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uesday, August 26, 2008

클라우드 컴퓨팅에 주목하라

김인 사장, IT서비스모델 바꿀 '새 물결' 강조


삼성SDS 김인 사장이 사내 임직원에게 정기적으로 발송하는 월요편지를 통해 25일 IT 신기술 이슈인 `클라우드 컴퓨팅'에 대해 언급,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비용 절감이 최근의 주요 IT 과제로 부상하면서 클라우드 컴퓨팅 제반 기술과 구현에 대해 주목해야 한다는 취지이다. 김 사장은 이날 "올해 초 빌게이츠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혁명과 함께 제2의 디지털 시대가 다가오고 있다고 전망했다"며 마이크로소프트의 미도리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했다.

그는 "MS가 윈도를 대체할 웹 기반의 운영체제(OS)를 추진하는 미도리 프로젝트는 평균 15년 주기로 찾아오는 정보혁명에 커다란 변화의 계기를 촉발시키고 있다"며 "이런 컴퓨팅 패러다임 변화의 중심에 클라우드 컴퓨팅이 있으며, 그 핵심이 바로 가상화 기술"이라고 설명했다. 또 "클라우드 컴퓨팅의 대표적인 활용분야로 SaaS(Software as a Service), 유틸리티 컴퓨팅(Utility Computing), 그리드 컴퓨팅(Grid Computing), 웹 서비스 인 더 클라우드(Web Service in the Cloud) 등을 들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사장은 이같은 설명을 하는 배경에 대해 "급변하는 IT 서비스업의 환경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처해 시장기회를 선점해야겠다는 의지 때문"이라며 "그린 IT, 유휴 IT자원의 활용, IT자원의 공유 등과 같은 패러다임 변화는 IT서비스 방식에도 새로운 사업모델을 촉발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삼성SDS는 현재 오래된 서버를 중심으로 통합작업을 추진 중이며, DBMSㆍ애플리케이션ㆍWEB/WASㆍ개발서버로 구분해 가상화를 통해 총 180대 가량의 시스템을 30대 수준으로 통합하고 효율화 했다.

특히 조만간 준공예정인 수원데이터센터는 서버 가상화 기술 시범적용을 통해 이미 30%의 원가절감 효과를 확인했다. 또 서버 가상화 기술을 통한 비용절감 효과는 고객의 TCO(총운영비용)를 20% 이상 절감하고 ROI를 높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출처]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8082602010960611003

Sunday, August 24, 2008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이란?

현재의 IT 주요 트렌드가 무엇일까요? SOA(Service Oriented Architecture), Web2.0, SaaS(Software as a Service), RIA(Rich Internet Application), 그리고 클라우드 컴퓨팅 (Cloud Computing) 이라고 생각합니다.


한마디로 간단히 정의하면
SOA는 "Reuse & Agility, 재사용과 민첩합"을 목적으로 나온 개념입니다.
Web2.0은 "Network Effect, 네트웍 효과, 소셜 네트웍" 으로 설명할 수 있을 것 같구요,
SaaS는 "Flexbile Pricing & Delivery, 유연한 가격 정책과 서비스의 새로운 Delivery 방식" 이구요,
RIA는 "Experience, 사용자 경험"이 주요 개념입니다.
그렇다면, Cloud Computing은 "Service Utility, 즉 유틸리티, 수도 및 전기와 같은 컴퓨팅"이라고 설명할 수 있을 것입니다.


위와 같은 다른 용어로 시장에서는 설명을 하고 나름대로의 정의를 내리기는 하지만, 사실 SOA, SaaS, Web2.0, RIA, Cloud Computing은 어떻게 보면 다르지 않습니다. 모두 현재까지 나와있는 표준들, 다양한 기술들을 이용하여 조금씩 다른 방식으로 사용하고 있다라고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러한 5가지 개념을 소프트웨어 플러스 서비스 라고 하는 Umbrella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어떤 개념을 사용하더라도 결국에는 소프트웨어, 서비스가 공존하는 환경이 펼쳐진다는 것이죠.




모든 기업은 두가지를 고려하게 됩니다.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통제하는데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 아니면 규모의 경제에 우선순위를 둘 것인지를 결정해야 하는 거죠. 이러한 기준에 맞추어 시장에는 현재 4가지의 IT 모델이 존재합니다.


첫째, On-Premise. 하드웨어, 소프트웨어를 모두 관리 및 소유 하는 개념


둘째, Hosting. 호스팅 업체 및 IDC를 통해 내가 개발한 어플리케이션 및 패키지를 내가 지정한 하드웨어에서 구동하고 비용을 지불하는 방식


셋째, SaaS. 다른 누군가가 개발해 놓은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고, 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의 운영등은 전혀 고민하지 않는 방식. CRM 등의 솔루션이 요즘 많이 이용되고 있죠


넷째, 클라우드컴퓨팅. 어플리케이션이 클라우드 플랫폼에서 구동되는 것, 즉 내가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스토리지, 컴퓨팅 자원을 클라우드 플랫폼 제공자의 것을 사용하는 데, 접속량이 아무리 많아져도 문제없이 서비스 가용성을 보장하는 서비스 방식. (즉, Scalability, 확장성이 보장되는 것이죠) 1,2주 정도 올림픽 프로모션 사이트를 구축하려고 할 때, 대박이 나면 몇 명 정도가 접속할 지 알기 어렵죠. 1만명, 10만명, 100만명에 맞추어 서버 인프라를 구축해야 할지, 아니면 1,000명 수준으로 구축할 지 정말 판단하기 어렵고, 또 2주만 사용하는 사이트 인프라에 많은 비용을 쓰기 어렵겠죠. 한 번 쓰고 나중에 6개월 후에나 다시 쓸지 모르는데 큰 투자가 가능하겠어요? 이럴때 클라우드 컴퓨팅이 아주 적절한 개념이 되겠죠.


즉, On-Premise, Hosting, SaaS, 클라우드 컴퓨팅은 다른 것을 대체하는 개념이 아닌 서로 보완하는 개념으로 IT의 진보와 발맞추어 함께 갈 것이 분명합니다.
그렇다면, 내가 지금은 클라우드컴퓨팅 방식으로 개발해서 비용을 지불했는데, 정책이나 상황이 변해서 On-Premise 방식 또는 Hosting 방식, SaaS 방식으로 바꾸려고 할 때 어느정도 유연하게 바꿀 수 있느냐가 중요한 의사결정 포인트가 될 것인데요, 이와 같은 유연함을 제공할 수 있는 플랫폼을 고민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입니다.

클라우드 컴퓨팅

하드웨어 가상화, 인텔리전트 네트워크,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A) 등의 빠른 진화는 점점 더 컴퓨팅의 입지를 느슨하고 가시적으로 만들고 있다. ‘구름속의 컴퓨팅(Computing in the Cloud)’은 제3의 벤더로부터 필요로 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넷을 통해 대규모의 IT 가용능력에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이러한 선택 가능성의 증가는 변화하는 비즈니스 수요에 빠르게 IT가 응대할 수 있게 해주며 IT부서와 CIO의 역할을 재정의해 줄 것이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등장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IT요소들을 반드시 구매해서 시간과 비용을 들여 기업 내부에 설치하는 고정관념을 계약에 의해 정기적인 사용료를 지불하며 안정적인 서비스 이용으로 전환할 수 있게 했다.

액센츄어는 경기침체, 유가 및 환율 변동과 같은  하드웨어 가상화, 인텔리전트 네트워크, 유틸리티 컴퓨팅, 서비스로서의 소프트웨어(SaaS), 리치 인터넷 애플리케이션(RIA) 등의 빠른 진화는 점점 더 컴퓨팅의 입지를 느슨하고 가시적으로 만들고 있다. ‘구름 속의 컴퓨팅(Computing in the cloud)’은 제3의 벤더로부터 필요로 하는 모든 사용자에게 직접 인터넷을 통해 대규모의 IT 가용능력에 접속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의 등장은 사용자가 필요로 하는 IT요소들을 반드시 구매해서 시간과 비용을 들여 기업 내부에 설치하는 고정관념을 계약에 의해 정기적인 사용료를 지급하며 안정적인 서비스 이용으로 전환할 수 있게 했다. 고성과 기업(high performance enterprise)이 되기 위해서는 좀 더 비용 효율적인 IT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IT예산 중에 고정비용을 줄이고, 신규 투자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IT에 대한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해주며 중앙집중화된 관리 기능으로 관리 효율을 높여준다. 또 시스템 업그레이드의 부담 또한 덜게 해 준다. 오늘날 기업이 고성과 IT(high performance IT)를 고민한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신클라이언트에서 진화

 최근 들어 언론이 주목하기 시작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신클라이언트, 그리드 등 이미 개념적으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 한 단계 진화된 모형이다.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아마존의 ‘엘라스틱 컴퓨팅(Elastic Computing)’ 또는 ‘EC2’다. 아주 간단히 말해 EC2는 사용자가 아마존에 애플리케이션을 싣고 그 인프라 기반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에 따라 서버, 메모리, 스토리지, 대역폭 등이 할당되며 사용자는 단지 사용료만 지급하면 된다.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은 일반 사용자뿐 아니라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구매해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소기업이나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스토리지 서비스인 S3 서비스와 웹호스팅 서비스인 EC2로 구성된다. S3은 1기가바이트(Gb)당 한 달에 15센트를 받고, EC2는 CPU 개수와 메모리, 디스크 크기에 따라 시간당 10∼80센트를 받는다. 이 서비스는 전 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IBM,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도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에 나서거나 준비 중이다. IBM은 지난해 11월 ‘블루 클라우드(blue cloud)’를 발표,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을 차기 주력 사업으로 선정하고 2008년 2분기에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 라이브 메일, 윈도 라이브 포토 갤러리, 5Gb 스토리지 서비스 ‘스카이드라이브’ 등 윈도 라이브 서비스 강화, 기존 소프트웨어들의 온라인 제품 전환 등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을 하고자 한다. 델은 브래드 앤더스 부사장을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준비에 나섰으며, 구글은 구글 캘린더 등 개인 정보, 자료 공유 서비스를 시작했다. 페이스북은 문서작성기 등 6000여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인터넷으로 제공하며, 어도비는 포토숍의 온라인 버전 출시를 앞두고 있다.

 #세 가지 이슈와 해결방안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 기업이 직접 IT자산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보안 및 시스템 성능 이슈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데이터 유출에 대한 고민은 특히 고객관련 정보를 취급하는 세일즈포스닷컴에 가장 민감한 사안이다.

 데이터 이슈와 관련해서는 플랫폼 시나리오와 서비스로서 데이터베이스(Database as a Services)가 해결방안으로 나와 있다. 플랫폼 시나리오는 SaaS 제공자가 단일 소프트웨어 가용능력에서 SaaS 플랫폼 제공으로 서서히 영역을 확대해 데이터를 중복해 보관하는 것이다. 이때 데이터 동기화가 수월해진다는 이점도 있다.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벤더가 데이터에 접속해 DaaS를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공급하는 것을 DaaS 시나리오라고 한다. 이 모델이 아직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이제 막 부상하는 것에 불과하지만 머지않아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기업은 데이터와 통합 요구에 대해 단일 SaaS 벤더에게서 얻지 못한 이점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보안 이슈는 현명하게 해결한 시티그룹의 사례로 풀 수 있다. 시티그룹은 보안 인프라를 향상시킨 뒤 세일즈포스닷컴과 3만명의 사용권 계약을 했다. 지난해 구글이 인수한 포스티니는 기업용 보안과 회계규제에 특화된 회사다. 중요한 점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는 벤더들이 고객의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사의 성능을 꾸준히 향상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 접속해 데이터를 입력 및 수정하는 데 속도가 저하될 수 있는 문제도 제기됐다.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일한 하드웨어 클라우드 안에 CRM, HP, ERP 등 복수의 SaaS에 DaaS를 추가해 완전한 에코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사실 성능 외에 에코시스템은 이기종 벤더가 제공하는 SaaS를 통합하는 이점까지도 제공한다. 오늘날 기업용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SAP 등과 같은 각각 별개의 에코시스템으로 나뉘는데 장기적으로 봤을 때 클라우드 컴퓨팅은 별개의 에코시스템, 하드웨어 클라우드와 SaaS 제공업체와 DaaS 제공업체로 각각 나뉘어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장영진 액센츄어 ATS 부장 young-jin,chang@accenture.com



자료:액센츄어외부 변화 속에서도 꾸준히 경쟁사보다 더 성장하는 기업을 ‘고성과 기업(High Performance Enterprise)’으로 정의하고 고성과 기업이 되기 위한 IT를 고성과 IT(High Performance IT)로 일컫는다.

 고성과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좀더 비용 효율적인 IT로 전환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는 IT예산 중에 고정비용을 줄이고 신규 투자를 늘릴 수 있는 방법을 고안해야 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은 IT에 대한 초기 투자비용을 절감해주며 중앙집중화된 관리 기능으로 관리 효율을 높여준다. 또한 시스템 업그레이드에 대한 부담 또한 덜게 해 준다. 오늘날 기업이 고성과 IT를 고민한다면, 클라우드 컴퓨팅을 면밀히 검토해야 할 것이다.

 #신클라이언트에서 진화

 클라우드 컴퓨팅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유연성, IT투자비용을 다변화시키며, 업무 핵심적인 소프트웨어의 지속적인 업그레이드, 소프트웨어 관리의 중앙 집중화, 해커와 같은 외부 침입 및 공격 시스템 및 데이터 보호 등을 제공한다. 클라우드 컴퓨팅이 다소 새롭겠지만 관련 기술들은 이슈화 된 바 있으며 그 중에는 현재 사용하는 것들도 있다.

 최근 들어 언론이 주목하기 시작한 클라우드 컴퓨팅은 신클라이언트, 그리드 등 이미 개념적으로는 널리 알려진 기술이 한단계 진화된 모형이다. 가장 많이 알려진 것이 아마존의 ‘엘라스틱 컴퓨팅(Elastic Computing)’ 또는 ‘EC2’다. 아주 간단히 말해 EC2는 사용자가 아마존에 애플리케이션을 싣고 그 인프라 기반 위에서 실행할 수 있게 해준다.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필요에 따라 서버, 메모리, 스토리지, 대역폭 등이 할당되며 사용자는 단지 사용료만 지불하면 된다.

 아마존의 클라우드 컴퓨팅은 일반 사용자뿐 아니라 서버와 스토리지를 직접 구매해서 자체적으로 운영하기 어려운 소기업이나 개발자들을 대상으로 하며, 스토리지 서비스인 S3 서비스와 웹 호스팅 서비스인 EC2로 구성된다. S3의 경우 1기가바이트(GB) 당 한달 15센트를 받고, EC2는 CPU 개수와 메모리, 디스크 크기에 따라 시간당 10∼80센트를 받는다. 이 서비스는 전세계적으로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

 IBM,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등도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에 나서거나 준비 중이다. IBM은 지난해 11월 ‘블루 클라우드(Blue Cloud)’를 발표, 클라우드 컴퓨팅 산업을 차기 주력 사업으로 선정하고 2008년 2분기에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마이크로소프트는 윈도 라이브 메일, 윈도 라이브 포토 갤러리, 5GB 스토리지 서비스 ‘스카이드라이브’ 등 윈도 라이브 서비스 강화, 기존 소프트웨어들의 온라인 제품 전환 등을 중심으로 클라우드 컴퓨팅 사업을 하고자 한다. 델은 브래드 앤더스 부사장을 팀장으로 하는 태스크포스를 구성해 준비에 나섰으며, 구글은 구글 캘린더 등 개인 정보, 자료 공유 서비스를 시작했다. 페이스북은 문서작성기 등 6000여 가지 응용 프로그램을 인터넷으로 제공하며, 어도비는 포토샵의 온라인 버전 출시를 앞두고 있다.

 #클라우드 컴퓨팅의 분류

 클라우드 컴퓨팅은 크게 하드웨어 클라우드, 데스크톱 클라우드, 서비스 클라우드, SaaS로 대표되는 소프트웨어 클라우드 등 3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하드웨어 클라우드에는 아마존과 IBM이 대표적이다. 데스크톱 클라우드는 구글과 최근 야후가 인수한 짐브라(Zimbra), 마이크로소프트가 해당되며 소프트웨어 클라우드는 크라운피크(CrownPeak), 넷스위트, 세일즈포스닷컴 등이 있다.

 △하드웨어 클라우드-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와 같은 하드웨어 시설을 대규모 데이터 센터에 두고 이용하며 사용자는 사용료를 지불하는 것이다. 기업은 사내에 애플리케이션을 직접 운영하며,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전자거래로 이를 실행할 수 있다. 하드웨어 클라우드 인프라는 기업의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확장해서 계약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클라우드-SaaS로 잘 알려졌으며 CRM과 같은 특정 소프트웨어가 어딘가에 있는 하드웨어 클라우드 위에서 운영된다. 또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가 직접 소유하거나 임대한 데이터센터일 수도 있으며, 기업은 사용자수에 따라 사용료를 지불하면 된다. 벤더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가용능력을 관리하며 서비스 수준은 사용자 기업이 정하고 그에 따른 지원을 받게 된다. 사용자는 어디에 하드웨어가 있고 소프트웨어가 어떻게 구성되는지 전혀 알지 못하며 여기에 대해 관여할 필요도 없다.

 △데스크톱 클라우드-소프트웨어 클라우드가 기업용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했다면 데스크톱 클라우드는 집이나 사무실 PC에서 운영되는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등 데스크톱 애플리케이션을 대상으로 한다. 사용자는 인터넷을 통해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수 있으며 직접 PC에 설치했을 때와 다르지 않은 품질을 경험할 수 있다. 복잡한 요금체계는 사용자의 컴퓨터와 연결돼 전송되며 기업은 사용료를 지불하면 된다.

 각각의 카테고리에 해당하는 서비스들은 이미 얼리 어덥터들의 사례에서 성과를 입증했다. 아마존은 자사 스토리지 클라우드로 100조달러 이상을 달성했으며 세일즈포스닷컴은 2008년 회계연도에 7억4000만달러 이상을 올렸다고 발표했다. 구글은 GE와 P&G를 고객으로 확보했다.

 #3가지 이슈와 해결방안

 클라우드 컴퓨팅은 사용자 기업이 직접 IT자산을 소유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데이터, 보안 및 시스템 성능 이슈가 제기될 수밖에 없다. 데이터 유출에 대한 고민은 특히 고객관련 정보를 취급하는 세일즈포스닷컴에게 가장 민감한 사안이다. CRM뿐 아니라 인사관리(HR)나 ERP와 같은 기업의 핵심 정보를 다루는 소프트웨어에서도 제기되는 문제다.

 데이터 이슈와 관련해서는 플랫폼 시나리오와 서비스로서 데이터베이스(Database-as-a-Services)가 해결방안으로 나와 있다. 플랫폼 시나리오는 SaaS 제공자가 단일 소프트웨어 가용능력에서 SaaS 플랫폼 제공으로 서서히 영역을 확대해 데이터를 중복해 보관하는 것이다. 이 경우 데이터 동기화가 수월해진다는 이점도 있다.

 데이터센터를 보유한 벤더가 데이터에 접속해 DaaS를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공급하는 것을 DaaS 시나리오라고 한다. 이 모델이 아직 널리 확산되지 못하고 이제 막 부상하는 것에 불과하지만 머지않아 시장에서 빠르게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기업은 데이터와 통합 요구에 대해 단일 SaaS 벤더한테 얻지 못한 이점들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보안 이슈는 현명하게 해결한 시티그룹의 사례로 풀 수 있다. 시티그룹은 보안 인프라를 향상시킨 뒤 세일즈포스닷컴과 3만명의 사용권 계약을 체결했다. 지난해 구글이 인수한 포스티니(Postini)는 기업용 보안과 회계규제에 특화된 회사다. 중요한 점은 클라우드 컴퓨팅을 제공하는 벤더들이 고객의 엔터프라이즈급 보안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자사의 성능을 꾸준히 향상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보안 이슈는 데이터 센터 위치가 어디이며 사용자 기업과 얼마나 근거리에 있는가 보다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벤더가 얼마나 규제를 잘 따르고 있으며 보안 수준이 어느 정도인가가 더 중요하다.

 원격지에 있는 서버에 접속해 데이터를 입력 및 수정하는데 속도와 같은 저하될 수 있는 문제도 제기됐다. 성능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일한 하드웨어 클라우드 안에 CRM, HP, ERP 등 복수의 SaaS에 DaaS를 추가해 완전한 에코시스템을 구현하는 것이다.

 사실 성능 이외에 에코시스템은 이기종 벤더가 제공하는 SaaS를 통합하는 이점까지도 제공한다. 오늘날 기업용 소프트웨어는 마이크로소프트, 오라클, SAP 등과 같은 각각 별개의 에코시스템으로 나뉘는데 장기적으로 봤을 때 클라우드 컴퓨팅은 별개의 에코시스템, 하드웨어 클라우드와 SaaS 제공업체와 DaaS 제공업체로 각각 나눠 구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출처]http://www.etnews.co.kr/news/sokbo_detail.html?id=200808170176