우드 컴퓨팅은 기존 그리드 컴퓨팅, 유틸리티 컴퓨팅, 소프트웨어 서비스(SaaS) 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인터넷 기반의 대용량 컴퓨팅을 가능케 하며 고객의 비즈니스에 효율성과 유연성을 더한다.

삼성SDS 등 IT 업계가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하고 있는 가운데, 한국IBM이 클라우드 컴퓨팅센터를 연다.

한국IBM은 18일 신라호텔 영빈관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IBM 글로벌 조직 중 6번째로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를 설립한다고 밝혔다.

한국IBM은 특히 국내 금융기관과 통신사를 대상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는 데 초점을 둘 계획이다. 이에 따라 센터는 우선 금융, 통신사의 기존 애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관련 솔루션을 개발하는 데 힘을 쏟게 된다.

이휘성 한국IBM 사장은 "구글의 클라우드 컴퓨팅 모델과 같이 (서비스를 통해) 고객에게 직접 돈을 받는 비즈니스가 아니다"라며 "센터 개소는 고객에게 보다 나은 컴퓨팅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삼성SDS 김인 사장은 사내 메일을 통해 임직원들에게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분석가들은 이번 IBM의 센터 설립에 대해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선점을 통해 차세대 데이터센터 사업 등을 연계시키기 위한 것이지만 이 개념이 고객에게 설득력을 갖기까지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들 것으로 보고 있다.

김무종기자 mjkim@

◆사진설명:18일 서울 장충동 신라호텔에서 열린 IBM 한국클라우드컴퓨팅센터 오프닝 기자간담회에서 닉 도노프리오 수석 부회장, 이강윤 상무, 윌리 츄 부사장, 이휘성 사장(왼쪽부터)이 IBM의 전세계 6개 클라우드컴퓨팅센터가 표시된 글로브를 공개한 후 박수를 치고 있다.

가상화든 클라우드 환경이든 오픈소스가 적합

“가상서버나 클라우드 환경은 오픈소스 기반 위에서 이뤄져야 한다. 이것은 가상화나 클라우드가 지니고 있는 본래 목적을 최대한 달성하기 위한 전제 조건이라고 할 수 있다.”

레드햇 플랫폼 사업부 총괄 부사장인 스캇 크렌쇼는 22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레드햇 플랫폼이 서버가상화나 클라우드 환경에 가장 적합한 기반임을 강조했다.

스캇크렌쇼는 “고정된 서버환경에서는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어렵고, 고비용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IT구성을 바꾸는 방법을 구하는 고객들의 요청이 이어졌다. 또한 어떤 애플리케이션이 특정 서버에서만 작동되는 것을 벗어나, 니즈가 발생하는 순간마다 유동적으로 자원을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고자 했다”며, 가상화와 클라우드 컴퓨팅은 출발부터 오픈소스를 배경에 두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대부분의 클라우드는 리눅스 상에서 돌아간다. 고객들이 자원을 좀 더 유연하게 이용하고, 성능 및 용량을 최적화하기 위한 방법에는 두 가지가 있다. 관계사들과 가용 pool을 만들어서 공유하거나, 아니면 온디맨드(주문형 소프트웨어)로 클라우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다. 그러한 이유로 클라우드가 오픈소스와 적합한 것"이라며 부연 설명했다.

그는 이어, "오픈소스 기반인 레드햇 인프라 아래에서는 전용서버(dedicated Servers)든지 가상서버(Virtual Servers)든지 온디맨드 클라우드(On-demand Clouds)든지에 관계없이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 목표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이식성(portability)과 상호운용성을 보장할 수 있도록 개방형표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이번에 레드햇이 발표한 MRG(메세징, 리얼타임, 그리드)가 이 역할을 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레드햇 MRG는 지난 6월에 북미와 유럽시장에 소개된 멀티플랫폼 메세징 시스템이다. 한국에는 올해 11월경에 릴리즈 될 예정이다.

오픈소스의 경우 보안에 더 취약할 수도 있다는 업계의 우려에 대해, "리눅스가 이제껏 전 세계적으로 확산 될 수 있었던 중요한 이유가 보안이 잘 되어있다는 점이다. 오픈소스는 한 줄의 코드라도 추가되면, 본격 활용되기 전에 먼저 수만 명의 검증을 거친다. 어떠한 결함도 숨기는 게 아니라, 공개해서 방도를 취하는 것이 오픈소스가 지닌 강점"이라고 답변했다.

그는 또한 서버 가상화 이후 새로운 종류의 보안리스크가 등장하게 되었고, 클라우드 컴퓨팅 내에서도 새로운 보안모델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초단위로 서버가 생겼다가 없어지기도 하고, 위치를 옮기기도 하며, 스토리지등이 모두 가상화되기 때문에, 유저를 인증하는 데에도 새로운 방식이 필요하다. IPA(Identity, Policy, Audit)솔루션을 통해 유저인증을 관리하고, 컴플라이언스 이슈 등을 관리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한편, 레드햇은 이달 초에 가상화 솔루션 전문 기업인 '쿰라넷'을 인수했다고 발표한 바 있다.

스캇 크렌쇼는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를 비롯해 스토리지, MRG, 클라이언트 제품군을 총괄하고 있다. 레드햇에 합류하기 전 그는 그레이록, 소니, 텍사스인스트루먼트의 투자를 받아 설립된 보안 회사인 NTRU에서 CEO를 역임하였다. NTRU 이전에는, 기업용 소프트웨어 기업인 데이터와치(DataWatch)에서 제품 개발 및 제품 비즈니스를 총괄하는 부사장으로 근무하였다.

Monday, September 22, 2008

데스크탑 가상화, 제2의 GS칼텍스 사건

GS칼텍스의 고객 1100만여 명의 정보가 내부 직원에 의해 유출 되는 사상 최대 규모의 고객 정보유출 사건이 발생한 가운데 기업들에서는 고객 정보 유출을 막아야 살 수 있다는 위기감이 팽배해지고 있다.

정보유출 사실을 알게 된 고객들은 집단 손해배상 소송을 진행하는 것이 일반화 되고 있는 것을 감안하면 개개인 모두에게 손해배상을 해 주는 사태가 발생하면 기업의 생존을 장담할 수 없을 정도로까지 위태로워질 수 있다. 이로 인해 고객 정보를 안전하게 지키는 것이 회사의 생존과 직결된 중요한 요소라는 의식이 높아지고 있다.

이에따라 기업체들은 내부 직원에 의한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해 다양한 노력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데스크톱 가상화와 응용프로그램 가상화가 기업의 정보유출 가능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와 눈길을 끌고 있다.

한국마이크로소프트의 장홍국이사는 "데스크톱 가상화와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를 이용하면 내부 직원에 의한 기업의 정보 유출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고 밝혔다.

제2의 GS칼텍스 사건을 막을 핵심 기술로 주목 받고 있는 데스크톱 가상화가 어떤 것인지 살펴 보도록 하자.

가상화(Virtualization)란 일반적으로 물리적인 하드웨어를 논리적인 단위로 나누어 상호간에 완벽한 고립을 시켜주는 기술이다. 기존에는 PC 하나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들어 가는 것이 너무나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가상화라는 것이 나오면서 이런 공식이 깨지게 되었다. 하나의 PC에 꼭 운영체제가 한개가 들어가야 하는 것은 아니게 되어 버린 것이다. 하나의 머신에 여러 개의 운영체제가 들어갈 수도 있고, 여러개의 머신에 하나의 운영체제가 들어갈 수도 있게 되어 버렸다. 이것이 바로 가상화라는 것이다.

VM웨어를 설치 해 본 사람이라면 VM웨어라는 프로그램을 깔면 그 안에 여러 개의 운영체제를 설치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버추얼PC도 마찬가지다. 버추얼PC에 하나의 운영체제를 설치해 버리기만 해도 그 PC에는 이미 두 개의 운영체제가 깔려 있게 된다. 기본 운영체제와 함께 버추얼PC 안에 들어 있는 운영체제까지 총 두 개가 되는 것이다.



5가지 종류의 가상화

대규모 기업에서의 보안과 관리의 간편화를 제공해 주는 가상화에는 총 5가지 종류가 있다. 서버 가상화, 프로파일 가상화, 프리젠테이션 가상화, 데스크탑 가상화와 응용프로그램 가상화가 그것이다.

서버 가상화(Server Virtualization)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이번에 발표한 하이퍼V(Hyper-V)가 있고, 프리젠테이션 가상화(Presentation Virtualization)는 터미널 서비스(Terminal Services)가 있다. 데스크탑 가상화(Desktop Virtualization)에는 VM웨어(VMware)와 마이크로소프트의 버추얼 PC(Virtual PC)가 있다.

여기서는 데스크톱 가상화와 응용프로그램 가상화가 어떻게 기업의 중요정보를 외부로 유출 되지 못하게 막을 수 있는지에 대해 살펴 보려고 한다.



데스크톱 가상화 솔루션인 MED-V(kidaro)로 이전 버전의 오피스를 띄운 모습


데스크톱 가상화란?

데스크톱 가상화(Desktop Virtualization)는 OS위에 가상의 OS를 하나 더 올리는 것이다. 기존 데스크톱 가상화를 보면 이해가 쉬울 것같다. 윈도우가 깔린 PC상에서 VM웨어(VMware)나 버추얼PC(Virtual PC)등의 프로그램을 깐 후 그 안에 다른 버전의 운영체제를 설치하는 것이 바로 데스크톱 가상화이다. 가상의 데스크톱을 만드는 것이다.


데스크톱 가상화의 기본적인 형태인 버추얼PC(윈도우비스타 안에 윈도우XP 깐 모습)

이런 형태의 데스크톱 가상화는 여러가지 한계가 있었다. 컴퓨터를 잘 아는 사람만 할 수 있고, 가상 데스크톱 안에 설치 된 응용프로그램들이 제 성능을 보여주지 못해 실무에 활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그래서 주로 개발자들이 프로그램의 호환성을 테스트하는 용도로 많이 쓰였다.

그러나 데스크톱 가상화도 해가 가면서 많은 발전이 이루어졌다. 인텔이 CPU단에서 가상화를 적극 지원하고 나서면서 가상 데스크톱 안의 응용프로그램의 성능이 크게 향상 되었다. VM웨어라는 회사는

데스크톱 가상화는 기업에서 직원들이 사용하는 개별 PC를 가상화 하는 것이라고 보면 된다. 직원들의 PC에 들어 있는 하드디스크나 USB로 인해 정보 유출이 쉽게 발생한다. 직원들이 기업의 정보를 외부로 유출하는 방법을 보면 USB메모리에 정보를 넣어서 가지고 나가는 방법, CD롬에 구워서 외부로 가져 나가는 방법, 이메일에 첨부해 정보를 외부로 빼돌리는 방법, 메신저 등으로 파일을 외부로 전송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런 외부 유출이 되는 근본 원인을 살펴 보면 자료가 개인 PC에 저장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자신의 PC 하드디스크에 저장해 둔 파일을 여러 방법으로 외부로 유출한다.

그래서 하드디스크에 회사 자료를 저장하지 못하게 하는 것이 정보 유출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말이다. 데스크톱 가상화와 어플리케이션 가상화를 이용하면 직원들이 회사의 중요 자료를 자신의 로컬 PC에 저장하지 못하게 할 수 있다. 로컬PC에 저장하지 못하면 결국 외부로 빼내가기 힘들어진다. 물론 데스크톱 가상화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이점은 이것 이외에도 많다.

데스크톱 가상화를 이용한 기업정보 보호 방법

마이크로소프트는 올해 봄 이스라엘의 키다로(Kidaro)라는 회사를 인수했다. 이 업체는 데스크톱 가상화 기술을 보유한 업체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 회사의 솔루션을 이용해 데스크톱 가상화 솔루션을 내년 1사분기 출시를 목표로 개발 중이다. 마이크로소프트가 내 놓을 데스크톱 가상화 솔루션은 마이크로소프트 엔터프라이즈 데스크톱 가상화(MED-V : Microsoft Enterprise Desktop Virtualization)라는 이름으로 내년 초 선보일 예정이다.


MED-V를 이용해 인터넷익스플로러6.0을 실행한 모습

이 솔루션을 도입해 놓은 회사에서는 어떤 식으로 업무가 처리 될까? 직원이 컴퓨터를 켜서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띄우면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뜬다. 그런데 일반 PC에서 띄웠을 때와는 좀 다른 점을 발견할 수 있다. 테두리에 붉은색의 선이 그려져 있다. 이 붉은 선은 이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가상OS에 설치 되어 있다는 것을 나타내 준다. 개인들은 별 생각 없이 프로그램을 띄워서 사용하지만 프로그램은 가상화 된 컴퓨터에 설치 되어 있어서 파일 저장 등도 가상PC의 가상 볼륨에 저장 된다.

오피스도 마찬가지다. MS 오피스를 띄워서 회사 업무를 하지만 실제로 이 프로그램은 가상 PC에 설치 되어 있다. 작업한 내용을 파일로 저장해도 가상 하드디스크의 볼륨에 저장이 된다. MEDV는 개인 사용자가 볼 때는 단순히 응용프로그램이 뜨는 것 같지만 실제로는 가상화 된 OS도 같이 뜬다.

그래서 관리자가 지정해 준 프로그램들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명령프롬프트 같은 것도 가상 데스크탑에 있는 것을 실행할 수 있다.

관리자는 저장 되는 폴더를 서버로 리디렉션 시킬 수 있는데, 이렇게 해 놓으면 직원들이 만든 파일들이 서버에 저장 되게 된다. 요즘 가상 데스크톱 프로그램들은 CD롬이나 USB 등을 모두 지원해 가상 데스크톱 상에서 만든 파일을 CD롬에 굽거나 USB메모리에 넣어 갈 수 있다.

그러나 일반 PC와 달리 가상화 된 데스크톱은 중앙 관리자가 사용 권한을 완벽히 통제할 수 있어서 CD롬에 담거나 USB메모리에 담아 나가지 못하게 완벽히 통제할 수 있다. 이런 방법으로 직원들은 PC에 회사의 중요 정보를 저장하지 못하게 되고, 가상 데스크톱에 있는 자료들도 외부로 유출하지 못하게 된다.

위의 그림에서 보면 윈도우비스타 상에서도 인터넷익스플로러7을 이용해 인터넷을 할 수 있고, 가상화된 데스크탑 안에 있는 인터넷익스플로러6.0을 이용해서도 인터넷을 할 수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직원들이 회사 정보를 빼내가지 못하게 할 수 있다는 말일까?

마이크로소프트의 MED-V를 이용하면 기본 OS인 윈도우비스타 상에서는 인터넷을 못하게 하고, 가상화 된 데스크톱 안에서만 인터넷이 되게 할 수 있다. 즉, 인터넷 서핑을 하려면 가상화 된 데스크톱 안의 인터넷익스플로러로 하면 된다.

가상화 된 데스크톱 안의 환경은 관리자가 손쉽게 제어할 수 있기때문에 회사 기밀이 외부로 나가지 못하게 완벽히 관리할 수 있다.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를 이용한 기업 정보 보호 방법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는 데스크톱 가상화와 비슷하지만 좀 다르다. 데스크톱 가상화는 로컬 PC에 가상 데스크톱이 만들어진다. 탐색기로 살펴 보면 가상 데스크톱을 위한 하나의 파일이 만들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러나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는 숨겨진 파티션이 하나 만들어진다.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란?

데스크톱 가상화는 가상의 하나의 PC를 만드는 개념이라면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는 응용프로그램만 가상화 시킨다는 개념이다. 실제 응용프로그램은 서버에 있는데, 일반 사용자들은 자신의 PC에 응용프로그램이 설치 되어 있는 것처럼 느끼게 된다. 사용방법도 똑같다. MS워드를 실행 한다면 사용자들은 자신의 바탕화면에 있는 MS워드 단축아이콘을 클릭하기만 하면 된다. MS워드는 실행 되지만 사실은 이 워드는 이 PC에 완전히 설치 된 것은 아니다.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일부 파일만 서버로 부터 다운로드 되어 숨겨진 파티션 안에 저장 된다.

관리자는 직원들 개인이 만든 파일을 서버에 저장 되게 설정해 놓을 수 있기때문에 로컬PC에 회사 기밀이 저장 되어 외부로 유출 되는 것을 사전에 막을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마이크로소프트 응용프로그램 가상화(Microsoft Application Virtualization)라는 이름으로 제품을 내 놓고 있다. 이 제품은 기존에는 소프트그리드(SoftGrid)라는 이름으로 불리었으나 요즘에는 Microsoft Application Virtualization (App -V)라고 불린다.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는 이런 정보 보안 이외에도 다양한 장점이 있다. 응용프로그램을 중앙에서 관리할 수 있어 자산관리, 라이센스 관리, 부서 별, 역할 별 사용권한 관리 등을 할 수 있다.

또 유연한 배포가 가능하다. 다양한 응용프로그램을 손쉽게 자동으로 배포 되게 할 수 있고, 모바일 컴퓨팅 환경을 지원한다. 대기업 같이 수만대의 PC가 있는 환경에서 프로그램을 배포하고 관리하는 것을 매우 간단히 끝낼 수 있다.


마이크로소프트의 데스크톱 가상화와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는 데스크톱 최적화 팩(Microsoft Optimization Pack)안에 들어 있다.

데스크톱 가상화와 응용프로그램 가상화는 수천대 이상의 PC를 보유한 중견기업이나 대기업에서 사용할 때 가장 큰 효과를 볼 수 있다.

데스크톱 가상화 해외 적용 사례

Swedish Medical Center

Swedish Medical Center는 4,500개 데스크탑, 랩탑, Thin terminal 등에서 500개 이상의 애플리케이션 구동해왔다. 의료계 특성상 이동 단말기에서 각종 애플리케이션의 로밍이 가능해야 하고, 이 중에는 자체 애플리케이션도 구동할 수 있어야 했다. 이에 Windows XP로 마이그레이션을 결정했다. 이때 애플리케이션 가상화인 MAV 4.5(구 소프트그리드) 제품을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했다.

IT 기술팀 마크 크리스(Mike Criss)는 "한 개 애플리케이션 구동하는 데만도 이에 따른 시간과 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설치 뿐만 아니라 여러 시나리오에서의 테스팅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가상화 솔루션으로 시퀀싱하는데 하루, 테스팅 하는데 하루 그리고 실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니 넉넉 3일 안에 작업을 완료할 수 있었다"

이 때문에 테스팅 기간 등을 합쳐 2-3달 정도 걸리던 애플리케이션 실제 가동 기간을 3일로 줄이고, PC 교체시간도 8시간 이상 걸리던 작업을 수분 안에 끝낼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애플리케이션 구동 및 지원에 1백만달러를 절감했다. 더불어 애플리케이션 라이센싱에 대한 사용량을 체크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라이센스에 대해서 과감이 없앨 수 있었다.

Fontys University of Professional Education

네덜란드 최대 단과대학인 폰티스 대학은 9,200개 워크스테이션에서 350개 애플리케이션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있었다. 컴퓨팅 환경의 효율성 제고를 위해 마이크로소프트 MAV 4.5(구 소프트그리드) 애플리케이션 가상화 제품을 도입했다.

이로써 그래픽 중심의 애플리케이션은 중앙화 시키지 않고, 데스크탑과 터미널 서버에 베이직 이미지(Windows + Office 정도)만 남겨 나머지 애플리케이션은 모두 가상화를 시켰다. 이로서 서버 기반 환경은 더 가볍고 효율적으로 가동되도록 했다.

이렇게 된 후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하고자 해도 별도의 설치 및 테스팅 기간이 필요 없기 때문에 단 몇시간만 투자하면 된다. 이렇게 OS와 애플리케이션 간의 충돌이 적기 때문에 그만큼 Help Desk에 문제를 호소하는 calling이 1-2%대로 떨어졌다.

Saturday, September 20, 2008

인프라서 서비스로 중심이동… `DaaS`가 뜬다

코로케이션 일변도서 벗어나 부가서비스로 승부
'쓴 만큼 요금지불' 유틸리티 컴퓨팅 최근 급부상
효과적 가격모델ㆍ기업문화 변화 등 과제로 남아


■ IT혁신기지 차세대 데이터센터

8. 데이터센터의 새로운 사업모델

저비용, 고효율을 실현한 차세대 데이터센터가 등장하면서 이런 새로운 인프라 기반의 다양한 사업모델도 속속 등장하고 있다. 이미 KT와 삼성SDS 등이 서비스로서데이터센터(DaaS)라는 개념을 선보이고 유틸리티 컴퓨팅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고 기존의 데이터센터들도 단순한 코로케이션 사업에서 벗어나 다양한 부가서비스로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데이터센터 사업은 크게 데이터 센터 구축(이전)ㆍ컨설팅, 관리 서비스ㆍ서버 호스팅, 코로케이션, 부가서비스 등으로 구성되며, 그동안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은 고객사의 서버를 유치하거나 회선을 제공하는 코로케이션(Co-location) 서비스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러나 최근 들어 유틸리티 컴퓨팅과 같은 다양한 신규 서비스가 보급되고 IT 아웃소싱이 확대되면서 다양한 사업모델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단순히 IT 인프라를 지원하는 형태에서 벗어나 데이터를 최적화하고 안정화된 정보시스템 서비스를 제공하는 거점으로 데이터센터의 위상이 바뀌고 있다.

차세대 데이터센터와 연계된 새로운 사업모델의 핵심은 역시 유틸리티 컴퓨팅이다. IT 자원을 전기나 가스, 수도처럼 필요한 만큼 사용하고 사용한 만큼 지불하는 일종의 종량제 개념이 바로 그것이다. 기업 IT 인프라 관리 비용이 늘어나고 하드웨어는 3~4년 주기로, 소프트웨어는 1~2년 주기로 업그레이드를 해야하기 때문에 비용 절감을 위한 대안으로 유틸리티 컴퓨팅이 새롭게 주목받는 것.

데이터센터에 있어 유틸리티 컴퓨팅의 개념은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 과거 획일적인 웹 호스팅 모델에서는 DB 용량과 대역폭, 하드디스크 용량을 기준으로 과금했으나 최근에는 네트워크와 보안, 재해복구 등 서비스의 종류도 늘어나고 서비스로서소프트웨어(SaaS) 개념이 확산되면서 애플리케이션까지 외부에서 빌려쓰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현재 국내에서는 삼성SDS와 KT가 유틸리티 컴퓨팅 개념의 다양한 서비스로 시장을 선도하고 있다. 데이터센터 관리를 자동화해 저비용 고효율 구조를 실현한 삼성SDS는 데스크톱, 네트워크, 데이터센터, 통합보안, 재해복구 등 부문별로 종량제 개념의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를 하고 있으며, KT도 지난 5월 목동에 친환경 기술을 접목한 새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다운로드, 캐시, 스트리밍, 웹 컴퓨팅 등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를 개시했다.

호스트웨이와 LG CNS는 아웃소싱 사업을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보고 주력하고 있으며 LG데이콤과 하나로텔레콤은 각각 재해복구센터와 데이터베이스 보안서비스로 경쟁사와 차별화에 나서고 있다.

이들 업체들은 가상화와 저전력 기술, 관리 자동화 등을 통해 저비용 고효율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이를 토대로 서비스 품질을 높여 신규 고객 유치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장기적으로는 데이터센터 자체를 아웃소싱 하는 기업도 늘어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가 올해 초 발표한 `향후 5년간 IT를 바꿀 5가지 트렌드'에 따르면, 기술 분야의 얼리 어댑터들은 2011년까지 IT 인프라의 40%를 서비스로 구입할 것이라고 답했다. 초고속 통신망이 널리 보급되면서 데이터센터 아웃소싱에 따른 응답시간 지연 우려도 해결되고 있어 아웃소싱에 대한 관심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가 확산되면 장기적으로 시스템 구성과 상관없이 최종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필요한 만큼 사용하는 클라우드 컴퓨팅 개념의 새로운 서비스가 더 나올 것으로 전망한다.

물론 해결해야 과제도 남아있다. 무엇보다 이익을 낼 수 있으면서도 시장을 설득할 수 있는 효과적인 가격모델을 만드는 것이 필수적이다.

국내 기업들은 유틸리티 컴퓨팅 사업 경험이 많지 않아 기업 고객에게 혜택을 부여하면서도 적절한 규모와 시점에서 손익분기점을 넘길 수 있는 정교한 가격모델을 만드는 노하우가 부족하다.

현재 KT를 비롯해 일부 데이터센터가 서비스하는 유틸리티 컴퓨팅 사업의 경우 하드웨어 비용과 전력 비용, 인건비 등 고려할 요소가 많지 않아 비교적 원가 산정이 용이하지만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할 경우 라이선스와 유지보수 비용, 기술지원 비용 등 가격모델을 만드는 것이 쉽지 않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이 때문에 세일즈포스닷컴과 같은 세계적인 SaaS 기업들은 물론 호스트웨이 같은 데이터센터 업체들도 자사의 서비스 요금 책정 노하우를 핵심 기업 비밀로 관리하고 있다. 다만 전력과 네트워크 비용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라이선스와 상면(공간), 인건비, 항온항습기 등 시설 유지보수비 등이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기업 문화를 바꾸는 것도 향후 새로운 사업모델의 시장 안착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가 될 전망이다. 국내 기업들은 자사의 핵심 데이터가 외부에 존재하는 것에 대해 정서적으로 거부감이 크기 때문에 비용 혜택에도 불구하고 유틸리티 컴퓨팅 도입을 꺼린다는 것. 실제로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이 대기업 계열사를 관리하는 업체 중심으로 형성돼 있는 것도 기업 정보를 경쟁사 데이터센터에 맡길 수 없다는 정서적인 거부감이 큰 역할을 해 왔다.

그러나 가상화 등 신기술 도입을 통해 데이터센터의 가격 경쟁력이 강화되고 있고 관리 자동화 등을 통해 서비스 품질도 높아지는 추세여서 기업들이 유틸리티 컴퓨팅에 대한 관심을 더욱 커질 전망이다.

호스트웨이IDC 김성민 대표는 "국내 데이터센터 시장은 1세대 하드웨어 중심의 호스팅, 2세대 모니터링이 추가된 단순 관리 서비스, 3세대 보안 패치, 애플리케이션 관리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단계적으로 진화해 왔다"며 "최근 새롭게 등장한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의 가격과 품질 경쟁력이 확인되면 시장에서 커다란 폭발력을 갖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사진설명:DaaS 등 신서비스를 적극 접목하고 있는 삼성SDS 소프트웨어연구소.
[출처]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91802010660744001

Friday, September 19, 2008

IBM, 기업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 공략 강화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 설립…대형 고객 위주 공략

IBM이 국내에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를 설립하고 기업 시장 공략에 적극 나선다.

이번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는 IBM이 세계에서 6번째로 서울에 설립하는 것. IBM의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는 금융권과 통신 분야에서 사용하고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를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으로 실제 구현해 발생 가능한 문제를 진단하고 그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IBM은 이를 통해 국내 기업의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한 관심을 고조시킨다는 전략이다.

이휘성 한국IBM 사장은 "한국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 개소를 계기로 오픈 기술을 기반한 새로운 패러다임인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치를 국내 고객들에게 전달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IBM은 그동안 그리드 컴퓨팅을 시작으로 유틸리티 컴퓨팅, SaaS 등 지속적으로 통합 컴퓨팅과 서비스 기반 접근방법을 강조해왔다. 클라우드 컴퓨팅도 이러한 맥락에서 확대된 개념으로 생각할 수 있다. IBM은 유틸리티 컴퓨팅 때와 마찬가지로 기업 고객을 위한 인프라와 애플리케이션 플랫폼, 아웃소싱 서비스 등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할 방침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유틸리티 컴퓨팅과 다른 점은 보다 개방되고 통합된 개념으로 진화됐다는 점이다. IBM은 이러한 전략 하에 아마존이나 구글이 제공하는 개인 대상의 클라우드 컴퓨팅(Public Cloud Computing)을 피하고 기업 대상의 클라우드 컴퓨팅(Private Cloud Computing)에 치중하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 센터의 조직은 200명의 글로벌 클라우드 컴퓨팅 연구 인력과 국내 소프트웨어 솔루션 연구소 인원을 기반으로 운영되며, 센터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에 따라 필요한 인원이 글로벌 센터에서 국내 센터로 지원된다.

[출처] http://itnews.inews24.com/php/news_view.php?g_serial=358343&g_menu=020200

Saturday, September 13, 2008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과 미디어





“미래에는 정보와 데이터가 당신을 따라간다. 당신이 새로운 단말기를 구입했다면 더 이상 데이터를 복사하거나 새로운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브라우저 하나로 모든 환경, 내용과 정보가 당신 앞에 펼쳐진다. PC 뿐만 아니라 핸드폰, TV 및 기타 단말기를 통해 정보를 이용, 재구성할 수 있다. 오로지 브라우저 하나로 가능하다”

올해 IT 분야의 핫 이슈로 예고된 바 있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이 이해 관계자들의 ‘부밍 업’ 속에 빠르게 미디어 업계를 고무시키는 양상이다.

클라우드 컴퓨팅이란 프로그램이나 문서를 인터넷으로 접속할 수 있는 대형 컴퓨터에 저장하고, 개인 PC는 물론이고 모바일 등 다양한 단말기로 원격에서 원하는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이용자 중심의 컴퓨터 환경을 말한다.

이용자 관점에서 보면 자신의 집 금고에 돈을 보관하는 것이 아니라 은행에 저금해 두고, 신용카드, 직불카드, 인터넷뱅킹 등을 통해 필요할 때에 편리하게 사용하는 것과 같다고 할 수 있다.

즉, 이제 개인이 소유한 데이터가 더 이상 자신의 데스크톱 컴퓨터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 패스워드로 보호된 채 대형 컴퓨터에 존재하게 된다. 이용자들은 웹 브라우저 등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을 구동해 데이터들에 접속하게 된다.

진정한 유비쿼터스 실현

이때 소프트웨어가 몇몇 회사의 서버에 저장돼 있어 웹 사이트를 서핑하는 창에서 모든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스크립트를 PC 또는 단말기로 내려 받으면 클라우드 즉 메인 서버에 미리 저장돼 있는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데이터를 가공,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웹 메일 프로그램은 클라우드 컴퓨팅 환경을 암시한 첫 애플리케이션에 해당한다. 여러 포털사업자가 제공하는 웹 메일 프로그램의 성능 향상은 이용자들로 하여금 클라우딩 컴퓨팅에 대한 기대감을 부풀어오르게 할만하다. 미국 야후는 무제한 저장용량을 제공하고 있고, AOL과 구글도 5기가바이트를 제공한다.

다시 말해 클라우드 컴퓨팅은 웹 브라우저를 플랫폼으로 사용하는 것과 맞닿아 있다. 이용자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환경은 웹 브라우저 뿐만 아니라 모든 디바이스로 확대돼 네트워크 컴퓨팅, 유비쿼터스 컴퓨팅의 개념과 비슷하다.

장소를 불문하고 인터넷 접속과 기본적인 연산 기능만 갖춘 단말기만 있으면 되기 때문이다. 즉, 이용자는 소프트웨어를 별도로 구입하지 않아도 되고 접속 환경에 구애받지 않아도 되는 등 완벽한 기술구현이 이뤄지는 것이다.

그런데 이는 단말기의 성능을 고도화하는 데 주력한 기존의 씬 클라이언트(Thin Clinet) 혹은 메인프레임 환경과 흡사하지만 네트워크 활용에 주목한다는 점에서는 다르다.

즉, 클라우드 컴퓨팅은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보다 확장된 공간에서의 컴퓨팅으로 불특정 다수의 개인 PC를 이용, 슈퍼 컴퓨터의 기능을 하는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가장 상업적으로 정착한 스토리지 서비스인 아마존(Amazon) ‘S3’의 경우 웹 호스팅과 웹 서비스 사업에서도 이미 괄목할만한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이 사업 부분은 전 세계 아마존닷컴 사이트들을 합한 사용률보다 높은 이용도를 나타내며 효자 비즈니스로 부상하고 있다.

탁월한 경제성, 효율성 격찬

쇼핑전문포털 (주)베스트바이어 고재갑 이사는 “서버, 네트워크, 소프트웨어에 들어가는 엄청난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가 있고, 직원 개개인이 쓰는 수많은 PC를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면서 “여기에 바이러스 감염이나 해킹, 서버나 PC의 고장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 위험에서 거의 원천적으로 벗어날 수 있다”고 평가한다.

이를 예상이라도 한 듯 올해 초 에릭 슈미츠 구글 CEO는 미래 인터넷 경제의 최대 화두는 클라우드 컴퓨팅의 가속화라면서 대규모의 투자를 공언한 바 있다. 마이크로소프트(MS) 빌 게이츠 회장도 국제가전전시회(CES) 기조연설에서 “제2의 디지털 시대가 오고 있으며 MS플랫폼이 클라우드 컴퓨팅 혁명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수년간 인터넷을 휩쓴 트렌드인 웹 2.0과 나란히 서 있을만한 화두가 된 것이다. 웹 2.0이 쌍방향적인 커뮤니케이션에 기댄 소통 문화와 디지털 민주주의를 상징한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은 효율성과 확장성을 지향하는 비즈니스적 관점을 충족시킨다고 할 수 있다.

이 둘의 조합은 기업의 정체성을 변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상거래 업체에 머물던 아마존은 웹 호스팅과 웹 서비스, 데이터베이스(Simple DB) 상용화로 나아가면서 사업모델을 전환하는 대표적인 기업이다.

메일과 메시징 서버 소프트웨어를 제공하는 ‘익스체인지 온라인’을 클라우딩 컴퓨팅의 핵심 애플리케이션으로 보고 있는 MS는 구글을 의식하고 있다. MS는 우선 윈도우즈 OS를 플랫폼, 디바이스, OS에 구애받지 않는 수준으로 끌어올리는데 주력하고 있다.

서비스 플랫폼 제공과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Software Plus Service) 모델이 그것이다. 서비스 플랫폼 제공의 경우 윈도우즈 라이브 메신저·메일·포토 갤러리·서치·메시(mesh) 등을 추가하면서 윈도우즈 라이브 서비스 자체를 서비스 플랫폼으로 끌어 올리는 방식으로 전개하고 있다.

특히 MS는 오픈소스 분산 컴퓨팅 프로젝트 ‘아파치 하둡(Apache Hadoop)’ 등을 포함, 구글 인프라에 필적할 인프라 구축을 계획하는 야후에 대한 인수 추진을 접지 않고 있다. 미래의 컴퓨팅 플랫폼 우열이 결국 더 많은 응용 애플리케이션의 제공 여부에 따라 결정된다는 점에서 향후 추이는 지켜볼만하다.

현재 구글과 MS의 인수전이 진행형인 야후는 클라우딩 컴퓨팅 계획을 구체화한 것은 아니지만 지난 해 ‘클라우드 컴퓨팅&데이터 인프라스트럭처‘린 조직 통합을 통해 의지를 밝힌 바 있다. 또 지난 7월 HP, 인텔과 함께 가상의 연구 센터를 구축해 1단계로 6개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하면서 야심을 감추지 않고 있다.

해외 미디어 기업 앞다퉈 실험

구글은 애플리케이션 엔진, 구글 기어, 안드로이드 연계 등을 포괄하는 웹 애플리케이션 서비스가 압권이다. ‘구글 캘린더(Calendar)’의 경우 이용자들의 일정은 개인 PC가 아니라 구글 서버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필요할 때마다 웹 브라우저에서 일정을 생성, 수정, 삭제, 공유 등 관리가 이뤄진다.

‘구글 독스(Docs)’도 PC에 오피스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문서 작업이 가능하다. 이용자는 브라우저 기능이 탑재된, 즉 네트워크에 연결된 단말기만 있으면 된다.

특히 구글은 약 1백만대 정도의 서버를 운영 중이고 파일 시스템, 빅테이블(Big Table), 맵(Map&Reduce) 등으로 인프라 구성도 마무리한 상태로 경쟁력이 한발 앞선 상황이다. 여기에 자사 서비스를 다른 응용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맵, 안드로이드 등 서비스 API 공개도 꾸준히 펼쳐왔다.

‘세계개발자 컨퍼런스(WWDC) 2008‘ 행사에서 개인용 클라우드 서비스인 ’모바일미(MobileMe)'를 공개한 애플도 속도를 내고 있다. 전자메일, 연락처, 사진, 문서 등을 아이폰과 PC, 매킨토시(Mac)에서 공유할 수 있는 모바일미는 온라인 스토리지 서비스를 한 단계 업그레이드한 것이다.
2004년 온라인 사진 공유 커뮤니티로 출범한 플리커(Flickr)는 웹 2.0의 대명사로 통한다. 이 서비스는 개인 사진을 교환하는 목적 이외에도 블로거들이 사진을 올려 저장하는 용도로 쓰이는데 클라우드 컴퓨팅의 사례다. MP3Tunes도 어떤 컴퓨터나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접속할 수 있게 서비스를 제공한다.

세계 최대 소셜 네트워크 사이트인 페이스북은 지난해 5월부터 문서 편집기를 포함 응용 프로그램 6,000가지를 인터넷으로 제공 중이다. 페이스북 역시 확대 일로에 있는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딩 컴퓨팅 도입에 의지를 갖고 있다.

이밖에 IBM, 델, 썬마이크로시스템즈 등 하드웨어 벤더들도 준비에 여념이 없다. IMB은 지난해 수퍼 컴퓨터에 모든 자료와 소프트웨어를 저장해 놓고 언제 어디서나 각종 단말기로 작업을 수행하는 환경인 '블루 클라우드(Blue Cloud)'를 공개하며 구글과 손을 잡았다.

전통매체가 클라우딩 컴퓨팅을 껴안는 사례도 생겼다. 구글과 저널리즘 도구 개발을 위해 협약을 맺은 영국 텔레그래프미디어그룹(TMG)이 첫 테이프를 끊었다.

6개월간의 사전 테스트를 거쳐 구글의 온라인 애플리케이션을 사내 주요 애플리케이션으로 도입하기로 확정하고 기자들이 툴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했다. 일차적으로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두는 텔레그래프와 클라우드 컴퓨팅을 확대하려는 구글이 서로 이해를 일치시켰기 때문이다.

1851년부터 1922년 사이의 기사를 무료로 공개하고 있는 뉴욕타임스는 해당 기간 내 기사 1,100만 개를 PDF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무려 4테라바이트(TB)의 저장공간을 비롯 엄청난 컴퓨팅 자원이 필요했다.

뉴욕타임스는 아마존과 야후의 하둡을 활용해 비용과 시간을 줄이며 클라우드 컴퓨팅을 경험하고 있다. 현재 뉴욕타임스의 과거 기사 PDF 파일은 아마존 S3에 저장돼 서비스 중이다.

국내는 발아 단계…포털사업자 움직임 없어

지난 6월 국내 기업중 처음으로 위즈솔루션(wizsolution)의 경우 차세대 CDN(Contents Delivery Network)으로 불리는 CCN(Cloud Computing Network) 상용 서비스를 시작했다.

CCN 서비스는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을 기반으로 인터넷상의 분산된 자원을 하나로 통합, 가상의 슈퍼 컴퓨터와 대형 네트워크 대역폭을 만들어 이를 고속 콘텐츠 전송에 활용하는 형태다. 기존보다 절반의 비용으로 최소 3배 이상의 전송속도 향상이 기대된다.

이를 위해 위즈솔루션은 일단 클라우드 멤버 1,000여명의 PC자원을 사용하는 방식을 도입했다. 곧 PC 3,000대에 이르는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을 확보하고 2페타바이트급 가상 스토리지 서버를 구축할 계획이다.

위즈솔루션 황승익 본부장은 “CPU 회선을 1기가바이트 기준으로 시중 가의 절반 가량인 6백만원대부터 제공 중”으로 “웹 하드업체, 스트리밍 중계를 하는 인터넷 미디어 기업 등의 관심이 높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SBSi는 베이징 올림픽 경기 장면의 인터넷 동영상 서비스를 위즈솔루션측의 CCN을 활용했다.

시장 전문가들은 구글, MS, IBM 등이 앞다퉈 클라우딩 컴퓨딩 기술을 통한 다양한 응용 비즈니스를 시도하는 것과 다르게 국내 미디어 기업들의 움직임은 미미한 편이라고 입을 모은다. 경쟁력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 포털사업자조차 기존 IDC 사업에 관심을 표명한 정도다.

그러나 이미지, 논문, 책, 심지어 지도와 같은 방대한 데이터를 중앙 집중적인 데이터베이스로 구축한 포털사업자도 이용자 중심의 애플리케이션들을 통해 클라우드 컴퓨팅을 시도할만한 여력은 충분하다는 평가다.

이런 가운데 오픈소스 진영은 인터넷을 기반으로 하는 SaaS(Software as a Service)처럼 클라우드 컴퓨팅은 새롭지 않은 것이며 오래 전부터 준비해온 것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들은 국내에선 특히 통신업계를 중심으로 호스팅 서비스가 관련 기술 도입에 적극성을 띨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클라우딩 컴퓨팅의 과제

현재 시장은 애플리케이션, 스토리지, 네트워크 대역폭(Bandwidth) 등 클라우드 컴퓨팅을 응용한 비즈니스 사례들이 쏟아져 나오는 상황이다. 또 통합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환경을 제공하는 SaaS를 넘어선 PasS(Platform as a Service)로 접점을 이어가고 있다.

구글 차이나(China) 카이푸 리(Kai-Fu Lee)는 이러한 모델들을 ‘웹 3.0’으로 묘사하며 구글이 그 단계에 뛰어 들었다고 진단한다.

웹 3.0은 첫째, 모든 데이터와 프로그램을 클라우드(서버)에 저장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더 이상 컴퓨터에서 구동하지 않는 것 둘째, 임의의 컴퓨터나 단말기로 원하는 데이터에 접속,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을 위해 풀어야 할 숙제도 만만찮다. 중앙집중식 통제, 관리에 따라는 리스크 부담은 클라우딩 컴퓨팅을 가로막는 대표적인 장애물이다. 수많은 이용자가 보유했던 데이터의 관리 및 가공을 위한 소프트웨어는 관리자의 컴퓨터에 저장돼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소프트웨어진흥원(KIPA)의 최근 보고서에 따르면 “개인 정보를 외부에 저장한다는 점은 사생활 침해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어 보안에 대한 확실한 보장이 이뤄져야 서비스 확산 및 사용 저변의 확대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서비스 안정성도 관건이다. 아마존 S3 서비스가 지난 2월 잠시나마 중단된 것은 반면교사로 받아들여진다. “시스템에 연동된 수많은 사이트의 불안요소들을 사전에 감지하고 통제할 수 있는 높은 수준의 관리 능력”이 요구된다.

뿐만 아니라 시장내 솔루션 기업과 서비스들-써드파티(3rd party)의 플랫폼을 아우를 수 있는 오픈 플랫폼이 필요하다. 자사의 데이터를 단말마다 싱크하는 정도로 폐쇄적인 월 가든(walled garden)을 구축하는 것은 기존의 웹 스토리지나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각 서비스 업체들도 표준화를 이끌어야 하는 것은 클라우드 컴퓨팅의 미래를 고려할 때 당연한 수순이다.


한편, 클라우드 컴퓨팅에 적극적인 행보를 펼쳐온 구글은 9월 2일 자체 개발한 웹 브라우저 크롬(chrome) 베타판을 발표했다.

[출처]http://onlinejournalism.co.kr/1196230727

Thursday, September 4, 2008

한국레드햇, 차세대 고성능 컴퓨팅 위한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 발표

오픈 소스 분야의 세계적 선두주자 한국레드햇 (대표 김근, www.kr.redhat.com)은 오늘, 차세대 고성능 컴퓨팅을 위한 멀티 플랫폼 메시징 시스템인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 (Red Hat Enterprise Messaging Realtime Grid)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레드햇은 지난해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의 베타 버전을 발표한 이후 고객사 및 파트너사들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기업 사용자들의 필수 기능을 추가하고 품질 및 성능을 한층 개선하였다. 특히 이번 제품에는 기존에 레드햇이 지닌 리눅스 커널 개발 기술과 오픈소스 진영의 새로운 메시징 프로토콜인 AMQP (Advanced Messaging Queuing Protocol) 프로젝트가 결합되어있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는 메시징, 리얼타임, 그리드의 머릿 글자를 따서 명명한 것으로 각각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메시징 (Messaging)

고성능 컴퓨팅 및 SOA 디플로이의 핵심으로 꼽히는 메시징(Messaging)은 AMQP 기반으로 인프라의 응답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하는 한편 크로스 랭귀지/플랫폼을 가능하게 하여 다양한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와의 상호 운용성을 크게 강화한 것이 특징이다. 오픈소스 기반의 구성요소로 리눅스에 최적화 되어 있지만, 윈도우 및 솔라리스 등 다른 플랫폼에서도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리눅스(RHEL)에서 제공하는 같은 수준의 성능 및 기능이 구현된다.

메시징에 대한 성능 테스트는 인텔과 AMD 기반의 시스템 모두에서 진행되었으며 특히 최근 테스트에 따르면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 기반의 기가비트 이더넷 (Gigabit Ethernet) 네트워크 어댑터로 구성된 인텔의 8웨이 제온 X5482 시스템은 美 옵션 가격 보고 기관 (OPRA, Options Price Reporting Authority)이 정한 초당 600만 메시지를 처리할 수 있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리얼타임 (Realtime)

리얼타임(Realtime)은 타임-크리티컬하거나 대기 시간이 중요한 애플리케이션의 성능 강화를 위한 커널들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ISV와 고객들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RHEL에 인증된 애플리케이션들은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에서도 설정을 변경하거나 재 인증 받을 필요 없이 리얼타임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 되었다.

특히 개발과정에서 IBM과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MRG 리얼타임 기반의 IBM 웹스피어 리얼타임(WebSphere Real Time) 사용자들이 자바의 장점을 타임-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에 적용할 수 있게 했다. 또한 양사는 기존에 RHEL 기반에서 대용량(hight-volume) 타임-크리티컬 애플리케이션을 처리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는 IBM의 웹스피어 MQ LLM (MQ Low Latency Message)에 대해서도 공조하여, 새롭게 출시된 MRG와도 상호 운용되도록 할 예정이다.

그리드 (Grid)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의 그리드(Grid)기능은 HPC(High Performance Computing)와 HTC(High Throughput Computing)를 로컬 그리드 및 원격 그리드, 아마존의 EC2와 같은 클라우드 인프라 모두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MRG 그리드는 위스콘신 대학교 메디슨 캠퍼스에서 시작된 콘도르(Condor)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설계되었으며 레드햇은 OSI(Open Source Initiative) 승인 라이선스 하에 이 프로젝트에 대해 위스콘신 대학과 협약을 맺고 공동으로 개발에 참여하였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 제품 총괄을 맡고 있는 브라이언 체(Bryan Che)는 “이번에 새롭게 발표하는 MRG는 통합을 의미하는 ‘Merge’와 비슷한 발음이다. 각 분야의 최신의 기술을 통합하여 시너지 효과를 노리고, 궁극적으로는 기업에서 인프라를 최대한으로 활용하여 효율적으로 IT 자산을 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이다”고 말했다.

한편 레드햇은 미들웨어인 제이보스 엔터프라이즈 SOA 플랫폼 또한 메시징 전달 매개로써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에 추가할 예정이다. 레드햇 엔터프라이즈 MRG에 관한 더욱 자세한 정보는 www.redhat.com/mrg를 방문하면 된다.
출처: 레드햇코리아

Tuesday, September 2, 2008

" 한국에서 클라우드 컴퓨팅 곧 서비스"

“한국은 초고속인터넷, 높은 디지털 기기 보급률 등 클라우드 컴퓨팅을 구현하기 위한 최적의 조건을 갖춘 곳입니다. EMC는 최고의 한국파트너와 협력해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를 추진할 계획입니다.”

상반기 EMC코리아 실적 리뷰와 주요 파트너들과의 미팅을 위해 최근 방한한 스티브레너드 EMC 아태지역 사장이 본지와의 인터뷰에서 처음으로 국내 클라우드 컴퓨팅 계획을 밝혔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구글, 아마존, 세일즈포스닷컴 등 세계적인 IT기업들이 혁신적인 정보 패러다임으로 소개하는 기술이다. 클라우드컴퓨팅은 개인이 자신의 PC에 스토리지나 SW가 내장돼 있지 않더라도 자기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 스토리지 저장, 특정 서비스 등을 할 수 있는 기술이다.

레너드 사장은 “개인이나 가정, SOHO는 PC에 수천장의 사진, UCC콘텐츠, 영화 등 5년전에 기업들이 저장했던 용량만큼의 저장 용량을 필요로 하고 있으며 이러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관리하고 백업할 필요성이 점차 커지고 있다”며 “EMC는 언제 어디서나 웹을 통해 자신의 데이터에 접근하고 관리할 수 있는 클라우드컴퓨팅 기술을 올 가을쯤 소개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EMC는 이와 관련 아이오메가, 버클리데이타시스템즈 등 관련 기업을 인수한 바 있다. 레너드 사장은 또 SSD를 채용한 스토리지 모델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SSD는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해 하드디스크를 구현하는 기술로 반도체 공급과잉을 단번에 해소할 파급력을 지녔다.

그는 “올해 초 EMC가 업계 최초로 SSD를 채택한 스토리지를 선보인 데 이어 최근에는 미드레인지 급까지 적용중”이라며 “한국 반도체 기업과의 협력을 통해 SSD 확산에 일조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EMC코리아는 EMC 아태본부가 지난 2분기 27% 성장을 기록하는 데 가장 큰 기여를 한 국가”라며 “EMC코리아는 전 직원이 한국사람이며 한국고객과의 밀접한 협력을 하고 있는 한국기업”이라고 강조했다.

Tuesday, August 26, 2008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하라

김인 사장, IT서비스모델 바꿀 '새 물결' 강조


삼성SDS 김인 사장이 사내 임직원에게 정기적으로 발송하는 월요편지를 통해 25일 IT 신기술 이슈인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언급,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비용 절감이 최근의 주요 IT 과제로 부상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제반 기술과 구현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취지이다. 김 사장은 이날 "올해 초 빌게이츠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혁명과 함께 제2의 디지털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전망했다"며 마이크로소프트의 미도리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MS가 윈도를 대체할 웹 기반의 운영체제(OS)를 추진하는 미도리 프로젝트는 평균 15년 주기로 찾아오는 정보혁명에 커다란 변화의 계기를 촉발시키고 있다"며 "이런 컴퓨팅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 클라우드 컴퓨팅이 있으며, 그 핵심이 바로 가상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또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활용분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유틸리티 컴퓨팅(Utility Computing),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웹 서비스 인 더 클라우드(Web Service in the Cloud) 등을 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사장은 이같은 설명을 하는 배경에 대해 "급변하는 IT 서비스업의 환경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해 시장기회를 선점해야겠다는 의지 때문"이라며 "그린 IT, 유휴 IT자원의 활용, IT자원의 공유 등과 같은 패러다임 변화는 IT서비스 방식에도 새로운 사업모델을 촉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S는 현재 오래된 서버를 중심으로 통합작업을 추진 중이며, DBMSㆍ애플리케이션ㆍWEB/WASㆍ개발서버로 구분해 가상화를 통해 총 180대 가량의 시스템을 30대 수준으로 통합하고 효율화 했다.

특히 조만간 준공예정인 수원데이터센터는 서버 가상화 기술 시범적용을 통해 이미 30%의 원가절감 효과를 확인했다. 또 서버 가상화 기술을 통한 비용절감 효과는 고객의 TCO(총운영비용)를 20% 이상 절감하고 ROI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82602010960611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