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veryone in the IT industry is talking about cloud computing, but there is still confusion about what the cloud is, how it should be used and what problems and challenges it might introduce. This FAQ will answer some of the key questions enterprises are asking about cloud computing.
What is cloud computing?
Gartner defines cloud computing as "a style of computing in which massively scalable IT-related capabilities are provided 'as a service' using Internet technologies to multiple external customers." Beyond the Gartner definition, clouds are marked by self-service interfaces that let customers acquire resources at any time and get rid of them the instant they are no longer needed.
The cloud is not really a technology by itself. Rather, it is an approach to building IT services that harnesses the rapidly increasing horsepower of servers as well as virtualization technologies that combine many servers into large computing pools and divide single servers into multiple virtual machines that can be spun up and powered down at will.
ow is cloud computing different from utility, on-demand and grid computing?
Cloud by its nature is "on-demand" and includes attributes previously associated with utility and grid models. Grid computing is the ability to harness large collections of independent compute resources to perform large tasks, and utility is metered consumption of IT services, says Kristof Kloeckner, the cloud computing software chief at IBM. The coming together of these attributes is making the cloud today's most "exciting IT delivery paradigm," he says.
Fundamentally, the phrase cloud computing is interchangeable with utility computing, says Nicholas Carr, author of "The Big Switch" and "Does IT Matter?" The word "cloud" doesn't really communicate what cloud computing is, while the word "utility" at least offers a real-worth analogy, he says. "However you want to deal with the semantics, I think grid computing, utility computing and cloud computing are all part of the same trend," Carr says.
Carr is not alone in thinking cloud is not the best word to describe today's transition to Web-based IT delivery models. For the enterprise, cloud computing might best be viewed as a series of "online business services," says IDC analyst Frank Gens.
What is a public cloud?
Naturally, a public cloud is a service that anyone can tap into with a network connection and a credit card. "Public clouds are shared infrastructures with pay-as-you-go economics," explains Forrester analyst James Staten in an April report. "Public clouds are easily accessible, multitenant virtualized infrastructures that are managed via a self-service portal."
What is a private cloud?
A private cloud attempts to mimic the delivery models of public cloud vendors but does so entirely within the firewall for the benefit of an enterprise's users. A private cloud would be highly virtualized, stringing together mass quantities of IT infrastructure into one or a few easily managed logical resource pools.
Like public clouds, delivery of private cloud services would typically be done through a Web interface with self-service and chargeback attributes. "Private clouds give you many of the benefits of cloud computing, but it's privately owned and managed, the access may be limited to your own enterprise or a section of your value chain," Kloeckner says. "It does drive efficiency, it does force standardization and best practices."
The largest enterprises are interested in private clouds because public clouds are not yet scalable and reliable enough to justify transferring all of their IT resources to cloud vendors, Carr says.
"A lot of this is a scale game," Carr says. "If you're General Electric, you've got an enormous amount of IT scale within your own company. And at this stage the smart thing for you to do is probably to rebuild your own internal IT around a cloud architecture because the public cloud isn't of a scale at this point and of a reliability and everything where GE could say 'we're closing down all our data centers and moving to the cloud.'"
Is cloud computing the same as software-as-a-service?
You might say software-as-a-service kicked off the whole push toward cloud computing by demonstrating that IT services could be easily made available over the Web. While SaaS vendors originally did not use the word cloud to describe their offerings, analysts now consider SaaS to be one of several subsets of the cloud computing market.
What types of services are available via the cloud computing model?
Public cloud services are breaking down into three broad categories: software-as-a-service, infrastructure-as-a-service, and platform-as-a-service. SaaS is well known and consists of software applications delivered over the Web. Infrastructure-as-a-service refers to remotely accessible server and storage capacity, while platform-as-a-service is a compute-and-software platform that lets developers build and deploy Web applications on a hosted infrastructure.
How do vendors charge for these services?
SaaS vendors have long boasted of selling software on a pay-as-you-go, as-needed basis, preventing the kind of lock-in inherent in long-term licensing deals for on-premises software. Cloud infrastructure providers like Amazon are doing the same. For example, Amazon's Elastic Compute Cloud charges for per-hour usage of virtualized server capacity. A small Linux server costs 10 cents an hour, while the largest Windows server costs $1.20 an hour.
Storage clouds are priced similarly. Nirvanix's cloud storage platform has prices starting at 25 cents per gigabyte of storage each month, with additional charges for each upload and download.
What types of applications can run in the cloud?
Technically, you can put any application in the cloud. But that doesn't mean it's a good idea. For example, there's little reason to run a desktop disk defragmentation or systems analysis tool in the cloud, because you want the application sitting on the desktop, dedicated to the system with little to no latency, says Pund-IT analyst Charles King.
More importantly, regulatory and compliance concerns prevent enterprises from putting certain applications in the cloud, particularly those involving sensitive customer data.
IDC surveys show the top uses of the cloud as being IT management, collaboration, personal and business applications, application development and deployment, and server and storage capacity.
Can applications move from one cloud to another?
Yes, but that doesn't mean it will be easy. Services have popped up to move applications from one cloud platform to another (such as from Amazon to GoGrid) and from internal data centers to the cloud. But going forward, cloud vendors will have to adopt standards-based technologies in order to ensure true interoperability, according to several industry groups. The recently released "Open Cloud Manifesto" supports interoperability of data and applications, while the Open Cloud Consortium is promoting open frameworks that will let clouds operated by different entities work seamlessly together. The goal is to move applications from one cloud to another without having to rewrite them.
How does traditional software licensing apply in the cloud world?
Vendors and customers alike are struggling with the question of how software licensing policies should be adapted to the cloud. Packaged software vendors require up-front payments, and make customers pay for 100% of the software's capabilities even if they use only 25% or 50%, Gens says. This model does not take advantage of the flexibility of cloud services.
Oracle and IBM have devised equivalency tables that explain how their software is licensed for the Amazon cloud, but most observers seem to agree that software vendors haven't done enough to adapt their licensing to the cloud.
The financial services company ING, which is examining many cloud services, has cited licensing as its biggest concern. "I haven't seen any vendor with flexibility in software licensing to match the flexibility of cloud providers," says ING's Alan Boehme, the company's senior vice president and head of IT strategy and enterprise architecture. "This is a tough one because it's a business model change. … It could take quite some time."
What types of service-level agreements are cloud vendors providing?
Cloud vendors typically guarantee at least 99% uptime, but the ways in which that is calculated and enforced differ significantly. Amazon EC2 promises to make "commercially reasonable efforts" to ensure 99.95% uptime. But uptime is calculated on a yearly basis, so if Amazon falls below that percentage for just a week or a month, there's no penalty or service credit.
GoGrid promises 100% uptime in its SLA. But as any lawyer points out, you have to pay attention to the legalese. GoGrid's SLA includes this difficult-to-interpret phrase: "Individual servers will deliver 100% uptime as monitored within the GoGrid network by GoGrid monitoring systems. Only failures due to known GoGrid problems in the hardware and hypervisor layers delivering individual servers constitute failures and so are not covered by this SLA."
Attorney David Snead, who recently spoke about legal issues in cloud computing at Sys-Con's Cloud Computing Conference & Expo in New York City, says Amazon has significant downtime but makes it difficult for customers to obtain service credits.
"Amazon won't stand behind its product," Snead said. "The reality is, they're not making any guarantees."
How can I make sure my data is safe?
Data safety in the cloud is not a trivial concern. Online storage vendors such as The Linkup and Carbonite have lost data, and were unable to recover it for customers. Secondly, there is the danger that sensitive data could fall into the wrong hands. Before signing up with any cloud vendor, customers should demand information about data security practices, scrutinize SLAs, and make sure they have the ability to encrypt data both in transit and at rest.
How can I make sure that my applications run with the same level of performance if I go with a cloud vendor?
Before choosing a cloud vendor, do your due diligence by examining the SLA to understand what it guarantees and what it doesn't, and scour through any publicly accessible availability data. Amazon, for example, maintains a "Service Health Dashboard" that shows current and historical uptime status of its various services.
There will always be some network latency with a cloud service, possibly making it slower than an application that runs in your local data center. But a new crop of third-party vendors are building services on top of the cloud to make sure applications can scale and perform well, such as RightScale.
By and large, the performance hit related to latency "is pretty negligible these days," RightScale CTO Thorsten von Eicken. The largest enterprises are distributed throughout the country or world, he notes, so many users will experience a latency-caused performance hit whether an application is running in the cloud or in the corporate data center.
[FROM: http://www.networkworld.com/supp/2009/ndc3/051809-cloud-companies-to-watch.html?page=3]
Thursday, May 21, 2009
Tuesday, May 19, 2009
[기업 DNA 바꾼다] <1> 텔레콤을 넘어 'ICT'로
"줄장사는 끝났다"… '글로벌·융합'으로 돌파구 찾기 총력
"국내 통신시장은 레드오션" 세계로 눈돌리고 지능형 전력망등 첨단기술 개발도 사활 걸어
SK그룹은 전세계적으로 아웃포스트(Outpostㆍ전략기지)를 구축해놓았습니다. 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리의 서비스와 기술의 해외 진출을 적극 모색해야 합니다."
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은 지난 15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회사 수뇌부들과 머리를 맞댔다. 올 들어 18번째 열린 성장전략회의다. 이 자리에서 정 사장은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기업이 되려면 양쪽 문을 전천후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는 SK텔레콤을 통신회사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으로 리스트럭처링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과 클라우드 컴퓨팅을 비롯한 새로운 컨버전스(융합) 서비스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기업 DNA 확 바꾼다"=정 사장은 SK텔레콤에 오기 전에 침몰 위기에 빠졌던 SK네트웍스를 사업다각화를 활용해 매출 25조원의 탄탄한 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SK네트웍스의 대반전 드라마를 연출했던 정 사장은 이제 SK텔레콤을 제2의 성장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승부수를 던지고 나섰다. 글로벌 ICT 기업으로 DNA를 바꾸기 위해 '탈(脫)텔레콤'의 기치를 내건 것이다.
정 사장 등이 참여한 SK텔레콤의 성장전략회의 내용은 곧바로 사내 인트라넷인 '소통 한마당'에 올려져 전 임직원과 공유된다. 글로벌 성장을 위해 새로운 DNA가 실시간으로 체화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정 사장이 열정적으로 '성장'과 '글로벌'을 전파하고 있는 요즘 SK텔레콤 내부에서는 무선통신 1위 기업의 여유로움은 찾아볼 수가 없다. 대신 팽팽한 긴장감과 열의에 찬 표정들이 느껴진다. 마치 막 창업한 벤처기업처럼 뭔가 새로운 것을 한번 해보자는 의욕들이 회사 곳곳에서 배어난다.
◇"레드오션을 넘어라"=매년 2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리며 이동통신산업의 맹주로 자리 잡은 SK텔레콤이 왜 이렇게 알을 깨는 새로운 변신에 나서고 있는 것일까. 이유는 새로운 먹거리를 찾지 못하면 기업존립마저 힘들어진다는 냉철한 자각 때문이다.
통신기술 발전으로 유무선은 물론 방송 등 이종산업 간 컨버전스 서비스들이 통신시장을 송두리째 변화시키고 있는 점도 SK텔레콤이 변신을 서두르는 또 다른 배경이다.
통신업계의 한 고위임원은 "망(網)사업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통신망을 깔아 통행료(서비스 이용료)를 받는 기존의 통신비즈니스가 한계에 봉착했다는 진단이다. '플레이어(통신사업자)'들끼리 가입자를 서로 뺏고 빼앗는 제로섬게임만 남아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인 '이전투구' 시장이 돼버렸다는 것.
실제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올 3월 기준 가입자가 4,623만5,000명으로 보급률이 95.1%다. 휴대폰을 안 쓰는 유아와 일부 노년층을 빼면 사실상 100% 가입률이다. 외형 성장이 막다른 골목에 도달한 것이다.
최근에는 구리선(PSTN) 방식의 유선전화가 인터넷전화로 빠르게 대체되면서 통신사의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ARPU)은 뚝 떨어지고 있다.
이 같은 통신시장의 노화현상은 선두 무선사업자인 SK텔레콤에 영향을 주고 있다. 매년 1조원가량이던 매출 증가액은 2005년부터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특히 올 1ㆍ4분기에는 전년동기 대비 누적 가입자가 4% 늘었지만 매출액은 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결합상품 경쟁으로 요금할인폭이 커진데다 정부의 지속적인 통신료 인하 압박 탓이다.
◇더 이상 통신사 아니다="6년 만에 돌아와보니 국내 통신시장은 밖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한 성장정체의 늪에 빠져 있음을 알게 됐습니다." 지난 4월9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장에 나온 정 사장의 모두 발언에는 절박함이 흠씬 묻어났다. 그는 단호한 어조로 "국내 정보통신서비스와 소프트웨어 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산업성장의 기회영역이자 블루오션"이라며 명쾌한 해법을 제시했다.
SK텔레콤이 돌파구로 잡은 성장 묘책은 글로벌과 컨버전스 두가지다. 이미 미국ㆍ중국ㆍ베트남 등에서 통신서비스 경험이 있는 SK텔레콤은 글로벌 시장에서 전 ICT 분야로 비즈니스의 스펙트럼을 넓게 펼칠 방침이다. SK텔레콤이 기술을 선도하고 중소 ICT 기업들과 손을 맞잡아 소프트웨어와 ICT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열심히 내다 판다면 SK텔레콤은 물론 한국 ICT에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라는 전략이다. 정 사장은 "SK그룹의 해외거점을 통해 각 나라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골라 판매할 계획"이라고 복안을 털어놨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첨단 융합기술을 집중 개발, '제2의 CDMA 성공신화'를 이룰 계획이다. 스마트 그리드, 크라우드 컴퓨팅, 음성인식 등 5대 성장기술 과제를 도출한 SK텔레콤의 미래기술연구원이 블루오션 창출의 선봉대를 맡았다. 이중 올해로 개발 3년째인 차세대 음성인식 기술은 이르면 연내 개발 단계까지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민석 SK텔레콤 미래기술원장은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 등 3개 분야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자동번역과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용화하면 사회적ㆍ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히 클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통신시장은 레드오션" 세계로 눈돌리고 지능형 전력망등 첨단기술 개발도 사활 걸어
SK그룹은 전세계적으로 아웃포스트(Outpostㆍ전략기지)를 구축해놓았습니다. 이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우리의 서비스와 기술의 해외 진출을 적극 모색해야 합니다."
정만원 SK텔레콤 사장은 지난 15일 서울 을지로 본사에서 회사 수뇌부들과 머리를 맞댔다. 올 들어 18번째 열린 성장전략회의다. 이 자리에서 정 사장은 "창의적이고 미래지향적인 기업이 되려면 양쪽 문을 전천후로 사용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기에는 SK텔레콤을 통신회사라는 기존의 틀에서 벗어나 글로벌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으로 리스트럭처링하겠다는 강력한 의지가 담겨 있다. SK텔레콤은 이를 위해 지능형 전력망(스마트 그리드)과 클라우드 컴퓨팅을 비롯한 새로운 컨버전스(융합) 서비스 개발에 사활을 걸고 있다.
◇"기업 DNA 확 바꾼다"=정 사장은 SK텔레콤에 오기 전에 침몰 위기에 빠졌던 SK네트웍스를 사업다각화를 활용해 매출 25조원의 탄탄한 기업으로 탈바꿈시켰다. SK네트웍스의 대반전 드라마를 연출했던 정 사장은 이제 SK텔레콤을 제2의 성장궤도에 올려놓기 위해 승부수를 던지고 나섰다. 글로벌 ICT 기업으로 DNA를 바꾸기 위해 '탈(脫)텔레콤'의 기치를 내건 것이다.
정 사장 등이 참여한 SK텔레콤의 성장전략회의 내용은 곧바로 사내 인트라넷인 '소통 한마당'에 올려져 전 임직원과 공유된다. 글로벌 성장을 위해 새로운 DNA가 실시간으로 체화되고 있는 셈이다.
이처럼 정 사장이 열정적으로 '성장'과 '글로벌'을 전파하고 있는 요즘 SK텔레콤 내부에서는 무선통신 1위 기업의 여유로움은 찾아볼 수가 없다. 대신 팽팽한 긴장감과 열의에 찬 표정들이 느껴진다. 마치 막 창업한 벤처기업처럼 뭔가 새로운 것을 한번 해보자는 의욕들이 회사 곳곳에서 배어난다.
◇"레드오션을 넘어라"=매년 2조원이 넘는 영업이익을 올리며 이동통신산업의 맹주로 자리 잡은 SK텔레콤이 왜 이렇게 알을 깨는 새로운 변신에 나서고 있는 것일까. 이유는 새로운 먹거리를 찾지 못하면 기업존립마저 힘들어진다는 냉철한 자각 때문이다.
통신기술 발전으로 유무선은 물론 방송 등 이종산업 간 컨버전스 서비스들이 통신시장을 송두리째 변화시키고 있는 점도 SK텔레콤이 변신을 서두르는 또 다른 배경이다.
통신업계의 한 고위임원은 "망(網)사업만으로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 통신망을 깔아 통행료(서비스 이용료)를 받는 기존의 통신비즈니스가 한계에 봉착했다는 진단이다. '플레이어(통신사업자)'들끼리 가입자를 서로 뺏고 빼앗는 제로섬게임만 남아 '남의 불행이 나의 행복'인 '이전투구' 시장이 돼버렸다는 것.
실제로 국내 이동통신 시장은 올 3월 기준 가입자가 4,623만5,000명으로 보급률이 95.1%다. 휴대폰을 안 쓰는 유아와 일부 노년층을 빼면 사실상 100% 가입률이다. 외형 성장이 막다른 골목에 도달한 것이다.
최근에는 구리선(PSTN) 방식의 유선전화가 인터넷전화로 빠르게 대체되면서 통신사의 가입자당 평균 매출액(ARPU)은 뚝 떨어지고 있다.
이 같은 통신시장의 노화현상은 선두 무선사업자인 SK텔레콤에 영향을 주고 있다. 매년 1조원가량이던 매출 증가액은 2005년부터 절반 이하로 뚝 떨어졌다. 특히 올 1ㆍ4분기에는 전년동기 대비 누적 가입자가 4% 늘었지만 매출액은 1.4%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결합상품 경쟁으로 요금할인폭이 커진데다 정부의 지속적인 통신료 인하 압박 탓이다.
◇더 이상 통신사 아니다="6년 만에 돌아와보니 국내 통신시장은 밖에서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심각한 성장정체의 늪에 빠져 있음을 알게 됐습니다." 지난 4월9일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장에 나온 정 사장의 모두 발언에는 절박함이 흠씬 묻어났다. 그는 단호한 어조로 "국내 정보통신서비스와 소프트웨어 산업의 글로벌 시장 진출이 산업성장의 기회영역이자 블루오션"이라며 명쾌한 해법을 제시했다.
SK텔레콤이 돌파구로 잡은 성장 묘책은 글로벌과 컨버전스 두가지다. 이미 미국ㆍ중국ㆍ베트남 등에서 통신서비스 경험이 있는 SK텔레콤은 글로벌 시장에서 전 ICT 분야로 비즈니스의 스펙트럼을 넓게 펼칠 방침이다. SK텔레콤이 기술을 선도하고 중소 ICT 기업들과 손을 맞잡아 소프트웨어와 ICT 서비스를 글로벌 시장에 열심히 내다 판다면 SK텔레콤은 물론 한국 ICT에 새로운 전기가 될 것이라는 전략이다. 정 사장은 "SK그룹의 해외거점을 통해 각 나라에 맞는 상품과 서비스를 골라 판매할 계획"이라고 복안을 털어놨다.
아울러 SK텔레콤은 첨단 융합기술을 집중 개발, '제2의 CDMA 성공신화'를 이룰 계획이다. 스마트 그리드, 크라우드 컴퓨팅, 음성인식 등 5대 성장기술 과제를 도출한 SK텔레콤의 미래기술연구원이 블루오션 창출의 선봉대를 맡았다. 이중 올해로 개발 3년째인 차세대 음성인식 기술은 이르면 연내 개발 단계까지 완료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김민석 SK텔레콤 미래기술원장은 "성장동력을 발굴하기 위해 스마트 그리드 등 3개 분야 기술개발에 주력하고 있다"며 "자동번역과 같은 유저 인터페이스를 상용화하면 사회적ㆍ경제적 파급효과가 상당히 클 것"이라고 말했다.
Monday, May 18, 2009
내가 아내에게 REST를 어떻게 설명했는가.
License:
This article is provid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Alike 2.0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2.0/) according to the license agreement of the original article. The author of the original article is Ryan Tomayko, and his post can be found at http://naeblis.cx/rtomayko/2004/12/12/rest-to-my-wife. Translation into Korean is provided by Minkoo Seo(minkoo.seo@gmail.com).
라이선스:
이 글은 원문의 라이선스에 따라 Creative Commons Attribute-Alike 2.0 라이선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2.0/deed.kr)에 따라 배포됩니다. 원 저자는 Ryan Tomayko이며, 원문은 http://naeblis.cx/rtomayko/2004/12/12/rest-to-my-wife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번역은 서민구(minkoo.seo at gmail.com)가 하였습니다.
내가 아내에게 REST를 어떻게 설명했는가.
부인: Roy Fielding이 누구야?
Ryan: 남잔데, 똑똑한 사람이야.
부인: 응. 근데 그 사람이 뭘 했어?
Ryan: 최초의 웹 서버를 작성했고, 왜 웹이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동작하는지를 설명하는 많은 연구를 했지. 아, 그의 이름은 서버로부터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스펙에 올라있기도 해.
부인: 어떻게 동작하는데?
Ryan: 웹말야?
부인: 응
Ryan: 흠.. 어, 사실 굉장히 재밌지. 그리고 가장 재밌는 점은 웹이 과소평가되어있다는거야. 아까 말한 프로토콜은 HTTP라는 이름으로 불려. 그리고 HTTP는 사람들이 종종 간과하기도 하는 멋진 일들을 처리하지.
부인: http는 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입력할때 넣는 맨 앞의 단어를 말하는거야?
Ryan: 응. 그 처음부분이 브라우저에게 어떤 프로토콜을 써야하는지 말하는 곳이지. 바로 그게 컴퓨팅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적인 일이었어.
부인: 왜?
Ryan: 왜냐면 어느곳에서나 세계의 모든 것들을 기술할 수 있었으니까. 그게 웹의 바탕을 이루지. 이건 지식과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GPS 좌표같은거야.
부인: 웹의 좌표?
Ryan: 음.. 그래. 사실 모든 것에 대한 좌표지. 아까 그 Roy Fielding이란 남자 말야. 그 사람의 연구에선 그 무언가를 가리키는 포인트들에 많은 언급을 했어. 웹은 REST라고 불리는 아키텍쳐 스타일에 근간을 두고 있는데, REST는 포인트가 가리키는 자원에 대한 정의를 내려주지.
부인: 웹 페이지가 자원이야?
Ryan: 일종의. 웹 페이지는 자원에 대한 표현이야. 자원은 그냥 개념이고. URL들은 브라우저에서 입력하는 주소이고..
부인: 나 URL이 뭔지 알아.
Ryan: 응 그거. URL을 사용해서 어딘가 개념이 있다고 말해주는 거지. 그럼 브라우저는 그 개념의 특정한 표현을 얻어올 수 있지.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브라우저는 개념의 표현인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거야.
부인: 또 어떤 표현 양식들이 있는데?
Ryan: 사실, 그 표현 방식이라는게 그렇게 많이 쓰이지는 않아. 대부분의 경우에, 자원은 단일의 표현만을 가지지. 그렇지만 우리는 전체에 대한 표현이 미래에는 많이 쓰이기를 바래. 왜냐면 새로운 표현양식들이 자꾸 나타나고 있으니까.
부인: 예를들자면 어떤?
Ryan: 음. 말하자면, 사람들이 웹 서비스(web services)라고 부르는 개념이 있지. 이건 많은 사람들에게 종종 서로 다른 의미로 이해되기는 하지만, 어쨌든 기본적인 생각은 기계가 사람처럼 웹을 사용한다는 것이지.
부인: 이거 로봇같은거야?
Ryan: 아냐. 사실 완전히 그런건 아니고. 컴퓨터가 책상에 앉아서 웹 서핑을 한다는 말은 아니야. 그렇지만 컴퓨터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는 거지. 사람들은 이런 일을 아주 오랫동안 해왔지만, 오늘날의 어떤 방식도 전세계의 모든 컴퓨터와 통신하는데는 적당하지 않지.
부인: 어째서?
Ryan: 왜냐면 그렇게 설계되지를 않아서 그래. Roy Fielding과 그의 친구들이 웹을 만들때는, 세계의 모든 컴퓨터와 통신한다는게 아주 중요하게 다뤄진 문제였어. 하지만 우리가 일을 할때 컴퓨터가 서로간에 통신하도록 하는 방식에는 이러한 고려가 되어있지 않아. 우리가 일할때는 몇개의 컴퓨터가 서로간에 대화하도록 하는 정도만 되면 되니까.
부인: 그런데 이제는 세상의 모든 컴퓨터와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단 거야?
Ryan: 응. 그리고 사실은 더 많은 것이 필요하지. 우리는 세계의 모든 컴퓨터와 사방에 퍼져있는 자료들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어야돼. 그래서 우리는 어떤 컴퓨터에게 그 컴퓨터 외에 있는 자원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거야.
부인: 뭐라구?
Ryan: 예를 들어서 당신이 여동생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걔가 청소기 같은걸 빌리고 싶어한다고 하자. 그런데 당신한텐 그게 없어. 어머니한테는 있지. 그러면 당신은 여동생에게 어머니에게 빌리라고 말을 해야하지. 이게 바로 실제세계에서 일어나는 일고, 컴퓨터가 이야기를 시작함에따라 발생할 일들이지.
부인: 그럼 기계들은 어디에 물건이 있는지 어떻게 말해주지?
Ryan: 물론 URL이지. 만약 컴퓨터가 필요한 URL로만 이야기한다면, 기계에서 필요한 '명사'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지. 당신과 나와 그리고 전세계가 명사에 대해서 동의한다는건 매우 중요한일이야. 그렇지?
부인: 응.
Ryan: 기계한텐 그런 명사가 없어. 그래서 골치가 아프지.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다른 모든 시스템들은 서로 명사를 다르게 정의해버렸어. 그래서 URL이 중요한거지. URL은 모든 시스템들이 다른 기계가 가진 명사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게 해줘.
부인: 그치만 나는 웹을 그렇게 생각해본 적이 없는걸?
Ryan: 아무도 안그러지. Fielding 과 몇몇 사람들 빼고는. 그래서 기계란게 갑갑한 거야.
부인: 명사나 대명사나 형용사는 어떻게 해?
Ryan: 당신이 그런말을 하다니 재밌는걸? 사실 그게 REST의 또다른 큰 측면이거든. 음, 어쨌든 '동사'는 그래.
부인: 농담이었는데.
Ryan: 재밌는 농담이긴 한데, 사실 농담이 아닌 일이야. 동사는 중요해. 프로그래밍과 컴퓨터 과학 이론에는 폴리모피즘이라는 강력한 개념이 있지. 폴리모피즘은 명사에 적용되는 동사가 동일할 수 있게 해주는 괴짜같은 방법이야.
부인: 무슨말인지 모르겠어.
Ryan: 음.. 커피 테이블을 보자. 뭐가 명사지? 컵, 차반, 신문, 리모콘. 자, 그럼 이걸 갖구 뭘 할 수 있을까?
부인: 몰라.. (I don't get it..)
Ryan: 그걸 가져올 수 있어(You can get them. 역주: get을 사용한 말장난입니다) 그치? 집을수도 있어. 때려 눞힐 수도 있어. 태울 수도 있지. 이런 다양한 동사를 저기있는 모든 객체들에게 적용할 수 있지.
부인: 좋아... 그래서?
Ryan: 그게 중요한거야. 당신한테 "컵을 갖다줘(get the cup)", "신문을 갖다줘(get the newspaper)", "리모콘을 갖다줘(get the remote)"라고 말하는 대신에, 만약 명사마다 서로 다른 동사를 사용해야한다면 어떨까? 그러면 "갖다줘(get)" 을 온갖 물건에 사용하는 대신에, 모든 동사/명사 조합에 대해서 새로운 단어를 생각해야만 할거야.
부인: 그건 정말 이상할거 같아.
Ryan: 그래, 그렇지. 우리의 뇌는 똑똑해서 서로다른 명사에 같은 동사를 적용할 수 있지. 몇몇 동사는 사용처가 한정되어있어서 일부 명사에만 쓸 수 있지. 예를들어서, 나는 컵을 운전할 수 없고, 자동차를 마실 수 없어. 그렇지만 몇몇 동사는 어디에나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런 동사에는 GET, PUT, DELETE가 있지.
부인: 하지만 컵을 지울 수는(DELETE) 없잖아.
Ryan: 응, 그야 그렇지. 하지만 던져버릴 수는 있잖아. 농담인거지 당신?
부인: 그래.
Ryan: 어쨌든간에, Fielding과 그의 친구들이 만든 HTTP라는 프로토콜은 동사를 명사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야. 예를들자면, 웹 페이지에 방문하면, 브라우저는 당신이 입력한 URL에 대해서 HTTP GET을 수행하고 웹 페이지를 보여주지.
웹 페이지에는 보통 이미지가 있어. 그렇지? 각 이미지는 서로 분리된 자원이야. 웹 페이지는 다만 이미지에 대한 URL을 지정할 뿐이고, 그러면 브라우저가 모든 필요한 자원을 획득할 때까지 HTTP GET을 수행하고, 그 후에 웹 페이지가 화면에 나타나지.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건 모든 명사를 똑같이 취급할 수 있다는 점이야. 명사가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mp3, 슬라이드쇼든 뭐든지 간에 같게 취급할 수 있지. URL만 있으면 모두 가져올 수(GET) 있는 거야.
부인: GET이란거 무척 중요한 동사같네.
Ryan: 맞아. 특히 브라우저를 쓸 때 그렇지. 왜냐하면 브라우저라는건 그냥 가져오기만 하는 녀석이니까. 자원들을 가지고 무언가 대단한 일을 하지는 않아. 이게 문제야. 왜냐하면 그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HTTP란 단지 가져오는 것이다라고 생각하게 만들어버렸으니까. 그렇지만 HTTP는 사실 동사를 명사에 적용하는데 대한 일반화된 프로토콜이야.
부인: 멋진데. 그렇지만 이런것들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어. 또 무슨 명사와 동사가 필요한건데?
Ryan: 음, 명사는 있지. 그런데 포멧이 적절하지가 않아. 당신이 나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주기위해 amazon.com 에 접속했다고 해보자. 각각의 상품이 명사라고 생각해 봐. 만약 기계가 이 상품들이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면, 멋진 일들을 할 수 있어.
부인: 기계는 왜 웹 페이지를 이해할 수가 없어?
Ryan: 왜냐하면 웹 페이지는 사람을 위한 거거든. 기계는 레이아웃이나 스타일에 신경을 쓰지 않지. 기계는 다만 데이터만 있으면 되는거야. 이상적으로 보자면, 모든 URL은 사람과 기계가 모두 읽을 수 있는 표현을 가져야 하지. 기계가 GET을 하면,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자원을 줘야지. 사람이 브라우저로 GET을 하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것을 줘야하고.
부인: 그럼 사람들이 모든 페이지에 대해서 기계들도 읽을 수 있는 포멧을 만들어야한단 거야?
Ryan: 그런게 의미가 있다면.
지금까지 우리는 많은 추상적인 것들로 대화를 진행해 왔어. 실제 예를 들어보는게 어떨까. 당신이 선생님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학교에는 커다란 컴퓨터가 있을거고, 아니면 적어도 학생 관리를 위한 컴퓨터가 세네 대는 있겠지. 거기에는 어떤 학생들이 등록했는지, 점수는 몇점이나 받았는지, 비상 연락처는 어떻게 되는지, 학생을 가르칠 때 어떤 책을 사용해야할지 같은 정보가 있을거야. 만약 그 시스템이 웹 기반이라면, 그러면 여기에 등장하는 모든 명사에 URL이 있을거야. 이런 명사는 학생, 선생님, 수업, 책, 방 같은거겠지. 자 이제,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면 웹 페이지가 나오지. 만약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표현이 각 URL마다 작성되어 있다면, 새로운 도구를 붙이는게 쉬울거야. 왜냐하면 모든 정보가 표준화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니까. 그리고 기계간의 대화도 쉬워지겠지. 즉, 시험 점수를 취합하는데 쓸 수 있도록 국가 전체의 학교 시스템들이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겠 되는거지.
각 시스템은 간단한 HTTP GET을 사용해서 정보를 얻어오는 거야. 만약 어떤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에 무언가를 저장하고자하면 HTTP POST를 쓸 수 있어.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갱신하려면 HTTP PUT을 쓰지. 이제 남은 일은 데이터가 어떤 모양이어야 하는가라는 거야.
부인: 그래서, 이게 당신과 모든 컴퓨터 하는 사람들이 하는 일이란 말야? 데이터가 어떻게 나타나야하는가에 대한 것?
Ryan: 불행히도 그렇지는 않아. 대신, 별로 유용하지도 않고 편하지도 않은 또 다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기위한 복잡한 스펙의 계층을 쓰는데 시간을 보내고 있지. 명사는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형태가 아니고, 동사역시 폴리모피즘이 안돼. 수십년간 실세계에서 검증된 기술을 던져버리고는 과거에 실패한 시스템들의 방법을 다시 갖다 쓰고 있지. HTTP를 쓰기는 하는데, 그건 단지 보안 관리자와 대면할 일이 적고, 통신하는데 편하단 이유때문에 쓰는거고. 간단함 대신에 번쩍거리는 도구와 마법사에 의존하고 있어.
부인: 왜?
Ryan: 몰라...
부인: 당신이 뭐라고 좀 하지 그래?
Ryan: 그럴 생각이야.
-------------------------------------------8<------------------------------------------------
This article is provided under the Creative Commons Attribution-Alike 2.0 license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2.0/) according to the license agreement of the original article. The author of the original article is Ryan Tomayko, and his post can be found at http://naeblis.cx/rtomayko/2004/12/12/rest-to-my-wife. Translation into Korean is provided by Minkoo Seo(minkoo.seo@gmail.com).
라이선스:
이 글은 원문의 라이선스에 따라 Creative Commons Attribute-Alike 2.0 라이선스 (http://creativecommons.org/licenses/by-sa/2.0/deed.kr)에 따라 배포됩니다. 원 저자는 Ryan Tomayko이며, 원문은 http://naeblis.cx/rtomayko/2004/12/12/rest-to-my-wife 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한국어 번역은 서민구(minkoo.seo at gmail.com)가 하였습니다.
내가 아내에게 REST를 어떻게 설명했는가.
부인: Roy Fielding이 누구야?
Ryan: 남잔데, 똑똑한 사람이야.
부인: 응. 근데 그 사람이 뭘 했어?
Ryan: 최초의 웹 서버를 작성했고, 왜 웹이 현재와 같은 모습으로 동작하는지를 설명하는 많은 연구를 했지. 아, 그의 이름은 서버로부터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프로토콜 스펙에 올라있기도 해.
부인: 어떻게 동작하는데?
Ryan: 웹말야?
부인: 응
Ryan: 흠.. 어, 사실 굉장히 재밌지. 그리고 가장 재밌는 점은 웹이 과소평가되어있다는거야. 아까 말한 프로토콜은 HTTP라는 이름으로 불려. 그리고 HTTP는 사람들이 종종 간과하기도 하는 멋진 일들을 처리하지.
부인: http는 브라우저에서 주소를 입력할때 넣는 맨 앞의 단어를 말하는거야?
Ryan: 응. 그 처음부분이 브라우저에게 어떤 프로토콜을 써야하는지 말하는 곳이지. 바로 그게 컴퓨팅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혁신적인 일이었어.
부인: 왜?
Ryan: 왜냐면 어느곳에서나 세계의 모든 것들을 기술할 수 있었으니까. 그게 웹의 바탕을 이루지. 이건 지식과 정보를 얻는데 사용되는 GPS 좌표같은거야.
부인: 웹의 좌표?
Ryan: 음.. 그래. 사실 모든 것에 대한 좌표지. 아까 그 Roy Fielding이란 남자 말야. 그 사람의 연구에선 그 무언가를 가리키는 포인트들에 많은 언급을 했어. 웹은 REST라고 불리는 아키텍쳐 스타일에 근간을 두고 있는데, REST는 포인트가 가리키는 자원에 대한 정의를 내려주지.
부인: 웹 페이지가 자원이야?
Ryan: 일종의. 웹 페이지는 자원에 대한 표현이야. 자원은 그냥 개념이고. URL들은 브라우저에서 입력하는 주소이고..
부인: 나 URL이 뭔지 알아.
Ryan: 응 그거. URL을 사용해서 어딘가 개념이 있다고 말해주는 거지. 그럼 브라우저는 그 개념의 특정한 표현을 얻어올 수 있지. 좀더 정확하게 말하자면, 브라우저는 개념의 표현인 웹 페이지를 가져오는거야.
부인: 또 어떤 표현 양식들이 있는데?
Ryan: 사실, 그 표현 방식이라는게 그렇게 많이 쓰이지는 않아. 대부분의 경우에, 자원은 단일의 표현만을 가지지. 그렇지만 우리는 전체에 대한 표현이 미래에는 많이 쓰이기를 바래. 왜냐면 새로운 표현양식들이 자꾸 나타나고 있으니까.
부인: 예를들자면 어떤?
Ryan: 음. 말하자면, 사람들이 웹 서비스(web services)라고 부르는 개념이 있지. 이건 많은 사람들에게 종종 서로 다른 의미로 이해되기는 하지만, 어쨌든 기본적인 생각은 기계가 사람처럼 웹을 사용한다는 것이지.
부인: 이거 로봇같은거야?
Ryan: 아냐. 사실 완전히 그런건 아니고. 컴퓨터가 책상에 앉아서 웹 서핑을 한다는 말은 아니야. 그렇지만 컴퓨터가 같은 프로토콜을 사용해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는 거지. 사람들은 이런 일을 아주 오랫동안 해왔지만, 오늘날의 어떤 방식도 전세계의 모든 컴퓨터와 통신하는데는 적당하지 않지.
부인: 어째서?
Ryan: 왜냐면 그렇게 설계되지를 않아서 그래. Roy Fielding과 그의 친구들이 웹을 만들때는, 세계의 모든 컴퓨터와 통신한다는게 아주 중요하게 다뤄진 문제였어. 하지만 우리가 일을 할때 컴퓨터가 서로간에 통신하도록 하는 방식에는 이러한 고려가 되어있지 않아. 우리가 일할때는 몇개의 컴퓨터가 서로간에 대화하도록 하는 정도만 되면 되니까.
부인: 그런데 이제는 세상의 모든 컴퓨터와 이야기 할 수 있어야 한단 거야?
Ryan: 응. 그리고 사실은 더 많은 것이 필요하지. 우리는 세계의 모든 컴퓨터와 사방에 퍼져있는 자료들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 있어야돼. 그래서 우리는 어떤 컴퓨터에게 그 컴퓨터 외에 있는 자원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한거야.
부인: 뭐라구?
Ryan: 예를 들어서 당신이 여동생과 이야기를 하고 있는데, 걔가 청소기 같은걸 빌리고 싶어한다고 하자. 그런데 당신한텐 그게 없어. 어머니한테는 있지. 그러면 당신은 여동생에게 어머니에게 빌리라고 말을 해야하지. 이게 바로 실제세계에서 일어나는 일고, 컴퓨터가 이야기를 시작함에따라 발생할 일들이지.
부인: 그럼 기계들은 어디에 물건이 있는지 어떻게 말해주지?
Ryan: 물론 URL이지. 만약 컴퓨터가 필요한 URL로만 이야기한다면, 기계에서 필요한 '명사'를 만들었다고 할 수 있지. 당신과 나와 그리고 전세계가 명사에 대해서 동의한다는건 매우 중요한일이야. 그렇지?
부인: 응.
Ryan: 기계한텐 그런 명사가 없어. 그래서 골치가 아프지.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 데이터베이스, 그리고 다른 모든 시스템들은 서로 명사를 다르게 정의해버렸어. 그래서 URL이 중요한거지. URL은 모든 시스템들이 다른 기계가 가진 명사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게 해줘.
부인: 그치만 나는 웹을 그렇게 생각해본 적이 없는걸?
Ryan: 아무도 안그러지. Fielding 과 몇몇 사람들 빼고는. 그래서 기계란게 갑갑한 거야.
부인: 명사나 대명사나 형용사는 어떻게 해?
Ryan: 당신이 그런말을 하다니 재밌는걸? 사실 그게 REST의 또다른 큰 측면이거든. 음, 어쨌든 '동사'는 그래.
부인: 농담이었는데.
Ryan: 재밌는 농담이긴 한데, 사실 농담이 아닌 일이야. 동사는 중요해. 프로그래밍과 컴퓨터 과학 이론에는 폴리모피즘이라는 강력한 개념이 있지. 폴리모피즘은 명사에 적용되는 동사가 동일할 수 있게 해주는 괴짜같은 방법이야.
부인: 무슨말인지 모르겠어.
Ryan: 음.. 커피 테이블을 보자. 뭐가 명사지? 컵, 차반, 신문, 리모콘. 자, 그럼 이걸 갖구 뭘 할 수 있을까?
부인: 몰라.. (I don't get it..)
Ryan: 그걸 가져올 수 있어(You can get them. 역주: get을 사용한 말장난입니다) 그치? 집을수도 있어. 때려 눞힐 수도 있어. 태울 수도 있지. 이런 다양한 동사를 저기있는 모든 객체들에게 적용할 수 있지.
부인: 좋아... 그래서?
Ryan: 그게 중요한거야. 당신한테 "컵을 갖다줘(get the cup)", "신문을 갖다줘(get the newspaper)", "리모콘을 갖다줘(get the remote)"라고 말하는 대신에, 만약 명사마다 서로 다른 동사를 사용해야한다면 어떨까? 그러면 "갖다줘(get)" 을 온갖 물건에 사용하는 대신에, 모든 동사/명사 조합에 대해서 새로운 단어를 생각해야만 할거야.
부인: 그건 정말 이상할거 같아.
Ryan: 그래, 그렇지. 우리의 뇌는 똑똑해서 서로다른 명사에 같은 동사를 적용할 수 있지. 몇몇 동사는 사용처가 한정되어있어서 일부 명사에만 쓸 수 있지. 예를들어서, 나는 컵을 운전할 수 없고, 자동차를 마실 수 없어. 그렇지만 몇몇 동사는 어디에나 사용될 수 있는데 이런 동사에는 GET, PUT, DELETE가 있지.
부인: 하지만 컵을 지울 수는(DELETE) 없잖아.
Ryan: 응, 그야 그렇지. 하지만 던져버릴 수는 있잖아. 농담인거지 당신?
부인: 그래.
Ryan: 어쨌든간에, Fielding과 그의 친구들이 만든 HTTP라는 프로토콜은 동사를 명사에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이야기야. 예를들자면, 웹 페이지에 방문하면, 브라우저는 당신이 입력한 URL에 대해서 HTTP GET을 수행하고 웹 페이지를 보여주지.
웹 페이지에는 보통 이미지가 있어. 그렇지? 각 이미지는 서로 분리된 자원이야. 웹 페이지는 다만 이미지에 대한 URL을 지정할 뿐이고, 그러면 브라우저가 모든 필요한 자원을 획득할 때까지 HTTP GET을 수행하고, 그 후에 웹 페이지가 화면에 나타나지. 그러나 여기서 중요한건 모든 명사를 똑같이 취급할 수 있다는 점이야. 명사가 이미지, 텍스트, 비디오, mp3, 슬라이드쇼든 뭐든지 간에 같게 취급할 수 있지. URL만 있으면 모두 가져올 수(GET) 있는 거야.
부인: GET이란거 무척 중요한 동사같네.
Ryan: 맞아. 특히 브라우저를 쓸 때 그렇지. 왜냐하면 브라우저라는건 그냥 가져오기만 하는 녀석이니까. 자원들을 가지고 무언가 대단한 일을 하지는 않아. 이게 문제야. 왜냐하면 그로인해 많은 사람들이 HTTP란 단지 가져오는 것이다라고 생각하게 만들어버렸으니까. 그렇지만 HTTP는 사실 동사를 명사에 적용하는데 대한 일반화된 프로토콜이야.
부인: 멋진데. 그렇지만 이런것들이 무슨 의미가 있는지 잘 모르겠어. 또 무슨 명사와 동사가 필요한건데?
Ryan: 음, 명사는 있지. 그런데 포멧이 적절하지가 않아. 당신이 나에게 크리스마스 선물을 사주기위해 amazon.com 에 접속했다고 해보자. 각각의 상품이 명사라고 생각해 봐. 만약 기계가 이 상품들이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존재한다면, 멋진 일들을 할 수 있어.
부인: 기계는 왜 웹 페이지를 이해할 수가 없어?
Ryan: 왜냐하면 웹 페이지는 사람을 위한 거거든. 기계는 레이아웃이나 스타일에 신경을 쓰지 않지. 기계는 다만 데이터만 있으면 되는거야. 이상적으로 보자면, 모든 URL은 사람과 기계가 모두 읽을 수 있는 표현을 가져야 하지. 기계가 GET을 하면, 기계가 읽을 수 있는 자원을 줘야지. 사람이 브라우저로 GET을 하면, 사람이 읽을 수 있는 것을 줘야하고.
부인: 그럼 사람들이 모든 페이지에 대해서 기계들도 읽을 수 있는 포멧을 만들어야한단 거야?
Ryan: 그런게 의미가 있다면.
지금까지 우리는 많은 추상적인 것들로 대화를 진행해 왔어. 실제 예를 들어보는게 어떨까. 당신이 선생님이라고 해보자... 그러면 학교에는 커다란 컴퓨터가 있을거고, 아니면 적어도 학생 관리를 위한 컴퓨터가 세네 대는 있겠지. 거기에는 어떤 학생들이 등록했는지, 점수는 몇점이나 받았는지, 비상 연락처는 어떻게 되는지, 학생을 가르칠 때 어떤 책을 사용해야할지 같은 정보가 있을거야. 만약 그 시스템이 웹 기반이라면, 그러면 여기에 등장하는 모든 명사에 URL이 있을거야. 이런 명사는 학생, 선생님, 수업, 책, 방 같은거겠지. 자 이제, 브라우저에서 URL을 입력하면 웹 페이지가 나오지. 만약 기계가 읽을 수 있는 표현이 각 URL마다 작성되어 있다면, 새로운 도구를 붙이는게 쉬울거야. 왜냐하면 모든 정보가 표준화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니까. 그리고 기계간의 대화도 쉬워지겠지. 즉, 시험 점수를 취합하는데 쓸 수 있도록 국가 전체의 학교 시스템들이 상호간에 통신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들 수 있겠 되는거지.
각 시스템은 간단한 HTTP GET을 사용해서 정보를 얻어오는 거야. 만약 어떤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에 무언가를 저장하고자하면 HTTP POST를 쓸 수 있어. 시스템이 다른 시스템의 정보를 갱신하려면 HTTP PUT을 쓰지. 이제 남은 일은 데이터가 어떤 모양이어야 하는가라는 거야.
부인: 그래서, 이게 당신과 모든 컴퓨터 하는 사람들이 하는 일이란 말야? 데이터가 어떻게 나타나야하는가에 대한 것?
Ryan: 불행히도 그렇지는 않아. 대신, 별로 유용하지도 않고 편하지도 않은 또 다른 방식으로 일을 처리하기위한 복잡한 스펙의 계층을 쓰는데 시간을 보내고 있지. 명사는 전세계적으로 통용되는 형태가 아니고, 동사역시 폴리모피즘이 안돼. 수십년간 실세계에서 검증된 기술을 던져버리고는 과거에 실패한 시스템들의 방법을 다시 갖다 쓰고 있지. HTTP를 쓰기는 하는데, 그건 단지 보안 관리자와 대면할 일이 적고, 통신하는데 편하단 이유때문에 쓰는거고. 간단함 대신에 번쩍거리는 도구와 마법사에 의존하고 있어.
부인: 왜?
Ryan: 몰라...
부인: 당신이 뭐라고 좀 하지 그래?
Ryan: 그럴 생각이야.
-------------------------------------------8<------------------------------------------------
"클라우드서 차세대 먹거리 찾자"
IT업계, 시장 개화기 판단 사업화 채비
제2의 디지털혁명으로 불리는 클라우드가 국내 주요 IT 업체들의 차세대 먹거리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S, KT 등 주요 업체들이 클라우드와 관련한 구체적인 사업 모델을 거론하고 있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본격 개화기에 접어든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삼성SDS(대표 김인)는 최근 미국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업체 `클라우데라'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다. 이 업체는 지난 3년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그룹을 조직해 가상화, 유틸리티 컴퓨팅 등 기반기술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이번 MOU 체결 이후 조직을 확대하고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모바일과 디지털 미디어 분야 등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방대한 클라우드 컴퓨팅 파워를 이용해 가족 병력과 DNA를 분석, 각 개인의 미래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의료 서비스도 구상하고 있다.
삼성SDSㆍKT 등 서비스모델 개발 나서
KT(대표 이석채)도 클라우드 행보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가상화와 서버 통합을 통해 수천대에 달하는 사내 IT 인프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운영비를 절감하는 한편 업계, 학계와의 접점을 늘려 국가 차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박창식 KT 부장은 "지금은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도 자체 서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지만,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만큼 IT 자원을 쓰고 사용한 만큼 지불하면 된다"며 "국가 차원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노그리드(대표 성춘호)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함께 총 65억원 규모의 방송 환경용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2년까지 진행되는 이 사업이 완료되면 각 가정에 들어가 있는 셋톱박스의 스토리지, 컴퓨팅 파워를 클라우드로 묶어 새로운 서비스를 하거나 실시간 TV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다시 볼 수 있는 `스타트 오버(Start Over)'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밖에 한국IBM 등 외국계 업체들은 클라우드 전용 제품을 출시하거나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컨설팅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한국HP는 클라우드의 보안을 한층 강화한 `CaaS(Cell as a Service)' 등 클라우드 신제품을 잇달아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지난 수년간 기술 이슈에 머물러 있던 클라우드 컴퓨팅이 국내서도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업들이 유휴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클라우드를 활발하게 고민하고 있고, IPTV 확산 등 시장환경이 급변하는 분야를 중심으로 자원 통합을 통해 거대 메이저 업체에 맞서기 위한 수단으로 클라우드가 활발하게 검토되고 있다. 특히 다른 업체에 인터넷 대역을 제공할 수 있고 `비즈메카' 서비스 노하우를 갖고 있는 KT의 움직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아직 업체 대부분이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감추고 타사 정보를 얻는데 주력하고 있지만 내부에서는 향후 있을 수 있는 클라우드 시장 규제에 대한 대응책까지 상당 부분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클라우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신뢰성 등은 이미 해외에서도 논란거리이다. 미국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도산하면서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도 있다.
국내 기업들의 문화적인 거부감도 여전히 자사 데이터가 외부에 저장되는 것은 물론, 가상 머신 내에 다른 회사의 데이터가 같이 존재하는 것조차 꺼려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클라우드 정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 요구와 함께 부처간 갈등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박규호 KAIST 교수는 "현 상황에서는 글로벌 업체들이 국내 시장에 본격 진입할 경우 국내 클라우드 시장 전체를 내줄 가능성도 있다"며 "소프트웨어 업체, IT서비스 업체, 통신사업자 등이 다양하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실험할 수 있는 대규모 클라우드 테스트 베드 구축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시장을 열어주는 역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 현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서비스를, 지식경제부가 플랫폼을 맡는 `암묵적 가이드 라인'이 있지만, 클라우드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두 조직간의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될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시장조사업체인 IDC는 전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2012년까지 연평균 27%씩 성장해 420억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제2의 디지털혁명으로 불리는 클라우드가 국내 주요 IT 업체들의 차세대 먹거리 사업으로 주목받고 있다.
1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SDS, KT 등 주요 업체들이 클라우드와 관련한 구체적인 사업 모델을 거론하고 있어 국내 클라우드 시장이 본격 개화기에 접어든 것이 아니냐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삼성SDS(대표 김인)는 최근 미국 클라우드 컴퓨팅 전문업체 `클라우데라'와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고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에 착수했다. 이 업체는 지난 3년간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그룹을 조직해 가상화, 유틸리티 컴퓨팅 등 기반기술 연구를 진행해 왔으며, 이번 MOU 체결 이후 조직을 확대하고 본격적인 상용 서비스 개발에 나선다. 모바일과 디지털 미디어 분야 등이 구체적으로 거론되고 있으며, 특히 방대한 클라우드 컴퓨팅 파워를 이용해 가족 병력과 DNA를 분석, 각 개인의 미래 건강상태를 예측하는 의료 서비스도 구상하고 있다.
삼성SDSㆍKT 등 서비스모델 개발 나서
KT(대표 이석채)도 클라우드 행보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가상화와 서버 통합을 통해 수천대에 달하는 사내 IT 인프라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운영비를 절감하는 한편 업계, 학계와의 접점을 늘려 국가 차원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구상하고 있다.
박창식 KT 부장은 "지금은 자동차를 만드는 회사도 자체 서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하지만, 클라우드를 이용하면 필요한 만큼 IT 자원을 쓰고 사용한 만큼 지불하면 된다"며 "국가 차원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노그리드(대표 성춘호)는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와 함께 총 65억원 규모의 방송 환경용 클라우드 플랫폼 개발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2012년까지 진행되는 이 사업이 완료되면 각 가정에 들어가 있는 셋톱박스의 스토리지, 컴퓨팅 파워를 클라우드로 묶어 새로운 서비스를 하거나 실시간 TV 프로그램을 처음부터 다시 볼 수 있는 `스타트 오버(Start Over)'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이밖에 한국IBM 등 외국계 업체들은 클라우드 전용 제품을 출시하거나 클라우드 시스템 구축 컨설팅 사업을 강화하고 있다. 특히 한국HP는 클라우드의 보안을 한층 강화한 `CaaS(Cell as a Service)' 등 클라우드 신제품을 잇달아 국내에 출시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지난 수년간 기술 이슈에 머물러 있던 클라우드 컴퓨팅이 국내서도 본격적인 사업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기업들이 유휴 IT 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관리비용을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클라우드를 활발하게 고민하고 있고, IPTV 확산 등 시장환경이 급변하는 분야를 중심으로 자원 통합을 통해 거대 메이저 업체에 맞서기 위한 수단으로 클라우드가 활발하게 검토되고 있다. 특히 다른 업체에 인터넷 대역을 제공할 수 있고 `비즈메카' 서비스 노하우를 갖고 있는 KT의 움직임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한 업체 관계자는 "아직 업체 대부분이 자사의 클라우드 서비스 모델을 감추고 타사 정보를 얻는데 주력하고 있지만 내부에서는 향후 있을 수 있는 클라우드 시장 규제에 대한 대응책까지 상당 부분 논의가 진행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클라우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보안과 개인정보 보호, 서비스 신뢰성 등은 이미 해외에서도 논란거리이다. 미국의 경우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가 도산하면서 데이터가 유실된 경우도 있다.
국내 기업들의 문화적인 거부감도 여전히 자사 데이터가 외부에 저장되는 것은 물론, 가상 머신 내에 다른 회사의 데이터가 같이 존재하는 것조차 꺼려한다는 것이 업계 관계자의 말이다.
클라우드 정책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인 역할 요구와 함께 부처간 갈등 우려도 나오고 있다. 박규호 KAIST 교수는 "현 상황에서는 글로벌 업체들이 국내 시장에 본격 진입할 경우 국내 클라우드 시장 전체를 내줄 가능성도 있다"며 "소프트웨어 업체, IT서비스 업체, 통신사업자 등이 다양하게 클라우드 서비스를 실험할 수 있는 대규모 클라우드 테스트 베드 구축 등 정부가 적극적으로 시장을 열어주는 역할이 절실하다"고 말했다.
또 현재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서비스를, 지식경제부가 플랫폼을 맡는 `암묵적 가이드 라인'이 있지만, 클라우드 시장이 성장함에 따라 두 조직간의 주도권 경쟁이 본격화될 것을 우려하는 시각도 있다.
시장조사업체인 IDC는 전세계 클라우드 컴퓨팅 시장이 2012년까지 연평균 27%씩 성장해 420억달러를 형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